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nfs 서비스 오류가 생깁니다.

작성자 정보

  • 권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갑자기 nfs쪽에서 오류가 발생하고있습니다.

아직 초보 공부중이라 nfs서버 구축도 안해놨는데 오류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부팅과 종료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부팅 서비스에서 제외시켰습니다.

서비스를 시작하면 서비스는 시작되는데 마운트가 안되고 있습니다.

 

 

1223010674.jpg

관련자료

댓글 2

장규승님의 댓글

  • 장규승
  • 작성일
portmap이 실행 되고 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제병걸님의 댓글

  • 제병걸
  • 작성일
음 NFS 관련하여 설정시 처음에 여러가지 제약 사항 및 추가해줘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책 및 여러군데 사이트에서 찾은 내용과 저의 실무 경험에서 느낀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Linux가 Suse Linux Enteprise 10.1 버전인지라 딴쪽과 약간 틀릴수 있는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1). NFS의 설정 파일(/etc/exports)
    설정형식:[마운트할 디렉토리] [허용할 NFS 클라이언트] (설정옵션들)
    설정옵션
            (rw): NFS클라이언트에서 read와 write가 가능하도록 한다.
            (ro): NFS클라이언트에서 read만 가능하도록 한다.
            (noaccess): NFS클라이언트에서 NFS마운트를 허용하지 않도록 한다.
            (rw, root_squash): NFS클라이언트가 root권한으로 NFS 마운트를 하면 nfsnobody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rw, no_root_squash): NFS 클라이언트가 root권한으로 NFS마운트를 하면 root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rw, no_all_squash): NFS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로 마운트를 할 경우에 동일사용자가 존재한다면
                                root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는 동일한 사용자로 매핑이 된다.
            (rw, all_squash): NFS 클라이언트가 NFS서버로 마운트를 하면 일반사용자로 nfsnobody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etc/exports 파일에 가셔서
/data/test/ *(rw,root_squash,async)  -> 해당 IP 대역대 전체IP 권한 허용
/data/test/ 192.168.0.101(rw,root_squash,async)  -> 특정 IP에 대해서 권한 허용
추가하시고 exportfs -r 해주시면 해당 폴더는 export되어서 서비스 허용된답니다.


 2). NFS 마운트 하는 방법
    mount -t nts NFS서버IP주소&호스트명:/NFS서버마운트포인트 /NFS클라이언트마운트포인트 
   
    -t nts: 네트워크파일시스템
    NFS서버IP주소&호스트명: NFS서버에서 NFS 클라이언트의 마운트가 허용되어 있는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NFS서버의 /etc/exports/에 설정되어 있어야 함)
    /NFS 서버마운트포인트: 마운트명령어를 사용하고 있는 NFS 클라이언트의 마운트포인트를 적어주면 된다.
    /NFS클라이언트 마운트포인트: 마운트명령어를 사용하고 있는 NFS 클라이언트의 마운트포인트를 적어주면 된다.
   
    Ex)클라이언트의 root 권한에서 mount를 시도하도록 한다. 
        mount 192.168.0.1:/data/test /data/test
    192.168.0.1라는 NFS서버의 /data/test를 사용하기 위한 NFS 마운트이다. 이렇게 마운트가 성공적으로 된 후에는 NF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data/test라는 디렉토리의 실제 사용위치는 NFS서버(192.168.0.1)의 /data/test가 된다.

 3) 부팅시 NFS 자동마운트 설정하기(클라이언트 서버에서 설정)
    설정옵션
    rsize=n: 지정된 NFS 서버로부터 읽어오는 바이트수를 지정한다. 기본값은 1024
    wsize=n: 지정된 NFS 서버로 쓰기를 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를 지정한다. 기본값은 1024
    time0=n: RPC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첫번째 재전송요구를 보낼 때 사용되는 시간
    retrans=n: timeout 발생시 재전송시도 횟수를 제한한 것. 기본값은 3
    port=n: 지정된 NFS 서버와 연결할 때의 포트번호 지정
    fs: 첫번째 마운트시도하여 timeout 되면 바로 중단된. default값
    intr: timeout 발생시 신호를 보내는 NFS 호출을 인터럽트함
    hard: timeout이 발생하면 "server not responding"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에 계속 재시도
    soft: timeout이 발생하면 I/O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준다.

    Ex)/etc/fstab/
      192.168.0.1:/data/test /data/test nfs time0=10, intr

    192.168.0.1 서버의 /data/test와 현재의 /data/test를 마운트하게 된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56 명
  • 현재 강좌수 :  35,910 개
  • 현재 접속자 :  22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