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ㅋ; 공부하다가 또 막히네여..^^;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1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답변 1 :
rpm 으로 설치된 데몬들의 start와 stop 관리는 /etc/init.d/ 라는 디렉토리의 스크립트로 제어됩니다.
그 스크립트의 내용중에 stop 에 해당하는것은 kill 명령을 이용하는것이 맞습니다.
데몬이 start 할때 사용하는 pid 를 따로 저장해 놓고 stop 할때 그 pid를 kill 해주는겁니다.
소스 컴파일해서 운영되는 mysql 이나 apache도 마찬가지구요.
답변 2 :
RPM 이라는것은 redhat 만의 독특한 패키징 기술입니다.
Redhat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은 RPM 으로 모든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RPM 기반이 아닌 다른 배포판은 엄청 많습니다.
답변 3 :
rpm -e 옵션으로 패키지를 삭제해도 되고 새로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이
RPM 버젼이면 rpm -Uvh 로 업그레이드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RPM 패키지들은 -e 옵션으로 모두 삭제가 깔끔하게 되구요.
소스컴파일해서 설치할땐 일반적으로 --prefix 라는 컴파일 옵션을 주어
설치를 합니다. 그래서 --prefix로 지정된 디렉토리에 모든게 설치되는데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할때 이 디렉토리만 지우면 깔끔히 사라집니다.
당연히 서버데몬같은 프로그램은 지우기 전에 killall 로 프로세스를 다 죽여줘야 되구요.
어떤 프로그램은 make uninstall 이라는 것을 지원하는것도 있습니다.
이럴경우 소스컴파일에 사용한 소스들을 보관해 놓고 있다가 삭제시에 소스 디렉토리로 가서
make uninstall 하면 삭제가 됩니다
답변 4 :
소스 컴파일로 설치할땐 기본의 똑같은 프로그램이 RPM으로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과 상관없이 설치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똑같은 프로그램이 깔리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기존의
것은 지우고 새로 깔죠..
GNOME , KDE 는 Xwindows의 한 종류입니다.
나머지 답변..
RPM 이라는것에 대해 문서를 찾아보고 공부를 해 보심이 어떨런지요..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답변으로 대신할 수도 있겠지만 직접 부딧쳐 가면서 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공부하신지 일주일 되셨다니 쫌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리눅스와 친해져 보세요..
전 첨 공부할때 리눅스 설치만 2주 걸렸답니다....
시스템에 대한 궁금증은 직접 시스템을 파헤쳐 가면서 공부하세요.
이태성 님의 글
질문1.kill로 프로세즈를 죽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그 프로세스를
살릴려면 데몬을 활성화 하면 되구요... 제 애기가 맞나요?
그렇다면 죽인 프로세스는 제부팅하면 살아나나요?
물론 데몬을 활성화 하면 되겠지만 말이죠.... 이게 궁금하네요.
또 중요한건 데몬이 죽었다는건 kill -9 PIU 나 killall PIU로
죽였다는 뜻으로 생각 하면 되나요? 참 궁금하네요...
질문2.리눅스를 컴퓨터에 처음으로 깔았고 부팅을 시켰습니다.
그리고 리눅스라는걸 깔때 프로그램 같은건 컴퓨터에 첨으로
깔때 rpm 형식으로 깔리는 걸까요?
rpm형식이 아닌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등은 있는지???
제가 아는게 tar.gz 방식이 있는데...
이걸로 깔리는건 없나요? 갑자기 궁금하네요.
질문3.그리고 말이죠.. 이번 질문은 리눅스에서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새로 깔때 말이죠~
여러가지 형식이 있겠지만 rpm형식으로 깐다면 기존에 rpm이
있던걸 #rpm -qa | grep 파일명으로
검색하고 지우고 나서 깔아야 되죠. 그런데 기존의 프로그램을
소스를 푸는 푸는 방식(tar.gz)으로 깔았다면 그건
어떻게 프로그램을 삭제하나요?
음... kill 로 프로세스 죽이고 해당 폴더죽이는게 맞아여?
#find / -name qmail* 이걸 쓰면 된다지만
폴더가 좀 많아야죠~. 다른 곳에 그 파일이 있을수도 있고.....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하구요,
다른 방식은 없나요?
참고로 학교에서 E-mail-server를 공부하는데 음...
apache, mysql, qmil, ucspi_top, daemontools,
checkpassword, lmap, libiconv, PHP, hcode 등을 깔고
설정을 한답니다. 이러한건 "tar.gz" 소스 풀기로 해서
깔고 ./configure 를 설정및 vi를 이용한 편집을 한답니다.
이런걸 하면서 느끼는건데 만약 위의 예제로 소스풀기 형식으로 깔면
어떻게 프로그램을 지우는지 궁금해여~?
요지는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추가 삭제형식 또한 궁금하답니다.
질문4.제가 모질라를 mozilla-1.7.3.tar.gz를 다운을 받고
"Gnome"에서 한글 패치를 깔아서 실행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그놈"안에 볼래 옛 버전 모질라고 깔려있죠... 제가
생각할때는 rpm으로 죽이고 까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하다가 소스풀고 /install을 시켜 이상없이 깔았거든요.
물론 소스형식파일을 받아서 이래 했지만 만약 rpm형식 파일을
받았다면 rpm을 검색하고 안지우고 바로
#rpm -Uvh mozilla-1.7.3......rpm 이렇게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깔아도 되나요?
