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외부로 나가는 랜카드 설정 방법
작성자 정보
- 안재성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4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eth0, 와 eth1
을 바꾸면 되는데 바꾸게되면 물리적 주소와 아이피정보가 바뀌니까..
먼저 eth0 을 열어
eth1의 아이피로 바꾸고 물리적이더넷카드 주소는 지워주시구요. 충돌날수있으니까..
eth0 을 다른이름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다음 eth1을 열어 똑같이 eth0의 아이피로 바꾸고 물리적이더넷카드 주소 지우고
이 eth1 을 eth0으로 바꿉니다. 그다음
원래 eth0 을 다른이름으로 되어있는것을 eth1으로 바꾸어주시면
기존설정 그대로 랜선도 뽑을 필요도 없이 나가는 장치가 eth0으로 바뀌게 됩니다.
모든것이 퍼펙트하게 되었다 싶으시면
/etc/rc.d/init.d/network restart 로 적용 시키시면 되겠습니다.
(혹시 모르니 작업하기전 두 파일을 다른곳에 저장해두고 혹시 머가 잘모되어 네트워크가 안뜨거나
이상하면 저장해둔거 다시 풀면 돌아오겠지요... 그럼..)
을 바꾸면 되는데 바꾸게되면 물리적 주소와 아이피정보가 바뀌니까..
먼저 eth0 을 열어
eth1의 아이피로 바꾸고 물리적이더넷카드 주소는 지워주시구요. 충돌날수있으니까..
eth0 을 다른이름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다음 eth1을 열어 똑같이 eth0의 아이피로 바꾸고 물리적이더넷카드 주소 지우고
이 eth1 을 eth0으로 바꿉니다. 그다음
원래 eth0 을 다른이름으로 되어있는것을 eth1으로 바꾸어주시면
기존설정 그대로 랜선도 뽑을 필요도 없이 나가는 장치가 eth0으로 바뀌게 됩니다.
모든것이 퍼펙트하게 되었다 싶으시면
/etc/rc.d/init.d/network restart 로 적용 시키시면 되겠습니다.
(혹시 모르니 작업하기전 두 파일을 다른곳에 저장해두고 혹시 머가 잘모되어 네트워크가 안뜨거나
이상하면 저장해둔거 다시 풀면 돌아오겠지요... 그럼..)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