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fstab을 변경했더니 접속이 안되요.

작성자 정보

  • 손지황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fstab의 원 상태입니다.

======================================================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boot1            /boot                   ext3    defaults        1 2
LABEL=/usr/local        /hdb1                   ext3    defaults        1 2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LABEL=SWAP-hda2         swap                    swap    defaults        0 0
======================================================

 

여기서 LABEL=/usr/local 부분을 /dev/hdb 로 변경후 ssh로 접속이
안되네요.(재부팅후) 서버에 무슨일이 생긴거죠?

리눅스 깔때 파티션을 어떻게 잡았는지 도통 기억이 안납니다.

hda와 hdb가 있고, hdb1을 /hdb1으로 사용해왔는데 아무래도 뭔가
이상하여(홈디렉토리를 이쪽으로 잡고 계정 생성하면 FTP로
접속이 안되거나, 디렉토리, 파일들이 아에 안보이고 업로드도 안되..)

이런 문제 때문에 hdb가 마운트가 잘못된게 아닌가 싶어서 하나하나
뜯어 보려던 첫시도에.... 저렇게 됬네요.

'LABEL=/usr/local'은 리눅스에서 반드시 필요한가요?
실제 /usr/local은 제 기억상 따로 마운트 하지 않았습니다.
hda하드에  '/' 안에 있었던거로 기억중인데... 위와 같은 경우 어떤걸
잘못한거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아; 그리고 서버 직접 만지로 가야 할거 같은데 무슨 화면이 떠있을까요?
1번 시디 들고가서 복구 모드 들어가서 fstab을 만져주면 될까요?

관련자료

댓글 1

배준태님의 댓글

  • 배준태
  • 작성일
시디들고 가지않아도 fstab을 수정할수있습니다

부팅되다가 스탑된상태로 패스워드 넣으라는 메시지가 떠있을겁니다.

/usr/local은 보통 소스설치를 하면 생기는 디렉토리인데 왠만함 있으면 좋습니다.(권장사항이죠)

fstab에서 hdb1을 지워주시고 hdb로변경하셔서 해보시기 바랍니다.

hdb를 풀파일시스템으로 쓸경우라면 hdb로 하셔도됩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68 명
  • 현재 강좌수 :  37,041 개
  • 현재 접속자 :  27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