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레벨3 질문좀...;;;

작성자 정보

  • ㅎㅎ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려보자.
[level3@drill level3]$ set | less

*중략*
IFS=

*중략*

PATH=/usr/local/bin:/bin:/usr/bin:/usr/x11R6/bin

위의 예처럼 PATH에 잡혀진 경로 순서대로 명령어를 찾아 이 경로에 명령어가 존재하면
어느 디렉토리에서나 명령어가 실행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PATH에 /usr/man/pt_BR/man8이라는 경로를 추가해 주면 today라는 명령은
어느 디렉토리에서나 실행되어지는 것이다.

위의 PATH에서 알 수 있듯이 today란 실행파일은 date란 명령어를 사용해서
만들어 졌고 date란 명령어는 /bin 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today란
파일을 실행시켰을 때 level4의 권한으로 /bin/date란 명령어를 실행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date는 /bin하위에 위치해 있는 PATH가 설정된 명령어이고 today는
date라는 명령어를 필요로 하는 PATH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외부명령어인 것이다.

===================================================
set | less <----이건 어떨때에 쓰는거죠 ...???

그리고....today란 실행파일은 date란 명령어를 사용해서 만들어졌고 date란 명령어는 /bin 하위에 위치하고있다.
라는걸 어떻게 알죠...???

어디에 써있는거죠...;;;

그리고 저기 위에 PATH는 뭘 나타내는거죠 ...??

어느경로를 말하고 있는건가요 ...???

그냥 경로라는건아는데...;;;

저것을보고 어떻게 today와 date의 관계를 알아내는거죠..?

그리고 파일 만드는거에서요...;;

#!/bin/sh
해석)사용할 쉘 지정
/bin/pass
해석)명령 내용 지정

#! 이것은 뭐지요...??
그리고 /bin/sh말고 /bin/bash를써도 돼나요...??
저기...sh와 bash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그리고.....저것처럼 다른 파일만들때도 구성이 같나요...??
그러니 다른파일만들때에서도
사용할 쉘 지정한후에
명령 내용 지정
이런식으로 구성이 같은가요....?

그리고 ....
[level3@drill tmp]$IFS=/
[level3@drill tmp]$export IFS <---바뀐 내용을 컴퓨터에게 알려줌
이것이 무슨뜻인지 좀.... ;;;; 이해가 안가요...;;;

그리고....;;
[level3@drill tmp]$PATH=/tmp
[level3@drill tmp]$export PATH
이것도 이해가 안가요....ㅠ.ㅠ

제가 생초보라 질문을 너무많이 드려서 죄송합니다....ㅠㅠ

리눅스 진짜 열심히 배워보고 싶은데...;;;;

답변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66 명
  • 현재 강좌수 :  37,037 개
  • 현재 접속자 :  28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