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자문 자답 : NIS Proftpd
작성자 정보
- 윤찬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37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결국 뉴스그룹까지 무진장 뒤져가면서 찾게 되었습니다.
(너무 기쁩니다.)
리눅스 : redhat 9.0
ftp : proftpd-1.2.8-kr
뉴스 그룹에는 이런 경우 몇 check point 를 남겨두었습니다.
1. 첫번째로 etc/shells 화일의 내용이였습니다.
서버측의 passwd 화일의 내용중 마지막에 들어가는 shell 내용이
클라이언트쪽의 etc/shells 의 내용과 불일치 할경우
클라이언트쪽의 etc/shells 화일에 사용자 shell 내용을 추가하는 경우 해결.
(뉴스그룹에 내용을 대충 해석하면 이런거 같습니다.)
2. 서버측과 클라이언트측의 etc/shells 내용의 일치할 경우
클라이언트 측의 proftpd.conf 화일에 'PersistentPasswd off' 항목을 해주면 된다.
더 있었던것 같은데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뉴스그룹에 힌트를 얻어 한국 proftpd 유저그룹에서 정보를 뒤져본 결과
---------------------------------------------------------------------------------------
PersistentPasswd 지시자는 proftp 가 어떻게 인증 user/group 비교 그 리고 name mapping을 위해 user/group 이 조정 되는지를 조절한다. On 으로 설정을 하면, proftpd 는 시스템 전반적으로 사용이 되어 지는 /etc/passwd, /etc/group (그리고 어쩌면 /etc/shadow를) 파일들을 열 려고 시도를 할 것이며, chroot() 로그인이 적용 되어 있는 동안 이 파 일들을 열어 놓고 있을 것이다. (/etc/shadow 는 보안상의 이유로 결코 계속 열어 놓고 있지는 않는다는 것을 주의하라.) 어떤 플랫폼 에서는, chroot() 안에서는 libc function 들이 이 database 에 접근할 수가 없 으므로 이 option 을 반드시 on 으로 해 놓아야 한다. proftpd 설치시 configure 를 할때, 설정 script는 이 지시자의 지원이 필요로 할지 여 부 감지를 시도할 것이며, 기본으로 compile 을 할것이다. 그러나 이러 한 "감지"는 실패할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이것을 on 으로 또는 off로 설정을 해 줘야 한다. anonymous login 을 했을때 directory list 에서 user 또는 group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면, 이 지시자를 on 으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AuthUserFile 또는 AuthGroupFile 지시자의 사용은 PersistentPasswd 의 설정에 상관없이 user 또는 group database file 들을 통해 부분적인 지원을 강제로 하게 할 수도 있다. 주의: NIS 또는 NIS+ user 들은 proftpd 가 기본으로 이 설정을 감지한 다고 해도 이 지시자를 off 로 하는 것이 좋다. on 으로 설정 한다면, NIS/NIS+ mapping 이 작동을 안하게 될 수도 있다.
---------------------------------------------------------------------------------------
일단 저 같은경우 2번의 경우로 해결을 보았습니다.
다른 경우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혹시나 저같은 경우로 고민하시는 분이 있다면
꼭 해결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