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tmp 안에 cim_schema 이런 디렉토리가 있는데 이건 모 하는건지 아시는분 있나요?
작성자 정보
- 원준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003 조회
- 2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tmp 안에
cim_schema.13127
cim_schema.18304
두개 의 디렉토리가 있고
그안에
Application Device Interop Physical Support cimv216-cimv2.mof qualifiers.mof
Core Event Metrics Policy System cimv216-interop.mof qualifiers_optional.mof
Database IPsecPolicy Network Security User cimv216.mof
이런 파일들이 있는데
이건 어떤 기능이 있는건지 궁금 합니다.
해킹 이런거 같지는 않은데
도무지 몬지 너무 궁금 해서 문의 드립니다.
구글이나 다음에서 검색을 나름 해 봤는데
찾아지는 문서는 전부 영문인지라...
여러 고수님께 물어 봅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cim_schema.13127
cim_schema.18304
두개 의 디렉토리가 있고
그안에
Application Device Interop Physical Support cimv216-cimv2.mof qualifiers.mof
Core Event Metrics Policy System cimv216-interop.mof qualifiers_optional.mof
Database IPsecPolicy Network Security User cimv216.mof
이런 파일들이 있는데
이건 어떤 기능이 있는건지 궁금 합니다.
해킹 이런거 같지는 않은데
도무지 몬지 너무 궁금 해서 문의 드립니다.
구글이나 다음에서 검색을 나름 해 봤는데
찾아지는 문서는 전부 영문인지라...
여러 고수님께 물어 봅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2
로군님의 댓글
- 로군
- 작성일
시스템 관리 표준 정보 모델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ㅇ_ㅇ;; 쪼까 어렵네요잉~.
참고 되셨으면 합니다. ^^
[ 확산되고 있는 시스템 관리 표준 정보모델 CIM ]
DMTF(Distributed Management Task Force)는 2004년 10월, 기존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공통 정보 모델) Specification v.2.2.2’의 후속으로 ‘CIM Infrastructure Specification v.2.3’을 발표했고, ‘CIM Schema v2.9.0’의 최종본을 2005년 1월 5일 발표했다.
‘CIM Schema v.2.9.0’은 ‘CDM(Common Diagnostic Model) v.2.0’을 포함하기 위해 진단관련 객체 정보를 추가했다. 이제 ‘CIM Schema v.2.9.0’은 여러 제조사의 확장된 진단 기능을 포함하면서 최종 사용자에게 향상된 시스템의 신뢰성, 가용성, 서비스 지속성을 제공함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하게 됐다. 이처럼 DMTF가 개발해 나가고 있는 표준 정보모델인 CIM은 그 대상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의 표준화 단체와 연대, 협조해 CIM의 채택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다.
CIM (Common Information Model)
CIM 은 1997년 4월에 DMTF가 처음으로 공개했다. CIM은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 자원정보 환경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인 모델이며, 플랫폼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기술 중립적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정된 획기적인 표준이다. 여기서,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 환경이라 함은 관리 대상 실체(entity) 및 그들의 상태, 운용, 조합, 구성, 관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CIM 모델은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부터 서버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 관리를 지향하고 있다.
분 산 환경에서 엔드 투 엔드 관리는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 이제 더 이상 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저장장치, 소프트웨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무의미해지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요소가 모두 긴밀하게 상호 연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 정보가 이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어야 하고, 자연스럽게 시스템 관리의 영역도 그에 따라 확장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CIM은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의미체계에 대한 단일 모델을 정의해 모든 요소를 이 모델의 의미체계에 매핑하는 것이다. 장비의 상세 정보부터 서비스 구성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의 모든 요소를 단일 의미체계로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고, 제품 간의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CIM의 또 다른 이점은 모델 자체의 유연성과 확장성이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관리 영역을 기술하기 위해 정보 모델을 추가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팅 및 네트워킹 환경을 기술하기 위해 새로운 서브클래스가 정의되고, 이미 존재하는 클래스에 대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CIM은 핵심 모델(Core Model), 공통 모델(Common Model), 그리고 확장 모델(Extension Mode)로 구성된다. 공통 모델은 시스템, 서비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이 관리를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수준부터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술 영역이 모두 포함돼 있으며, 확장 모델은 해당 기술 특성에 따라 공통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IM 채택 현황
- 글로벌 그리드 포럼
글로벌 그리드 포럼(The Global Grid Forum)의 ISP(Information Systems and Performance) 분야 CGS(CIM based Grid Schema) 워킹그룹은 JSIM(Job Submission Information Model), SRIM(Software Resource Information Model)을 정의했으며, GGF 내에서 CIM의 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OGSA가 CIM을 사용하도록 노력했다. CGS 워킹그룹은 GGF13을 끝으로 해산되고, SRIM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은 데이터 분야 내의 DAIS(Data Access and Integration Service) 워킹그룹에서 지속한다.
