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load average에 관해서
작성자 정보
- 홍보성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8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CPU 사용률과 CPU 로드 상태를 혼동 하신거 같습니다.
load average는 5분단위로 3개의 상태를 표시해 주는데 top에서 보면
load average: 1.00, 1.00, 1.00
15분동안 계속 1개의 프로세스가 I/O Sleep상태(Uninterrupted Sleeping)인것을 알 수 있다는 겁니다.
프로세스 상태는 DW 상태인경우이고 이는 IO는 발생하지 않지만 실제 프로세스가 정지 명령 인터럽트로 인한 정지상태가 아니고 I/O가 없는 무한 반복문 같은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CPU의 사용률을 증가 시키는 요인이 아닐 수 있죠. I/O가 없는데 CPU 사용률이 많이 올라갈일은 없죠.
항간의 말로는 Load Average가 2.0 이상이면 Delay가 발생한다는데 아직 확인된바는 없습니다. CPU의 갯수에 관계가 있죠.
하나의 CPU Processor를 하나의 Process가 무한반복문을 처리하기 위해서 소비되고 있다면 분명 해당 CPU는 다른 Process를 처리할 수 있는 여유가 없겠죠.
Dual core나 Hyper threading 등을 통한 처리라면 무한 반복문을 가상 CPU 갯수만큼 처리 할수밖에 없다는 말인데 뭐 안해봐서 증명되진 않았습니다. ^^
심심하면 해보시고 결과 올려주세요.
Uninterrupted Sleeping 상태인 Processe를 확인 하고 싶다면 ps -auxr 옵션으로 확인해보세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