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도라7 의 DNS 설정 오류 문제때문에 글올립니다.
작성자 정보
- 김진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29 조회
- 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에 페도라 7로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하는 초보 입니다.
우선 DNS서버와 메일서버를 따로 분리시켜서 사용하려고 하고 있구요..
문제가 되는 것에 대해 말씀을 드리면...(DNS 서버는 -D서버, 메일서버는 -> M서버 표기 하겠습니다.
1. D서버 설정
페도라7에서는 BIND를 설치하니 named.conf 파일은 없고, 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과 named.rfc1912.zones 파일 두개만 생성이 되더군요... 이래저래 찾아 보니 이 두파일 설정을 해야 된다고 해서 설정을 했습니다.
named.rfc1912.zones 파일설정
// ISC BIND named zone configuration for zones recommended by
// RFC 1912 section 4.1 : localhost TLDs and address zones
//
// See /usr/share/doc/bind*/sample/ for example named configuration files.
//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localdomain" IN {
type master;
file "localdomain.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localhost" IN {
type master;
file "localhost.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0.0.127.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allow-update { none; };
};
zone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ip6.local";
allow-update { none; };
};
zone "255.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broadcast";
allow-update { none; };
};
zone "0.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zero";
allow-update { none; };
};
zone "aaaaa.co.kr" IN {
type master;
file "aaaaa.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1.168.192.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aaaaa.local";
allow-update { none; };
};
이렇게 했으며,
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 설정은
//
// named.caching-nameserver.conf
//
// Provided by Red Hat caching-nameserver package to configure the
// ISC BIND named(8) DNS server as a caching only nameserver
// (as a localhost DNS resolver only).
//
// See /usr/share/doc/bind*/sample/ for example named configuration files.
//
// DO NOT EDIT THIS FILE - use system-config-bind or an editor
// to create named.conf - edits to this file will be lost on
// caching-nameserver package upgrade.
//
options {
listen-on port 53 { 127.0.0.1; };
listen-on port 53 { 192.168.1.100; };
// listen-on-v6 port 53 { ::1; };
directory "/var/named";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allow-query { any; };
};
logging {
channel default_debug {
file "data/named.run";
severity dynamic;
};
};
view localhost_resolver {
// match-clients { localhost; };
// match-destinations { localhost; };
recursion yes;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
이렇게 설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zone 파일과 local 파일의 설정은...
zone파일은
$TTL 86400
@ IN SOA @ root (
42 ; serial (d. adams)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y
1D ) ; minimum
IN NS ns.aaaaa.co.kr.
IN MX 10 mail.aaaaa.co.kr.
IN A 192.168.1.100
ns IN A 192.168.1.100
mail IN A 192.168.1.50
local파일은
$TTL 86400
@ IN SOA ns.aaaaa.co.kr. root.aaaaa.co.kr.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aaaaa.co.kr.
31 IN PTR ns.aaaaa..co.kr.
31 IN PTR aaaaa..co.kr.
28 IN PTR mail.aaaaa..co.kr.
이렇게 설정을 했습니다.
문제는 지금 부터 입니다.
D서버의 named 데몬을 실행 시킨 후 NSLOOKUP을 실행시켜
도메인이름을 입력시키면 모두 이상없이 잘 됩니다. 인터넷 또한 잘되구요..
또다른 네트워크 망에서 NSLOOKUP을 실행 시켜도 잘 나타나구요...
그런데, ping을 날리면 ns.aaaaa.co.kr은 ping이 되는데.. aaaaa.co.kr을 호스트가 없나고 나타납니다.
그리고, M서버에서 D서버를 DNS로 설정을 하고, NSLOOKUP을 실행시켜 도메인 또는 IP 주소를 입력하면 host unkwon이 되더라구요.. Ping 을 날려도 그렇구요..
그래서 IP 주소로 ping을 날려 볼까 하고 했는데 IP는 잘 나가구요...
어 이상하다 싶어서 D서버에서 M서버로 ping mail.aaaaa.co.kr 하니 Ping은 잘되구요..
또 이상하다 싶어 XP가 설치된 Client PC에서 D서버를 DNS로 설정하고 인터넷이 되나 했더니 역시 안되구요...
방화벽때문에 그럴까 해서 방화벽도 해지를 해 보았는데도 안돼더라구요..
이것 때문에 벌써 몇일째 고생하고 있습니다.
방화벽에서 제대로 해지를 하지 않아서 그런건지, 아니면 또다른 문제가 있어서 그런건지...
정말 속 터집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서태호님의 댓글
- 서태호
- 작성일
CentOS 5.0에서도 변경이 되었네요.
다음 메뉴얼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http://cafe.naver.com/dnspro/2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