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RedHat9에서 한글사용을 어떻게하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RedHat 9에서 한글사용을 어떻게 하죠??
RedHat 9 설치는 문제없이 돼었습니다.

==> RedHat 9 에서는 콘솔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커널을 패치 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분 하지 않습니다. 콘솔로 접속할 일이 거의 없죠~
 하지만, Xwindow를 사용하면 한글이 가능하죠. 한/영전환은 ctrl + space

 

터미날이나 vi, G텍스트편집기, 인터넷에서도 한글 사용이 안됩니다.
shift+space 키를 누르면 한영전환이 되야할텐데  안되네요 ㅠ.ㅠ
한글사용 좀 도와주세요
==>  ssh , telnet등으로 접속하면 한글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서버는 콘솔에서 한글을 사용하지 않고, 원격접속에서 한글을 사용합니다.
한글 사용법은 /etc/sysconfig/i18n 파일을 편집하면 ssh 등 접속에서 한글 사용이 가능합니다.

궁금해서 추가로 질문합니다.
1. 호스팅 회사들은 주로 어떤 배포판을 사용하나요?
==> 회사들마다 .. 테스트 최적화 한 다음 사용합니다.

2. 서버구축시 호스팅 회사들은 APM을 rpm으로 설치하나요? 아님
컴파일소스로 설치를 하나요?
==> 대부분 컴파일로 설치합니다.
3. 두 APM 설치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 rpm은 설치가 편하다.
    컴파일은 : 업그래이드가 용의합니다.
4. 컴파일소스로 APM 설치를 한다면 아파치 모듈탑재시 DSO방식과 Stitic 방식이 있다고 하는데 요기 사이트를 보변 Stitic 방식으로 설명이 되어있는데, 둘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 DSO 모듈 load 및 unload 에 overhead가 있지만, 필요시 로드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Static 는 모듈방식의 overhead는 없지만, 메모리 효율이 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호스팅 업체의 마인드에 따라 다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76 명
  • 현재 강좌수 :  37,051 개
  • 현재 접속자 :  33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