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과 suse 의 차이점 궁금궁금
작성자 정보
- 박태혁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48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네이버에서
http://blog.naver.com/yjkboy/100019141051에 올라와 있는 글입니다.
밑에 글전에 제 짧은 견해를 적자면 ~ redhat 과 suse 의 차이점은 없다는것입니다.
리눅스는 그다지 별반 차이점이 없으나 유닉스는 각 회사별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이제까지 만져본것은 별로 없지만 차이가 꽤 나는것 같습니다.
리눅스의 버전?
먼저 버전의 무엇을 뜻하는 건지 구분을 하셔야 합니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배포판 버전을 말하는 건지 리눅스 커널 버전을 말하는 건지 구분을 하셔야 합니다.
흔히 레드햇 7.0, 8.0 SUSE 9.0하는 것은 모두 배포판 버전을 말합니다.
이 배포판 버전은 배포판을 만드는 곳에서 정하지요.
하지만 리눅스 커널 버전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 커널은 2.6.6, 2.5.30 이런 식으로 정의 됩니다.
이 리눅스 커널은 리눅스를 만든 리누스 토르발즈가 정해서 배포합니다.
그런데 커널의 버전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위의 처럼 두번째에 짝수로 된것은 안정된 버전이고 홀수로 된것은 개발 버전입니다. 그러니까 2.6.6은 충분한 테스트를 거쳐 안정화가 검증이된 안정버전이고 2.5.30은 아직도 개발중이거나 새로운 기능을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중인 개발버전입니다.
먼저 리눅스를 만드는 기준을 말씀드려야 겠군요.
리눅스도 작은 유닉스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유닉스에서 적용되는 각종 기술적 혹은 규격들을 거의 모두 계승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 규격이라는게 있는 유닉스라는 운영체제가 만들어지고 소스가 공개되자 대형 업체에서는 그 소스를 가지고 자기들만의 독특한 요소를 더해서 또 다른 유닉스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변종들은 많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변종들끼리의 호환성이 없어져가자 일정한 규격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유닉스라는 운영체제가 되기위해서는 많은 규격을 만족해야 합니다.
리눅스의 경우 또한 유닉스의 많은 부분을 계승 받았기 때문에 많은 규격들을 만족합니다.
하지만 리눅스가 유닉스의 규격들만을 계승받았다면 리눅스라고 할수없습니다.
리눅스가 되기위해서는 반드시 리누스 토르발즈에 의해서 공개되는 리눅스 커널을 장착한 유닉스여야 한다는것이죠.
유닉스의 경우는 소스가 공개되어 있으니까 마음껏 변형을 가할수가 있는데 위에서 말한것과 같은 요소를 만족만 하면 전부 리눅스라고 불릴수 있습니다.
차이점이라면 자신들이 만드는 리눅스에서 추구하는 것과 특징이 다른것이죠.
외국의 경우 레드햇, 데미안, 수세리눅스등이 있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것과 특징에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레드햇의 경우 초보자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Redhat Package Management를 독자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레드햇 하면 쉬운 사용 방법과 RPM이 떠오르곤 합니다. 레드햇은 회사죠. 영리를 추구하는 회사에서 만듧니다.
데미안은 비영리 단체에서 만듭니다. ORG에서 만든다는 것이죠. 데미안에 완벽한 GNU를 추구하며 데미안 자신만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수세리눅스는 회사인데 리눅스를 데스크탑 운영체제로의 이행을 이끌고 있다고 합니다. 유럽에서는 수세리눅스가 인기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에 경우는 주로 외국에서 만들어진 리눅스를 가지고 한글화 한다던지 좀더 한국의 유저들이 편리하게 사용할수있도록 해서 공개를 합니다. 주로 레드햇 기반의 배포판이라고 말을 하죠. 그렇다고 특징이 없는게 아니고 한컴리눅스의 경우는 데스크탑 운영체제를 추구합니다. 리눅스용 한글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리눅스를 사무용으로도 사용하거나 집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고 와우의 경우에는 서버급 운영체제인데 한글화나 유저들이 좀더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든다던지 합니다.
커널을 변경을 하기도 하지만 왠만해서는 변경을 하진 않고 커널에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추가를 시키는 형태가 가장 많습니다. 인터넷에서 구할수 있는 리눅스들은 모두 공개입니다. 리눅스는 GNU OS라고도 하는데 리눅스의 라이센스라던지 기타 제반 사항들은 모두 GNU를 따르게 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를 배우신다면 반드시 GNU를 한번 봐야 할 겁니다.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