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도스와 유닉스의 비교
작성자 정보
- 윤익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98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도스와 유닉스의 비교
(표1.3-1 도스와 유닉스의 비교)
1. COMMAND.COM과 SHELL
도스나 유닉스에서 운영체제와 사용자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를 명령어 인터프리터라고 부릅니다. 이 인터프리터의 역할은 키보드를 통해 입력 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스에서 이 역할을 하는 명령어 인터프리터는 COMMAND.COM입니다. 유닉스에서는 이것을 Shell이라 부릅니다. COMMAND.COM대신에 4DOS등을 이용할 수 있듯이 유닉스에서도 여러가지의 쉘들이 존재합니다. 도스의 기본 쉘이 COMMAND.COM이라면 유닉스의 기본쉘은 sh입니다. 도스에서 COMMAND.COM이 한 번 이상 불리워져서 exit를 치면 이전의 COMMAND.COM으로 빠져나갈 수 있듯이, 유닉스에서도 상이한 다른 쉘 을 몇번이고 호출할 수 있으며 exit를 통해 빠져 나갈수 있습니다.
2. AUTOECEC.BAT파일과 CONFIG.SYS
도스가 부팅되면 처음 CONFIG.SYS에서 환경설정을 하고 AUTOEXEC.BAT 에 있는 명령어들을 실행합니다. 유닉스가 처음 부팅될때도 비슷한 역할을 파일들을 부릅니다. CONFIG.SYS의 역할을 하는 파일은 /etc/inittab이고. AUTOEXEC.BAT의 역할은 /etc/rc 파일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도스에서 CONFIG.SYS의 주 역할은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을 읽어들이고 파일수나 허용 버퍼 등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유닉스에서도 이와 동일한 역할을 하며 그에 더해 커널을 재구성하는 일도 합니다. 커널의 재구성은 시스템 사항이 변경되었을 때만 이루어집니다. /etc/inittab은 주로 어느 터미널 포트가 접속될지와 각 터미널의 환경설정 등을 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도스의 AUTOEXEC.BAT은 부팅시 자동으로 COMMAND.COM에 의해 실행되는 배치화일입니다. 이 역할을 하는 유닉스의 쉘스크립터는 /etc/rc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을 수행합니다. 유닉스는 멀티유저 시스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 속했을때 실행되는 쉘스크립터는 따로 있습니다. 새로운 사용자가 접속을 하면 /etc/profile 이 이용됩니다. 기존 사용자라면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profile 이라는 이름의 쉘스크립터를 작성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Batch File과 Shell Scripter
Batch File이란 도스에서 내릴 수 있는 여러 명령어들을 파일로 저장 하고 이것을 COMMAND.COM에게 번역을 시켜 실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유닉스에서 이런 역할을 하는 화일을 Shell Scripter라고 부르며, 이것을 작성하는 과정을 Shell Programming(쉘 프로그래밍)이라 합니다. 도스에서는 단지 키보드로 하나하나 타이핑 하는 과정을 모아놓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지만, 유닉스에서는 프로그램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체계적인 구조와 강력한 기능을 발휘합니다.
4. TSR(램상주)프로그램과 Daemon(데몬)
도스에서 TSR이란 램에 머물러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독립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이는 인터럽트가 걸릴 때 마다 동작하는 것으로 작성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고 많은 지식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유닉스는 여러개의 독립적인 프로그램이 한꺼번에 수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멀티태스킹 시스템입니다. C 프로그램상에서 작은 작업을 통하거나 쉘상에서 엠퍼센드(&)를 실행 파일명 뒤에 두는 것으로 백그라운드 작업을 손쉽게 수행시킬 수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한꺼번에 실행되면 한 터미널에 입출력에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화면이 어지럽게 되고 제대로 작동이 힘든 경우가 생깁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백그라운드로 작동되는 프로그램의 표준입출력을 다른 것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백그라운드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대몬(Daemon)'이라 부릅니다. 이런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특별한 테크닉이나 지식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터미널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약간의 고려가 필요합니다.
4. 유닉스가 부팅할 때
유닉스가 처음 부팅될 때, start-up 프로시져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합니다.
02-3291-3264
역 할 | 도 스 | 유 닉 스 | |
---|---|---|---|
1 | 명령어 인터프리터 | COMMAND.COM | Shell |
2 | 환경 설정 | CONFIG.SYS | /etc/inittab |
3 | 명령어 일괄수행 | AUTOEXEC.BAT | /etc/rc |
4 | 명령어 일괄수행제작 | Batch File | Shell Scripter |
5 |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 TSR(램상주) | Daemon(데몬) |
6 | 영문자의 대소문자 | 구별 안함 | 엄격히 구별함 |
- 메모리상에 운영체제를 읽어들이고 초기화 루틴으로 들어갑니다. |
- 디스크 버퍼 풀과 시스템 메모리 영역을 초기화 시킵니다. |
- 각 장치드라이버를 끼워넣고 초기화 합니다. |
- fork 시스템을 가동시켜 init 프로세스를 만듭니다. (proc 1) |
- 스와퍼 시스템 프로세스를 생성시킵니다. (proc 0) |
- 자료출처 :
- 보안전문가 준비에대한 철저한 계획 및 진행에 대한 상담을 드립니다
국방부 컨퍼런스 및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안철수랩 보안교육센터
(주)해커스칼리지 해커대학
02-3291-3264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