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9.0 설치후 한글깨지는 문제
작성자 정보
- 임근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90 조회
- 2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모질라(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의 경우 아래의주소에서 한글판을
다운로드 받은후에 설치하여 보세요.
http://releases.mozilla.org/pub/mozilla.org/firefox/releases/1.5/linux-i686/ko/
FEDORA 에서 언어 설정을 한글로 하면 다 좋은데 터미널에서 아래 밑줄 (_) 이 보이지 않고 아무래도 한글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영문 메뉴에 비해서 눈에 확 안들어옵니다. nabi 0.14 버젼을 받습니다.
http://nabi.kldp.net/
에서 받으면 됩니다.
설치를 하려면 GTK 2.4 버젼이 필요한데,
이는 FEDORA 인스톨 시에 GENOME 개발툴 안에 들어있습니다. 처음 FEDORA 설치시에 GENOME 개발툴 등을 설치해야 GTK 를 설치하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나비 홈페이지에 있는대로 설치를 합니다.
나비가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whereis nabi
를 쳐서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참고로 FEDORA 2 의 경우에는 한글로 설치하면 nabi 0.11 버젼이 설치됩니다. whereis 명령으로 위치를 확인 후에 nabi 를 실행해 보아서 어떤 것이 nabi 0.14 버젼인지 확인하세요.
서비스에서 시스템 셋팅 -> 서비스 셋팅으로 들어가 보면
LLIM 이 부팅할 때 서비스로 시작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해지해 줍니다. 해지후 SAVE
/etc/sysconfig 에 있는 i18n 파일을 엽니다.
이것을 다음과 같이 고칩니다.
LANG="en_US.UTF-8"
SUPPORTED="en_US.UTF-8:en_US:en:ja_JP.UTF-8:ja_JP:ja:ko_KR.UTF-8: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export LANG=en_US.UTF-8
export XIM_PROGRAM=/usr/local/bin/nabi
export XMODIFIERS="@im=nabi"
export GTK_IM_MODULE=xim
여기에서 /usr/local/bin/nabi 는 나비가 설치된 곳이 /usr/local/bin/ 일 경우에 해당합니다. 아까 whereis 에서 확인한 폴더를 여기에 적습니다.
리부팅하면 영문 FEDORA 상태에서 한글을 쓸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홍순신님의 댓글
- 홍순신
- 작성일
리눅스 다시 설치해서 해결했습니다. 제일좋은 방법은 한글 선택해서 풀로 까는겁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돼세요.
나비도 rpm 버전 강력 추천 합니다.
http://nabi.kldp.net/englisth.html 의 Document 메뉴에 보시면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홍순신님의 댓글
- 홍순신
- 작성일
http://kldp.net/frs/download.php/2560/nabi-0.15-2.fc4.i386.rpm
여기서 rpm 버전 받아서 Documnet 메뉴 에 있는 내용 적적으로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