아까 애기한 소스 형식깔때는 #rpm -e mozilla
명령을 안쓰고 바로 소스형식으로 풀고 깔았는데 모질라 기존의
rpm을 안지우고 깔아도 되는데 이게 모질라만 해당하나요?
모질라 깔고 설치한 모질라 실행파일에 파일등록정보로 들어가서
로테이트 위치를 /usr/local/mozilla/mozilla 이렇게 새로 해주니까
실행이 안 물리고 되더군요...
그래서 이번엔 새로 깐 리눅스에 KDE에서 모질라를
'그놈' 데스크 탑에서 설치하듯 위의 방식데로 KDE데스크에서
깔아봤더니 KDE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이 되더니만 세션에서
그놈으로 들어가서 모질라를 실행해보니 네스케이프 인터넷창 밑에
빨간색 명령어 같은게 생기면서 아무래도 에러같던데....
KDE랑 Gnome이랑 뭐가 틀려서 에러같은 빨간 글이 나타나는건
가요?
물론 인터넷은 사용할수 있습니다 밑쪽에 빨간글은
그대로 있으면서 실행은 계속 되니까요... 왜 그럴까요?
이에 관련해서 말이죠...~
음..... gnome이나 kde가 리눅스 상에서 서로 어떤게 연관이 되는지
그리고 둘중 하나 데스크 탑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한걸
다른 데스크에서도 실행이 이상 없이 되는지 이 개념이 궁금해요~?
질문5. 프로그램 추가 삭제 형식에 관한 질문이거든요~
질문3에 이어서 해기하는거지만 이걸 뒤에 넣은 이유는
나중에 말해드리죠..(_ _);;
음... 궁금해서요... ami를 삭제하고 다시 까는 질문인데요..
제가 아미를 #rpm -e `rpm -qa |grep ami*` --nodeps 형식으로
지웠거든요... 일부러 제부팅 해봤죠
근데 한/영 키가 먹히던데.... 잘못 지웠나요?
그리고 누가 ~/.ami/ami.conf 를 지우고 깔아라 해서
그냥 머도 모르고 해서 지웠죠...
근데 문제를 ami를 까는 방법부터 모르겠더군요.
소스는 "ami.....tar.gz"를 받아 풀고 했더니
ami 디렉토리안에 configure 있지만 설정하는 법을 몰라
그냥 #./configure 이렇게 실행시키고 난뒤 #make....#make install
순서로 깔고 난뒤 아무 에러 메세지는 안보이더군요.
그리고 ~/.ami/ami.conf 폴더에 파일을 찾아보니 ~/.ami/ami.conf
이게 없더군요... 음.......--;
아미를 깔때 하는 방법을 문의하고 싶고요
아미를 설치하기 전에 지워야 되니까 지우는 방법하고
그리고 깔때 소스를 풀고 깔면서
./configure 설정같은건 어떻게 하는가하고... make... make install
순서로 까는게 맞는지 그리고 재대로 깔리고 실행이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모질라를 위의 질문3쪽에 있는 형식인 tar.gz 모질라 파일로
받아서 소스 푸는 방식으로 깔았다면 삭제할때는 어떤식으로 하면
되나요?
질문6.프로그램 삭제... 그리고 새로 깔때 궁금한거 마지막입니다.
리눅스에서 rpm으로 깔린걸 rpm으로 삭제하고 나서
소스로 깔던 rpm으로 깔던지~ 아니면은 그 반대로
소스파일으로 깐걸 어떤식으로(?) 지운걸 rpm으로 깔던 소스로 깔던
상관이 없는거죠?
그리고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다시깔땐 rpm 업그레이드 말고는
꼭 해당 프로그램 rpm을 지워야 하는거죠?
질문7. 마지막 질문입니다. 리눅스 새로 깐 상태에서
#rpm -qa |grep mysql
로 확인해서 rpm을 지우고 mysql깔고 지금은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말이죠~ mysql 깔며서 오류가 나서 잘못 깔았을때 다시 깔아야
할 상황일때 덮어쓰기는 안되잖아요. 그래서 잘못 깔린 mysql의
활성화 된 mysql데몬인가? httpd데몬인가?---> 이 부분도
궁금하네요~ㅋ;
mysql깔면 httpd, mysql 이 글자는 어떤 형태로 쓰이는지
이부분이 말이죠~ 궁금해여...--;
다시 말을 이어서~~~~
kill을 이용해서 kill -9 PUI 나 killall mysql 을 이용해서
프로세스를
죽인후에 다시 깔면 되죠?
mysql을 새로 깐다면 제가 생각하는게 맞나요?
kill로 죽이는거.... 다른건 없죠?
ps.
이제 이게 머리속에 떠나지가 않아 공부하는데 진도를 조금밖에 못나겠네요...
음.... 시간도 요즘 부족하게 느껴질만큼 리눅스공부중인데...ㅋ;;
잠시 밖에서 혼자 농구로 몸 좀 풀다가 컴퓨터에 질문남기려는데 코피가
살짝 굳은걸 봤는데 우습더군요.
이거 본격적으로 시작한지 1주일 정도인데... 물론 그동안의 학교
컴퓨터 공부를 안했던 나인데.... 지금 제모습이 희비가 교차하네요...
환절긴데 몸 건강 잘 챙기세여~
그리고 제 글에 답변 달아주셨던 관리자님부터 여러유저님들 감사드립니다.(_ _);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