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build 및 컴파일시 옵션에 대하여 (-L or -I)
작성자 정보
- 임근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45 조회
- 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CPPFLAGS=-I/usr/local/courier-authlib/include ( 소문자 '엘'이 아닌 대문자 '아이' 입니다.)
COURIERAUTHCONFIG=/usr/local/courier-authlib/bin/courierauthconfig
CFLAGS="-DHAVE_OPEN_SMTP_RELAY"; export CFLAGS
env LIBS="-L/usr/lib/mysql -lmysqlclient -lz"
==> -I , -L , -l에 대해서 하나하나 말씀드리겠습니다. 개발을 할때 자주사용되는 함수들이나 특정 기능을 하는 파일들을 모아서 종종사용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파일로
만듭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러한 파일들을 /lib/ /usr/lib라는 공용 폴더에 보관합니다.
-L(대문자 L) 은 위의 공용 라이브러리 폴더에 있지 않고 개별적은 만들 라이브러리를
포함시킬떄 사용됩니다. 그래서 잘보시면 디렉토리가 붙게되져 -L/usr/lib/mysql처럼
그리고 -l(소문자 L)은 공용폴더에 있는 라이브러리 인경우 사용됩니다.
나머지 -I(대문자 i)는 보통 우리가 리눅스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할떄
#include "mylib.c" 이렇게 하는 문구를 보셨을 겁니다. 이러한 include용으로 직접
만든 파일들의 디렉토리를 포함시키고자 할떄 이 옵션을 사용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
전병준님의 댓글
- 전병준
- 작성일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궁금증이 해소 되었습니다.
덕분에 궁금증이 해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