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웹서버 부하..java 99.6% 조언부탁드립니다.

작성자 정보

  • 임근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D USER     PRI  NI  SIZE  RSS SHARE STAT %CPU %MEM   TIME CPU COMMAND
 1578 root      25   0  320M 320M 28736 S    99.6 31.8 663:50   0 java

===> 1578이라는 PID를 가지는 java process의 RSS를 보시면 320M나 됩니다.
일반적으로 1.4의 경우 50M정도, 1.5의 경우 70M정도의 공간을 디폴트로 지정되다가
malloc과 같은 메모리 할당이 있을경우 Resident Set Size가 쭈욱 올라갑니다. ....
지금 320메가나 되는 것을 보면 Java기반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이  열심히 무언가의
 미션을 위해서 열심히  작동중임을 알수 있씁니다.
JVM하에서 실행중인 자바프로그램의 검토해보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

* CPU : CPU 사용율이 높은 Process ID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해보고자 한다면
#> strace -c -o strace.out hello.o [Enter]
이렇게 하면 strace.out에 점검결과 내용이 저장됩니다.

이하여백.

관련자료

댓글 3

유지흠님의 댓글

  • 유지흠
  • 작성일
위에서 적어주신 명령어 대로 치니 이렇게 나오는데요..
strace : hello.o : command not found

임근식님의 댓글

  • 임근식
  • 작성일
흑... 예제로 보여드린 것인데 그대로 같이 치시면 곤란합니다 ㅡ.ㅡ;;
프로세스를 많이 잡아 먹는 프로세스 데몬의 프로그램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CPU점유율이 계속 90%이상인지 xosview  같은 프로그램으로 확인해
보세요.

캡틴퓨처님의 댓글

  • 캡틴퓨처
  • 작성일
혹시 재부팅후에도 계속 CPU 점유율이 90%를 상해하는가요?
그렇지 않고, 재부팅 후 차츰 CPU 점유율이 상승한다면, 제 경험으론 JAVA 프로그램상의 오류에 의한 MEMORY LEAK 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JAVA 프로그램이 문제일것이죠.. 보통 윈도우2003에선 잘 돌아가는데, 윈도우2000에선 MEMORY LEAK 에 의해 잘 안돌아가는 경우 그럴수 있습니다.
리눅스는 안정적이라, CPU 점유율이 그렇게 올라가는 경우 잘 보지 못했는데, 일단 JAVA 프로그램이 의심스러우시면, 메모리 용량을 증가해서 확인해보십시오.. 메모리 증설했을때, 그렇지 않다면 JAVA 프로그램상의 오류 맞을것입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73 명
  • 현재 강좌수 :  37,046 개
  • 현재 접속자 :  379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