- 스토리지 네트워크 업계
SNIA(Storage Networking Industry Association)의 위원장인 Roger Reich는 2005년부터 모든 새로운 스토리지 네트워킹 제품은 SMI-S 표준을 활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Bluefin’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SMI-S’는 CIM/WBEM 구조를 따르고 있다.
- 통신업계
DMTF는 최근 통신산업의 표준 단체인 TMF(TeleManagement Forum), SAF(Service Availability Forum)과 공식적인 협력 관계를 맺었다. TMF는 통신산업의 300여 개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비영리기관으로, 정보통신 서비스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NGOSS 아키텍처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NGOSS(New Generation Operations Systems and Software)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개발, 획득, 배치하는 일련의 통합 프레임워크이며, SID(Shared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DMTF와 TMF는 CIM과 SID를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SAF는 엔터프라이즈급 시스템과 보다 가용성이 높은 캐리어급 시스템 간에 존재하는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개방형 인터페이스 규격을 개발하는 통신 및 컴퓨팅 회사의 연합단체이다. SAF는 CIM/WBEM을 시스템 관리 분야의 전략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 데스크톱 컴퓨팅 업계
데스크톱 컴퓨터 운영체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리눅스, 솔라리스, HP-UX,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는 모두 CIM 모델과 WBEM 인터페이스, 프로바이더를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WBEM 구현물로 WMI(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늘 그래왔듯이 다른 CIM 구현물과 호환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표준인 CIM-XML을 사용하지 않고, 자사의 COM/DCO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IBM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SBLIM(Standard Based Linux Instrumentation for Manageability) 프로젝트에서 CIM/WBEM을 기반으로 GNU/Linux 시스템의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역시 자사의 운영체제인 솔라리스에 CIM/WBEM 표준을 채택하고, CIM/WBEM이 시스템 관리에 대한 자사의 장기적인 전략 기반임을 선언했다.
- 에너지 업계
지구촌 에너지 산업의 고객에게 필수불가결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는 전력분배에 관한 데이터 모델을 CIM 기반으로 개발했다. 현재 이 데이터 모델은 수많은 전력회사가 채택해 사용하고 있으며,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표준(IEC 61970-301)으로 제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안창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홈연구단 선임연구원
ㅇ_ㅇ;; 쪼까 어렵네요잉~.
참고 되셨으면 합니다. ^^
[ 확산되고 있는 시스템 관리 표준 정보모델 CIM ]
DMTF(Distributed Management Task Force)는 2004년 10월, 기존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공통 정보 모델) Specification v.2.2.2’의 후속으로 ‘CIM Infrastructure Specification v.2.3’을 발표했고, ‘CIM Schema v2.9.0’의 최종본을 2005년 1월 5일 발표했다.
‘CIM Schema v.2.9.0’은 ‘CDM(Common Diagnostic Model) v.2.0’을 포함하기 위해 진단관련 객체 정보를 추가했다. 이제 ‘CIM Schema v.2.9.0’은 여러 제조사의 확장된 진단 기능을 포함하면서 최종 사용자에게 향상된 시스템의 신뢰성, 가용성, 서비스 지속성을 제공함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하게 됐다. 이처럼 DMTF가 개발해 나가고 있는 표준 정보모델인 CIM은 그 대상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의 표준화 단체와 연대, 협조해 CIM의 채택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다.
CIM (Common Information Model)
CIM 은 1997년 4월에 DMTF가 처음으로 공개했다. CIM은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 자원정보 환경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인 모델이며, 플랫폼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기술 중립적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정된 획기적인 표준이다. 여기서,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 환경이라 함은 관리 대상 실체(entity) 및 그들의 상태, 운용, 조합, 구성, 관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CIM 모델은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부터 서버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 관리를 지향하고 있다.
