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리눅스계열의 jsp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자 정보
- red/fedora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21 조회
- 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안녕하세요..
벌써 4주째 접어 들면서 있던 개념도 사라지고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jsp를 이용한 웹을 만들어 볼려고 하는데
환경 구축부터 잘 안되네요..환경구축관련 몇가지 질문을 올립니다...
첫번째 => 레드햇9 + 오라클9i + 아파치 + 톰캣(연동) => 테스트
두번째 => 페도라5 + 오라클9i + 아파치 + 톰캣(연동) => 테스트
세번째 => 레드햇9 + mysql + 아파치 + 톰캣(연동) => 테스트
네번째 => 페도라5 + mysql + 아파치 + 톰캣(연동) => 테스트
벌써 4주차 접어드는데 오라클은 2주전에 성공을 했으나 실행시
에러가 계속 발생합니다..여기저기 찾아보고 오류잡고 노력한 결과를 보여주지않더라고여
그래서 다른 하드에 mysql로 디비를 사용할려고 지금 마무리했습니다만 이마저도
이젠 안되네여..
질문 >> jsp 웹을 할려고 합니다..여기저기 찾아보고 개념을 잡았다 생각했는데
아직 그게 아니더라구요...리눅스서버를 만들어 jsp 를 할려면 설치도구가 정확하게
무엇을 깔고 어떻게 테스트하고 오라클사용시 테스트 방법과 mysql사용시 테스트방법
등 설치도구와 테스트 방법등...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답변이 아니라도 좋습니다. 리눅스+오라클을 이용한 jsp 설치도구만이라고 알려주세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
김원식님의 댓글
- 김원식
- 작성일
저도 하수이긴 하지만, 아는대로 함 적어봅니다.
JSP가 돌아가게 하려면 다음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1. OS 설치(Linux 또는 Solaris)
2. Apache 설치
3. Java 설치 : 설치후 환경설정도 잘 하셔야겠죠.
4. Tomcat 설치
5. Apache-Tomcat 연동 : 여기가 가장 까다로우면서 잘 안되는 부분입니다.
톰캣 사이트(tomcat.apache.org)에 가서 찾아보시면 Apache Tomcat Connector라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mod_jk 등이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JK로 통합된 것 같네요. 아무튼, 이 컨넥서 소스를 받아서 컴파일을 해야 합니다. 물론 OS와 Apache 버전에 맞춰서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찾아보실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직접 컴파일을 하시는게 가장 안전빵(!)입니다. 컴파일시 Apache 내부의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므로, 이전에 꼭 Apache가 깔려있어야 되고, 또 컴파일 환경도 맞춰줘야 하는데 정말 번거롭습니다.
6. DBMS(Oracle 또는 MySQL 등) 설치
7. JDBC로 연동 : 이 부분도 제가 잘 모르는 부분이라서 뭐라 답을 드리기 곤란하네요.
제 생각에는 일단 윈도우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면서 메카니즘을 이해하신 후에 리눅스 등에서 시도하시는 것이 나을 듯 하네요. 윈도우에서는 컨넥터를 컴파일하지 않아도 바이너리가 제공되거든요.
JSP가 돌아가게 하려면 다음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1. OS 설치(Linux 또는 Solaris)
2. Apache 설치
3. Java 설치 : 설치후 환경설정도 잘 하셔야겠죠.
4. Tomcat 설치
5. Apache-Tomcat 연동 : 여기가 가장 까다로우면서 잘 안되는 부분입니다.
톰캣 사이트(tomcat.apache.org)에 가서 찾아보시면 Apache Tomcat Connector라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mod_jk 등이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JK로 통합된 것 같네요. 아무튼, 이 컨넥서 소스를 받아서 컴파일을 해야 합니다. 물론 OS와 Apache 버전에 맞춰서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찾아보실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직접 컴파일을 하시는게 가장 안전빵(!)입니다. 컴파일시 Apache 내부의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므로, 이전에 꼭 Apache가 깔려있어야 되고, 또 컴파일 환경도 맞춰줘야 하는데 정말 번거롭습니다.
6. DBMS(Oracle 또는 MySQL 등) 설치
7. JDBC로 연동 : 이 부분도 제가 잘 모르는 부분이라서 뭐라 답을 드리기 곤란하네요.
제 생각에는 일단 윈도우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면서 메카니즘을 이해하신 후에 리눅스 등에서 시도하시는 것이 나을 듯 하네요. 윈도우에서는 컨넥터를 컴파일하지 않아도 바이너리가 제공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