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2를 EXT3로 변환하기(펌)
작성자 정보
- 김선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0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
리눅스 팁 메일링 리스트 (11/20)
=-=-=-=-=-=-=-=-=-=-=-=-=-=-=-=
URL: http://kltp.kldp.org/stories.php?story=01/11/09/1569597
---------------------------------------------------------------------------
제목: EXT2를 EXT3로 변환하기
분류: 파일 시스템
글쓴이: 꼬모 <reds@openatoz.org>
저널링 파일시스템 중의 하나인 EXT3로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해 보았습니다. 그리 부담 갖지 말고 따라만 하셔도 될 듯 하네요. 똑같은 방법으로 몇번
의 테스트를 거쳐서 내놓은 내용입니다.
[테스트한 배포판 : Redhat Linux 7.1 US-Version]
1. 먼저 커널 패치 파일과 파일시스템 변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커널 2.4.13을 사용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아래의 ac-6 패치를 받습니다.)
patch-2.4.13-ac6.bz2 (ac패치 중 최신 버전임돠)
e2fsprogs-1.25-1.src.rpm
2. e2fsprogs를 리빌드해서 설치한다.
[root@openatoz linux]# rpm --rebuild --target=i686 e2fsprogs-1.25-1.src.rpm
[root@openatoz linux]# rpm -Uvh /usr/src/redhat/RPMS/i686/e2fsprogs-*
3. 커널을 패치한 후 컴파일을 해줘야 한다.
'patch-2.4.12-ac6.bz2'을 다운로드 받은 후 다음의 명령으로 패치한다.
[root@openatoz linux]# pwd
/usr/src/linux/
[root@openatoz linux]# bzip2 -cd patch-2.4.2-ac6.bz2 | patch -p1
그런후 바로 커널 환경설정을 하는데, 여기서 File System 항목으로 들어가면 ext3가 있는데
이것을 '커널에 포함(*)'시켜준 후 컴파일을 해준다.(ext2는 당연히 커널에 포함)
4. 새로운 커널 이미지를 lilo에 등록해준 후 파일시스템을 변환한다.
(저같은 경우는 전부다 변환 했거덩요... -_-;;)
/boot(hda1), /(hda9), /tmp(hda6), /var(hda7), /home(hda5), /usr(hdb5)
/services(hdb1) <-- 나눠진 파티션들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a1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a5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a6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a7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a9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b1
[root@openatoz linux]# tune2fs -j /dev/hdb5
5. 이제 /etc/fstab 내의 파티션들에 대한 정보를 수정한다.
이 속에 ext2라고 되어 있는 것들(변환한 것만...)을 ext3로 바꿔준 후 저장한다.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dev/fd0 /mnt/floppy auto noauto,owner 0 0
LABEL=/servic /services ext3 defaults 1 2
LABEL=/tmp /tmp ext3 defaults 1 2
LABEL=/usr /usr ext3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dev/hda8 swap swap defaults 0 0
/dev/cdrom /mnt/cdrom iso9660 noauto,owner,kudzu,ro 0 0
6. 이제 리붓한 이후에 mount를 쳐서 ext3로 바뀌어 있는것을 확인한다.
(만약, 여기서 제대로 안된다면 위의 다섯 단계중에서 실수하신 것이 있는 경우입니다.)
[root@openatoz root]# mount
/dev/hda9 on / type ext3 (rw)
none on /proc type proc (rw)
/dev/hda1 on /boot type ext3 (rw)
/dev/hda5 on /home type ext3 (rw)
/dev/hdb1 on /services type ext3 (rw)
/dev/hda6 on /tmp type ext3 (rw)
/dev/hdb5 on /usr type ext3 (rw)
/dev/hda7 on /var type ext3 (rw)
none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7. 최후의 단계로써, 전원을 뽑았다가 다시 켜서 제대로 돌아가는 것을 보고 기뻐한다.
(참고로 저는 가혹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전원을 뽑았다 뺐다를 10번정도 했는데도 불구하고
파일시스템이 깨어지지 않더군요. 제 시스템에서만 그런가요? ㅡ.ㅡa)
--
Eunjea <eunjea@kldp.org.NOSPAM>
<http://kltp.kldp.org/eunjea/>
GnuPG fingerprint: 08C9 2D3F 91B2 D395 2EFF 4C33 544C 321C E194 91C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ip mailing list
Tip@list.kldp.org
http://list.kldp.org/mailman/listinfo/tip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