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호스트 잡기 질문입니다.

작성자 정보

  • 국이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약간은 변칙적인 케이스 입니다. 사용된 예제 도메인은 모두 실 도메인 입니다.

일단 aaa.com 이라는 도메인이 있습니다.

기존에 이 도메인은 a_server 에 잡혀 있던 주 도메인이었습니다.

호스트로 잡혀 있는 도메인은 없고, 외부의 ns(ns1.sdsns.com)로 모두 접근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bbb.com이라는 도메인을 호스트로 사용하려고 호스트 등록(ns1.bbb.com)을 하고,

주 도메인으로 세팅(네트웍부분 모두 수정)을 하였습니다.

uname -a 의 확인내용 ==> Linux www.bbb.com 2.4.20-30.8.legacysmp #1 SMP Fri Feb 20 17:13:00 PST 2004 i686 i686 i386 GNU/Linux

모든 작업이 끝났다고 생각되어 ccc.com이라는 도메인을 ns1.bbb.com으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사이트가 안뜹니다. ㅠㅠ (named.conf 와 zone파일은 잘 설정을 하였습니다.)

bbb.com이 호스트 도메인 임에도 불구하구 외부의 ns(ns1.sdsns.com)로 접근이 되어 있어서 그런것인가여? 그렇담 bbb.com 의 ns가 ns1.bbb.com이 되면 되는것인가여? 아니면 제가 어떤 작업을 잘못하여서 그런 것일까여?
답변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댓글 1

장병훈님의 댓글

  • 장병훈
  • 작성일
bbb.com과 ccc.com 도메인 실제 도메인인지 아님 가상 도메인인지 써놓으신 글로 봐서판단하기 애매 하네요.
실제 도메인 일경우 해결 방법
1. 도메인 등록기관
whois 실제 도메인이면 DNS서버 "aaa.com" "bbb.com" "ccc.com"에 네임서버 등록 정보가 (aaa.com/bbb.com/ccc.com)동일 한지 http://dom.inames.co.kr/manage/show_whois.html?에 가셔서 해당 도메인 이름을 넣고 검색해보세요.

aaa.com만 정상적으로 맞는 DNS가 잡혀 있을 듯 하네요.
정식 도메인일경우 ".com"은 네임서버를 바꾼 시간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정책적으로 네임서버 변경후 대략 1일(24 시간정도)정도 걸립니다.

2. DNS를 세팅해놓은 서버
DNS를 세팅해놓은 서버에 bbb.com ccc.com을 찾아가기 위한 세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윈도우 명령어창(cmd)에서 nslookup -querytype=ns aaa.com을 치시면 아래처럼 나와야 합니다.
아래는 슈퍼유저리눅스 DNS를 세팅해놓은 서버 확인한 예문 입니다.
-----------------------------------------------------------------------------
C:>nslookup -querytype=ns superuser.co.kr
Server:  superuser.co.kr
Address: 222.97.189.1

Non-authoritative answer:
superuser.co.kr nameserver = ns.suidc.com(네임서버 도메인 이름)
ns.suidc.com    internet address = 222.97.189.1(실제 네임서버의 IP)
-----------------------------------------------------------------------------
만일
*** can't find bbb.com: Non-existent domain
이라고 보인다면 DNS를 세팅해놓은 서버 또는 도메인 등록기관에 등록된 네임서버 등록정보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72 명
  • 현재 강좌수 :  37,042 개
  • 현재 접속자 :  27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