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DNS설정 확인좀 해주세요

작성자 정보

  • 이승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52 조회
  • 1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아래와 같이 dns를 설정했는데 ....
어디가 잘못된 건지 도메인으로는 접속이 안되는 군요.
아이피로는 잘 접속이 되는데요
어디가 잘못 된것인지 좀 봐주시면 감사....

유동아이피인데요.(119.201.57.90 이라고 가정)
abc란 계정으로
http://119.201.57.90/~abc/로 접속하면 잘 접속이 됩니다.
회선은 kt 에서 신청하여 서버전용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whois에서 abc.kr이란 도메인을 등록하였구요.

그런데 유동아이피를 사용해서 그런지
컴이 새로 부팅되면 /etc/resolv.conf의 파일 내용이 자동으로 편집되는군요.

그래서 부팅되면 바로 resolv.conf파일을 열어서
새로 다음과 같이 편집하고
search e-vit.kr (부팅되면 search kornet 으로 되어 있음)
nameserver 119.201.57.90 (원래 없던것 삽입)
nameserver  168.126.63.1 (원래 존재)
nameserver  168.126.63.2 (원래 존재)

그리고 다음과 같이 실행 합니다.
/etc/rc.d/init.d/name restart
[OK] 가 두번 보입니다.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op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각각 ps -ef | grep httpd로 중단 및 실행 확인합니다.


다음은 제가한 dns설정 내용입니다.

1. whois에 abc.kr 이라 도메인을 하나 신청등록하고
    whois의 네임서버 변경에 들어가서
    1차 네임서버란에
    호스트명 : ns.abc.kr,     IP주소 : 119.201.57.90  으로 변경 신청하였습니다.

   고정아이피는 아니고 유동 아이피인데 ifconfig로 확인해 보니
   위의 아이피(가정)가 나오는군요.

2.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options {
        //listen-on port 53 { 127.0.0.1; };
        listen-on port 53 { any; };
        listen-on-v6 port 53 { ::1; };
        directory       "/var/named";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 Those options should be used carefully because they disable port
        // randomization
        // query-source    port 53;
        // query-source-v6 port 53;

        allow-query     { any; };
};
logging {
        channel default_debug {
                file "data/named.run";
                severity dynamic;
        };
};
view localhost_resolver {
        match-clients      { any; };
        match-destinations { any; };
        recursion no;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

 

3. /etc/named.rfc1912.zone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로 설정하였습니다.

zone "57.201.119.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rev";
        allow-update { none; };
};

zone "abc.kr" IN {
        type master;
        file "abc.kr.zone";
        allow-update { none; };
};

4. /var/named/named.rev 파일의내용

$TTL  1
@       IN      SOA    ns.abc.kr.   root.localhost. (
                             2009081000 ; serial (d. adams)
                             1H  ; refresh
                             10M  ; retry
                             3600000  ; expiry
                             86400) ; minimum

           IN        NS     ns.abc.kr.
138       IN       PTR    ns.abc.kr.

5. /var/named/abc.kr.zone 파일의내용

$TTL  1
@       IN      SOA    ns.abc.kr.   root.abc.kr. (
                             2009081000 ; serial (d. adams)
                             1H  ; refresh
                             10M  ; retry
                             1W  ; expiry
                             1) ; minimum

           IN        NS     ns.abc.kr.
           IN        MX    10  mail.abc.kr.
           IN        A       119.201.57.90
ns       IN         A      119.201.57.90
www   IN         A      119.201.57.90
mail     IN         A      119.201.57.90
ftp        IN         A      119.201.57.90
*          IN         A      119.201.57.90

6. /usr/local/apache/conf/httpd.conf 파일에서
Include conf/extra/httpd-vhosts.conf를 주석 풀고

7. httpd-vhosts.conf 파일에 다음 삽입

NameVirtualHost 119.201.57.90

<VirtualHost 119.201.57.90>
    DocumentRoot /home/abc/public_html
    ServerName www.abc.kr
</VirtualHost>

관련자료

댓글 11

박신주님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var/named/named.rev 제일 하단에 있는 숫자 138을 90으로 바꿔주셔야 맞는 것 같습니다.
nslookup 119.201.57.90 localhost 로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나요?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답변 감사하구요.
그런데 지웠다 올렸다 한다는게 무슨 말씀이신지....
글을 다 쓰고 올리기를 하니까 시간이 넘었는지 로그 아웃 상태가 되더군요.
그래서 글을 쓰면서 미리 복사를 하며서 쓰다가 만약 로그 아웃이 되면 다시 로그인해서
복사한걸 붙여넣기를 해서 하다보니 그렇게 된것 같군요.

/var/named/named.rev 파일에 138로 된것은 오타이구요.

nslookup 119.201.57.90 localhost 를 하니까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erver:        119.201.57.90
Address:        119.201.57.90#53

90.57.201.119.in-addr.arpa    name = ns.abc.kr.

박신주님의 댓글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ㅎㅎ;;자꾸 글을 썼다가 지웠다가 하게 되네요..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박신주님 항상 답변해 주셔서 감사...^^

nslookup
> abc.kr 하면 다음과 같이 나와요.

Server:        119.201.57.90
Address:        119.201.57.90#53

Name:  abc.kr
Address: 119.201.57.90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제가 위에서 편집한 파일 외에는 원래 그대로 이고
공부하는 책에도 기본설정 그대로 하라고 되어 있더군요.
편집하려고 해도 잘모르니...

/var/named/localhost.zone 파일을 확인하니까 다음과 같이 되어 있군요.

$TTL    86400
@              IN SOA  @      root (
                                        42              ; serial (d. adams)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y
                                        1D )            ; minimum

                IN NS          @
                IN A            127.0.0.1
                IN AAAA        ::1

박신주님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nslookup www.abc.kr 하면 정상적으로 아이피와 네임서버가 출력되나요?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
nslookup
> www.abc.kr 을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구요.

Server:        119.201.57.90
Address:        119.201.57.90#53

Name:  www.abc.kr
Address: 119.201.57.90

------------------------------------------------------
nslookup
> abc.kr 을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erver:        119.201.57.90
Address:        119.201.57.90#53

Name:  abc.kr
Address: 119.201.57.90

박신주님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보니까 DNS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도메인으로 접속이 안되는거는 다른 문제인거 같네요.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박신주님 직접 확인  해 주실수 없나요.
메일로 현재 셋팅중인 서버 접속 아이디 와 비번 알려 드리면요...

박신주님의 댓글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저도 CentOS는 처음이라..큰 도움이 되지 못할 듯 하네요..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혹시 이글 읽어시는 분들....
설정은 이상 없었고요. 포트 53번이 안열려서 안되더군요.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생초보가 되어서 책대로 하다보니 책에 안나와 있으면 헤메는군요.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289 명
  • 현재 강좌수 :  36,949 개
  • 현재 접속자 :  349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