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리눅스 입문자입니다.
작성자 정보
- 기이이이디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98 조회
- 2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root@oracle47 ~]# vi /etc/sysctl.conf
fs.suid_dumpable = 1
fs.aio-max-nr = 1048576
fs.file-max = 6815744
kernel.shmall = 2097152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공유 메모리의 최대크기
kernel.shmmax = 536870912 //shared memory 세그먼트 최대값
kernel.shmmni = 4096 //shared memory 세그먼트 최소값
kernel.sem = 255 32000 100 128 //세마포어 개수 설정
net.ipv4.ip_local_port_range = 1024 65500 //ip포트 길이
net.core.rmem_default = 262144
net.core.rmem_max = 4194304
net.core.wmem_default = 262144
net.core.wmem_max = 1048586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ex) kernel.shmmni = 4096는 세그먼트 최소값 설정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2
Jszzang님의 댓글
- Jszzang
- 작성일
주석 안달린것만 검색해보았습니다.
변수이름으로 구글링하시면 자료가 많이 나오니 검색을 우선 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 프로세스 덤프 코어 설정 ( 1은 debug 모드)
fs.suid_dumpable = 1
# io 서브 시스템 오류 방지를 위해 처리 되지 않은 동시 요청을 제한함
fs.aio-max-nr = 1048576
# 사용 가능한 파일 핸들의 사용 갯수 설정
fs.file-max = 68157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읽기 기본 값
net.core.rmem_default = 2621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읽기 최대 값
net.core.rmem_max = 419430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쓰기 기본 값
net.core.wmem_default = 2621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쓰기 최대 값
net.core.wmem_max = 1048586
변수이름으로 구글링하시면 자료가 많이 나오니 검색을 우선 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 프로세스 덤프 코어 설정 ( 1은 debug 모드)
fs.suid_dumpable = 1
# io 서브 시스템 오류 방지를 위해 처리 되지 않은 동시 요청을 제한함
fs.aio-max-nr = 1048576
# 사용 가능한 파일 핸들의 사용 갯수 설정
fs.file-max = 68157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읽기 기본 값
net.core.rmem_default = 2621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읽기 최대 값
net.core.rmem_max = 419430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쓰기 기본 값
net.core.wmem_default = 262144
#tcp/ip 패킷에서 window 사이즈 쓰기 최대 값
net.core.wmem_max = 1048586
기이이이디디님의 댓글의 댓글
- 기이이이디디
- 작성일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