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ns와 공인아이피.. 개념이 궁금합니다
작성자 정보
- 어니스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28 조회
- 3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정확한 개념이 안잡혀서요
일단 제가 알고있는거는..
1. 도메인을 신청한다 (무료도메인..등등)
2. 도메인을 krnic? who에 등록시킨다?
3. 서버에 네임서버를 구축한다. 그리고 설정파일(named.conf resolv.conf? 등등에 도메인을
서버 공인 ip에 매핑시킨다?
정도입니다..
우선, 위에 제가 알고있는게 맞는지요?
또,서버 구축하려면 공인 ip가 꼭 필요한지..?
유동ip도 컴터 전원만 안꺼지면 ip안바뀌니..서버구축할수 있는거 아닌지..?
-------------------------
ps, 요새 슬럼프네요.. 공부하고 싶은맘이 별로 안드는것이,, 날도 많이 추워졌는데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제가 알고있는거는..
1. 도메인을 신청한다 (무료도메인..등등)
2. 도메인을 krnic? who에 등록시킨다?
3. 서버에 네임서버를 구축한다. 그리고 설정파일(named.conf resolv.conf? 등등에 도메인을
서버 공인 ip에 매핑시킨다?
정도입니다..
우선, 위에 제가 알고있는게 맞는지요?
또,서버 구축하려면 공인 ip가 꼭 필요한지..?
유동ip도 컴터 전원만 안꺼지면 ip안바뀌니..서버구축할수 있는거 아닌지..?
-------------------------
ps, 요새 슬럼프네요.. 공부하고 싶은맘이 별로 안드는것이,, 날도 많이 추워졌는데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3
족구왕슛돌이님의 댓글
- 족구왕슛돌이
- 작성일
무료 도메인의 경우, 네임서버를 무료도메인 네임서버 즉, 새로 구축한 네임서버를 사용 할 수있는게 아니라 무료 도메인 회사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사용 하게 됨으로 웹 서비스 말고 다른 서비스를 하게 될 경우 어려움이 있습니다.
서버를 구축 할때 꼭 공인 IP가 필요 한것은 아님니다.
제가 사는 동네의 경우 유동IP 임에도 불구 하고, ISP업체에서 모든 포트를 개방 해 놓은 상태 입니다.
사는 동네 마다, ISP 업체 마다 포트를 막아 놓는 곳이 있고, 열어 놓는 곳이 있습니다.
막아 놓는 다고 해도, 서버를 구축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포트 변경등 다른 작업이 필요하게 됩니다.
서버를 구축 할때 꼭 공인 IP가 필요 한것은 아님니다.
제가 사는 동네의 경우 유동IP 임에도 불구 하고, ISP업체에서 모든 포트를 개방 해 놓은 상태 입니다.
사는 동네 마다, ISP 업체 마다 포트를 막아 놓는 곳이 있고, 열어 놓는 곳이 있습니다.
막아 놓는 다고 해도, 서버를 구축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포트 변경등 다른 작업이 필요하게 됩니다.
어니스트님의 댓글
- 어니스트
- 작성일
무료도메인이 그런기능이였군요..
괜히 무료가 아니였네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
괜히 무료가 아니였네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
배주혁님의 댓글
- 배주혁
- 작성일
컴퓨터를 켜논 상태에서도 유동아이피가 바뀔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