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DNS 네임서버 설정 도와주세요 ...

작성자 정보

  • 배주혁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때까지 그냥 리눅스 하나 만들어놓고 resolv.conf에 127.0.0.1 dns.com만들어놓고 존파일 soa 다음칸에 localhost. NS 레코드에 localhost. 이렇게 적어줬는데.. 이게 더 깊게 드러갈려니 햇갈립니다..

보통 클라이언트가 보라넷같은 곳으로 질의를 해서 보라넷의 com에 질의하면 com은 dns.com의 주소를 알려준다는데요..

이 개념이 햇갈립니다.

만약 자신이 dns서버를 구축하였고 관리하는 도메인이 dns.com이라면 그 서버의 resolv.conf는 뭘적어줘야하조? .com의 서버 주소를 적어줘야하는건가요?

그리고 zone파일의 soa다음 네임서버 적는칸에 네임서버는 보라넷의 주소인가요 아니면 .com의 서버의 주소인가요...

그리고 NS 레코드의 서버주소는 보라넷인가요 .com인가요??

그냥 하나만 만들어놓고 해보다보니까 정말 너무너무너무 햇갈려요...; 좀도와주세요

관련자료

댓글 3

족구왕슛돌이님의 댓글

  • 족구왕슛돌이
  • 작성일
예를 들어 ping linux.co.kr 이라고 명령을 내릴 경우
/etc/hosts 파일 을 먼저 검색 하고
hosts파일에 linux.co.kr이 없을 경우
resolv.conf를 열어서 정의 되어 있는 dns ip주소로 찾아 가게 되어있습니다.
resolv.conf에 보통 isp 업체 네임서버 주소를 많이 넣습니다.
예를 들어 168.126.63.1 이런식으로
dns.com 의 ip주소를 넣어도 되지만 dns.com의 네임서버에 정의 되어 있지 않는 도메인은
찾아 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배주혁님의 댓글의 댓글

  • 배주혁
  • 작성일
DNS서버에서 resolv.conf를 isp 업체 IP를 넣어주는건가요? 아 너무 햇갈리네요.. 그냥 클라이언트가 dns.com을 운영하는 컴에 질의를 하면 dns.com을 운영하는 컴퓨터는 그냥 자신의 conf파일을 보는건가요? 그렇게 되면 서버의 resolv.conf는 필요 없는건가요? 그냥 클라이언트에서는 알겠는데... 서버에서 설정하는것이 너무 햇갈려요.

족구왕슛돌이님의 댓글의 댓글

  • 족구왕슛돌이
  • 작성일
DNS 서버로 사용 할려고 하는 IP는 국제망에 등록 되어져 있는 IP여야 합니다.
만약 국제망에 등록 되어져 있는 IP이면
DNS서버의 resolv.conf 에 nameserver 자신의 IP로 설정 되어 있으면 됩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56 명
  • 현재 강좌수 :  35,908 개
  • 현재 접속자 :  21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