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해킹여부 ->웹서버 실행이 안됩니다.

작성자 정보

  • 홍석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안녕하십니까?

리눅스서버보안관리실무(http://superuser.co.kr/linuxsecurityadmin/) 저자 홍석범입니다.

이는, 아래에서도 여러번 답변을 드린 내용인데, 작년말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ssh를 통한 brute force 로서 쉬운 암호를 사용하는 계정에 대한 일종의 무작위대입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저들이 1234나 1111등 쉬운 암호를 사용한다는 점을 악용하여 무작위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실제 공격을 통해 로그인에 성공했는지의 여부는 last를 실행해 보아야 알 수 있으며 언급하신 파일의 내용만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또한 단순히 ssh에 대한 접속시도이므로 웹서버 실행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1. john the ripper 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쉬운 암호를 사용하는 계정을 찾아 암호를 어렵게 설정 변경하고 --(본서47p에 자세한 안내참조)

2. ssh 설정에서 허용된 유저만 또는 허용된 ip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 설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또는 port 번호를 22대신 825와 같이 변경하는 것도 무작위 스캔에 대한 대응방법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본서 284p-SSH보안-에 자세한 안내 참조)

3. 그러나 가장 좋은 방법은 iptables 방화벽으로 커널 레벨에서 접근 통제를 엄격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일일이 로그를 체크하지 않더라도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본서를 보시면 iptables 방화벽의 활용방법에 대해 자세하세 설명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72 명
  • 현재 강좌수 :  37,042 개
  • 현재 접속자 :  374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