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Zone파일에 관하여

작성자 정보

  • 이승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ZONE 파일에서 NS레코드의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는 임의로 정하는 건가요?

아니면 도메인을 따로 도메인 등록기관에 등록해야 하는 건가요?

예를 들자면 whois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등록하 듯이 말입니다. 

 

그리고 실제 도메인이 없으면 테스트를 해볼수는 없는 건가요.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컴은 3대가 있고 그중 하나에 리눅스 서버를 깔고 공부하는 중 입니다.

내부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좀 가리켜 주세요.

관련자료

댓글 3

박신주님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NS 레코드의 네임서버는 도메인이 등록된 기관의 사이트를 기입합니다.
이 경우는 자기자신이 네임서버를 운영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경우이구요.
자기 자신이 네임서버가 된다면 NS 레코드에 자신의 아이피를 적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관리실무바이블 3.0의 1565p(30장 도메인네이서버 구축관리 실무)부터 나와있는 내용을
잘 읽어 보시면 테스트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승주님의 댓글

  • 이승주
  • 작성일
감사..^^
읽어 보았는데 잘 모르겠더라구요.
그러면 제 컴의 아이피(현재는 유동)가 192.168.123.135 라면 컴을 꺼지 않으면
아이피는 안 변하잖아요.
그러면 ns 192.168.123.135 로 하면 되나요.
다시 천천히 읽어 보아야 겠군요.

박신주님의 댓글

  • 박신주
  • 작성일
DHCP 라면 네임서버운영이 안되구요..가상아이피라도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아이피를 ns 값에 넣으시면 됩니다. 그런다음 네임서버를 설치하시고, /etc/hosts 에 "아이피  ftp.bible1.co.kr ftp.bible2.co.kr "내용을 삽입해줍니다. 방화벽으로 인한 접속이 안될수도 있으므로 iptables 도 확인해보시구요..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289 명
  • 현재 강좌수 :  36,949 개
  • 현재 접속자 :  335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