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nc 설정 해결 중 다시 질문합니다.
작성자 정보
- 장은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572 조회
- 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한컴리눅스(오픈아시아눅스 3.0)을 깔고 vnc프로그램으로 원격데스크톱을 하려하는데
제 원도우에서 접속이 안됩니다. 리눅스가 깔린 컴에는 Tightvnc-server를 깔고 RPM파일을 설치하고 터미널에서 서버암호설정하고 서버 작동까진 잘 되거든요.
그런데 원도우에서 접속하려고 하면 안되요. 접속 거부된다고 나오거든요. 에러코드가 10060, 10061, 10065가 나오고요. 리눅스 서버 IP는 203.252.50.127이고 도메인은 gis.skku.ac.kr인데
서버 작동시키고 윈도우컴에서 203.252.50.127:1이나 gis.skku.ac.kr:1이렇게 설정하고 엔터쳐고
에러코드가 나옵니다.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 좀 없을까요?
김동현씨 답변입니다.
VNC Server 쪽에 세팅을 다시 해줘야 할것같습니다.
우선
1. rpm -qa | grep vncserver
ps -ef | grep vnc
service vncserver status 로 확인을 해주시고
2.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다시 RPM이나, YUM
(오픈아시아눅스에서는 YUM이 될려나 오픈아시아눅스에서은 안서봐서리...^^)
으로 다시 설치 해주시고
1) yum -y install vncserver
2) service vncserver start
3. vi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를 추가해주시고
4. cd - pwd - mkdir .vnc - cd .vnc - vncpasswd(패스워드 입력)
ls -al(로 생성 확인)
5. service vncserver start
6. mv /etc/securetty /etc/securetty~ 로 변경 root 접속 허용
7. system-config-securitylvel 에서 VNC 서비스 허용(방화벽 사용시) 그 외의
포트에 5901:tcp 입력
8. vi /root/.vnc/xstartup 을 열어서 4행과 5행 주석(#) 삭제
unset
exec 부분 앞에 주석제거
9. service vncserver restart 후 원격에서 접속 해보세용
제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3번까지는 이해되는데 4번에서 패스워드 입력은 어떻게 하고
6번에서 디렉토리 변경후 root 접속허용하라는데 어떻게 하라는 건지? vi로 열면 console 밑으로
vc/1이런것만 나오는데
7.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어떻게 쓰라는 건지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김동현님의 댓글
- 김동현
- 작성일
거기서 mkdir .vnc 디렉토리를 만들고, 만든 디렉토리로 이동 cd .vnc
거기서 vncpasswd 입력하시면 vncserver 접속시 패스워드 넣으라고 나옵니다.
패스워드 입력후 나오시면 되고요
6번은 mv /etc/secuertty /etc/securetty~ 만 바꾸어 주시면 root 접속이 허용됩니다
vi로 편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7번은 system-config-securitylevel에서서 방화벽 사용 안함, selinux 사용안하시면
그냥 놔두시면되고요, 만약사용시에는 그외의 포트부분에 5901:tcp 적어주시면 됩니다. 만약 text모드라면 lokkit 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됬났요? 아님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질문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