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lvm관련 질문입니다

작성자 정보

  • 홍보성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LVM에 대한 자료는 상당히 많습니다.

거기에 에드온으로 관리 툴도 제공 되고 있구요.

X : system-config-lvm

WEB : Webmin 설치 하면 하드웨어 항목에 있음

Cmmand : 제가 예전에 만들어둔 메뉴얼 입니다. 참고.

A.     LVM 구축<?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i.         PV 생성 : VG에 가입시킬 물리 디스크 파티션들을 초기화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1.      Pvcreate /dev/sdb1 /dev/sdc1

2.      PV 이동 : 물리 볼륨을 다른 파티션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Pvmove /dev/sdc1 /dev/sde1 : 오래 걸린다. (진행 상태 나옴)

3.      PV 제거 : VG에 가입된 PV를 삭제 하려면 이동, 멤버탈퇴, 제거 단계를 거친다

A.     PV 이동 : 추가 LVM 포맷된 디스크를 넣고 멤버에 가입, pvmove를 통해 이동한다.

                                                                              i.         이때 해당 PV를 사용중인 LV는 자동으로 가입정보가 바뀐다. (LV를 신경 쓸 필요 없다)

                                                                             ii.         Pvmove /dev/sdc1 /dev/sde1 à 정보 이동

B.      VG 멤버에서 탈퇴

                                                                              i.         Pvs à 현재 PV들을 나열하고 어떤 VG에 가입되어있는지, 얼마나 용량이 남아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위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sdc1의 정보가 sde1로 전부 이동 됬을 때 sdc1PSize PFree 용량은 같아 질 것이다.

                                                                             ii.         Vgreduce VG1 /dev/sdc1 à VG1에서 PV를 탈퇴 시킨다.

C.      PV 삭제

                                                                              i.         Pvremove /dev/sdc1 à pvdisplay에서 NEW Physical volume으로 보이는 PV를 삭제 할 수 있는 명령이다.

                                                   ii.         VG 생성

1.      Vgcreate /dev/sdb1 /dev/sdc1

2.      Vgs로 확인

                                                  iii.         LV 생성 : 실질적으로 같은 컨트롤러의 같은 Unit을 사용하는 sdb, sdc이므로 stripe 모드가 아닌 Linear 로 구성 선택

1.      Data Volume : lvcreate –L 10G –n DataVol VG1

2.      Backup Volume : lvcreate –L 300G –n BackupVol VG1

3.      Share Volume : lvcreate –L 2048G –n ShareVol VG1

                                                  iv.         Filesystem 생성

mkfs.ext3 /dev/VG1/DataVol à ext3로 결정, 나머지도 다 같음

B.     LVM 확장 테스트

                                                    i.         History : Data Volume 5G로 생성 후 mkfs.ext3 format, /data mount à 10G로 증설

1.      lvextend –L+5G /dev/VG1/DataVol à 5G를 추가한다, LV는 실제 경로를 정의해야함

                                                   ii.         History2 : PV를 추가하여 VG확장

                                                  iii.         History3 : Raid Unit Disk 추가하여 Online Extent PV resizing à 아직 테스트 해보지 않음(20071031)

1.      pvchange -x n /dev/sdc1 à 할당 해제 (Locking) 한다.

2.      pvresize /dev/sdc1 à pvresize 적용

3.      pvchange -x y /dev/sdc1 à 할당 적용

C.      LVM에서 LV를 확장 했어도 ext3 gfs extend를 별도의 툴로 갱신해야 됨

                                                    i.         Gfs : gfs_grow

                                                   ii.         Ext2/3 : resize2fs –f –F /dev/VG1/ShareVol à 확장한 LV의 크기만큼 자동 증가한다. (mount된 상태에서도 가능)

 

이승철 님의 글



다른것 이 아니고

 

제가 vmwere에서 lvm 볼륨 그룹을 생성 했는데

 

하드를 하나 더 추가 하거나 제거 할려면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300 명
  • 현재 강좌수 :  36,963 개
  • 현재 접속자 :  435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