분 산 환경에서 엔드 투 엔드 관리는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 이제 더 이상 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저장장치, 소프트웨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무의미해지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요소가 모두 긴밀하게 상호 연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 정보가 이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어야 하고, 자연스럽게 시스템 관리의 영역도 그에 따라 확장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CIM은 관리정보 및 서비스 의미체계에 대한 단일 모델을 정의해 모든 요소를 이 모델의 의미체계에 매핑하는 것이다. 장비의 상세 정보부터 서비스 구성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컴퓨팅 및 네트워킹의 모든 요소를 단일 의미체계로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고, 제품 간의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CIM의 또 다른 이점은 모델 자체의 유연성과 확장성이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관리 영역을 기술하기 위해 정보 모델을 추가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팅 및 네트워킹 환경을 기술하기 위해 새로운 서브클래스가 정의되고, 이미 존재하는 클래스에 대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CIM은 핵심 모델(Core Model), 공통 모델(Common Model), 그리고 확장 모델(Extension Mode)로 구성된다. 공통 모델은 시스템, 서비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이 관리를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수준부터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술 영역이 모두 포함돼 있으며, 확장 모델은 해당 기술 특성에 따라 공통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IM 채택 현황
- 글로벌 그리드 포럼
글로벌 그리드 포럼(The Global Grid Forum)의 ISP(Information Systems and Performance) 분야 CGS(CIM based Grid Schema) 워킹그룹은 JSIM(Job Submission Information Model), SRIM(Software Resource Information Model)을 정의했으며, GGF 내에서 CIM의 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OGSA가 CIM을 사용하도록 노력했다. CGS 워킹그룹은 GGF13을 끝으로 해산되고, SRIM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은 데이터 분야 내의 DAIS(Data Access and Integration Service) 워킹그룹에서 지속한다.
- 스토리지 네트워크 업계
SNIA(Storage Networking Industry Association)의 위원장인 Roger Reich는 2005년부터 모든 새로운 스토리지 네트워킹 제품은 SMI-S 표준을 활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Bluefin’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SMI-S’는 CIM/WBEM 구조를 따르고 있다.
- 통신업계
DMTF는 최근 통신산업의 표준 단체인 TMF(TeleManagement Forum), SAF(Service Availability Forum)과 공식적인 협력 관계를 맺었다. TMF는 통신산업의 300여 개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비영리기관으로, 정보통신 서비스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NGOSS 아키텍처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NGOSS(New Generation Operations Systems and Software)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개발, 획득, 배치하는 일련의 통합 프레임워크이며, SID(Shared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재 DMTF와 TMF는 CIM과 SID를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SAF는 엔터프라이즈급 시스템과 보다 가용성이 높은 캐리어급 시스템 간에 존재하는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개방형 인터페이스 규격을 개발하는 통신 및 컴퓨팅 회사의 연합단체이다. SAF는 CIM/WBEM을 시스템 관리 분야의 전략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 데스크톱 컴퓨팅 업계
데스크톱 컴퓨터 운영체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리눅스, 솔라리스, HP-UX,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는 모두 CIM 모델과 WBEM 인터페이스, 프로바이더를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WBEM 구현물로 WMI(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늘 그래왔듯이 다른 CIM 구현물과 호환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표준인 CIM-XML을 사용하지 않고, 자사의 COM/DCO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IBM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SBLIM(Standard Based Linux Instrumentation for Manageability) 프로젝트에서 CIM/WBEM을 기반으로 GNU/Linux 시스템의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역시 자사의 운영체제인 솔라리스에 CIM/WBEM 표준을 채택하고, CIM/WBEM이 시스템 관리에 대한 자사의 장기적인 전략 기반임을 선언했다.
- 에너지 업계
지구촌 에너지 산업의 고객에게 필수불가결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는 전력분배에 관한 데이터 모델을 CIM 기반으로 개발했다. 현재 이 데이터 모델은 수많은 전력회사가 채택해 사용하고 있으며,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표준(IEC 61970-301)으로 제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안창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홈연구단 선임연구원
원준님의 댓글
- 원준
- 작성일
카아 정말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centos 5.4 설치 시에 전부 패키지 설치 했더니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도 설치가 된거 같네요...
좋은 정보 거듭 감사 드립니다.
centos 5.4 설치 시에 전부 패키지 설치 했더니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도 설치가 된거 같네요...
좋은 정보 거듭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