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소스컴파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초보자용)

작성자 정보

  • 팬드래건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RPM패키지 설치법과 소스코스 컴파일 설치법이 있는데요.

 

RPM설치법이야 리눅스에 손대기 시작한 분이라면 누구나가 다 알고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 됩니다.

간단하게 RPM패키지가 뭐냐고 물으신다면,

흐음~ 우리 윈도우 쓸때 setup실행시키면 프로그램 깔리죠?

그런거라고 생각 하심 편할거에요.

윈도우는 플그램 설치하기 대따 편하죠? RPM의 장점도 바로 그거에요

설치하기 대따 편하다는거.

이미 설치할 준비를 다 갖춰놓은 상태에서 RPM 명령어로 실행만 해주면 된답니다.

 

그럼 소스코드 컴파일 설치법은 뭐냐하면요...

 

우리가 쓰는 모든 프로그램은 손으로 일일이 타이핑해서 프로그램 소스를 짜고 컴파일러로 컴파일을 시켜요

############################################################################################################################

컴파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해 컴파일에 대해 설명해드리죠.

컴파일은 쉽게 말해 우리가 쓰는 언어를 컴퓨터가 알아들을수 있게 편환하는 과정이에요. 우리는 주로 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이용하잖아요.

컴터는 1과 0 즉 비트밖에 몰라요. 그래서 우리는 플그램을 짤때 영어, 숫자, 기호, 등등을 쓰지만, 컴터는 그것을 못알아 들으니까 컴파일이란 과정으로 컴터가 알아들을수있게 번역하는 거에여

############################################################################################################################

보통은 우리가 윈도우에서 쓰는 플그램들은 컴파일한 것을 인스톨패키지 상태로 압축되어져 있죠.

그런데 리눅스 유틸 대부분은 소스공개 원칙에 따라 소스가 공개 되는데요.

이것 때문에서 인지 프로그램소스 컴파일 안 된것을 그냥 퍼다 쓸수 있죠.

그럼 그거 컴파일 시켜서 쓰면 번거롭지 않느냐는 질문이 나오는데요, 번거롭기는 하지만,

컴파일을 해서 쓰면 그에 따른 장점이 있습니다.

뭐냐하면요, 바로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알맞게 맞춤형으로 설치된다는 거에요.

가끔 패키지로 설치한 플그램들이 컴터환경에 적응을 못해 오류를 내곤하는데요,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면 그런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죠.

이런현상은 주로 유닉스(특히 솔라리스)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인데요,

리눅스는 그런게 그다지 많진 않지만, 그래도 기왕이면 깔끔하고 완벽하게 사용하는게 좋겠죠? ^^

 

암튼 이렇게 설치된 플그램들은 지우는 방법도 달라여

소스코드 컴파일해서 설치한것은 설치한 디렉토리를 그냥 지우기만 하면되고요.

다시 설치하려면 지울것도 없이 덮어서 설치하면 된답니다.

반면 RPM패키지는 철저하게 RPM명령어를 이용해서 지우고, RPM명령어를 이용해서 다시 설치하거나, 새로 설치해야 한답니다.

여기서 어떤 님들은 이런 질문을 던질수도 있답니다.

"그럼 RPM이 조아요, 소스코드가 조아요?"

라고 물으시면 저는 소스코드가 좀더 좋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시스템의 안정성과 완벽성을 소스코드 설치가 더 높기 때문이죠.

하지만 처음 시스템 구축할때는 가끔 RPM의 힘을 빌려야 할때도 있답니다.

그래서 어느게 좋다고 딱잘라 말하지 않겠지만,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설치하고 혹 문제가 생기면 소스코드로 설치해보길 바랍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65 명
  • 현재 강좌수 :  37,036 개
  • 현재 접속자 :  26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