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계정으로 사용할때...........
작성자 정보
- 이동열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8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네 일반 유저 생성시!
가상호스트는 건들지 않아도 됨니다.
질문자께서 말슴하셨듯이!
http://dddddd.com/~comter/ 이렇게 하셔도 유저의 디렉토리의 인덱스가 보임니다.
단!!
가상호스트를 건들때는 아래와 같습니다.
질문자 글!!
serveradmin webmaster@100.100.100.100
documentroot /home/comter/public_html
servername ??????? ==이부분은 어떻게처리하죠? (100.100.100.100)
답변 글!!
serveradmin webmaster@100.100.100.100
documentroot /home/comter/public_html
servername comter.dddddd.com <------- 이렇게 하시면 됨니다.
요기 comter는 임으로 정하셔도 됨니다.
유저의 ID와 상관없이 정하셔도 됨니다.
이건 유저에게 서브도메인 즉 2차도메인으로 접속을 할수있게 할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시고, 서브도메인 즉 ns에 등록시키시면 http://comter.ddddd.com 으로 접속이 됨니다.
이것이 가상호스트 유저에게 서브도메인을 줄때 사용합니다.
왕초보 님의 글
안녕하세요..
어제에 이어 오늘 글을 또 올립니다..
제가 페도라코어3을 설치를 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공유기는 사용안하고 사설아이피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
아파치 설정 파일에서 http://100.100.100.100은 /var/www/html 밑에 index.html을 만들어놔서 정상적으로 잘 보이는데요 http://100.100.100.100/~comter를 설정할려고 하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httpd.conf파일에서 수정을 하나도 안하고 comter라는 계정만 생성하고 public_html/index.html을 만들고 URL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되나요?
아니면 가상호스트부분에다가
serveradmin webmaster@100.100.100.100
documentroot /home/comter/public_html
servername ??????? ==이부분은 어떻게처리하죠? (100.100.100.100)
중간생략
이부분도 설정해줘야 하는지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가상호스트를 설정할때만 해주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일반계정사용자설정도 어렵고 가상호스트도 어렵네요..
가상호스트 부분도 같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꾸벅..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