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곳입니다.
리눅스 분류

서버 이전은 단계적으루..

작성자 정보

  • 송유신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서버 이전만 서너번 해본 경험으로 보건데

단계적으로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서비스 흐름도에 대한 파악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서비스가 어떤 형태로 물려 있는지 알아야 어디서 멈추고 어느 서비스에 영향을 줄지 관리자로서 기본적인 사항을 완전히 파악한후에 시작해야 합니다. 만약 네트웍 연결이라든지 기본 설정에 대해 명확히 못한 상태에서 옮기면 반드시 장애가 발생할겁니다.

서비스 흐름도에 대한 파악이 끝나면 시스템과 서비스 설정에 대한 사항을 정리 하시기 바랍니다.

동일 시스템으로 옮겨도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하물며 완전히 다른 시스템과 OS 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죠?

흐름도.시스템과 서비스 설정에 대한 사항을 파악하시는 부분까지 DB 모델링 하듯 시간이나 업무적으로 많이 소요 되지만 한번 완전히 파악해 놓으면 울트라캡숑파워장애가 와도 접근이나 문제 해결에 엄청나게 도움이 됩니다.

이런 시스템 흐름도가 제대로 갖춰진 사업장이 드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물며 DNS 등록에 대한 문서 조차.도..

파악이 끝나면. 이전 시나리오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업무자및 외부업무자 서비스 이전작업 절차(세부적으로-os 설치db 등 s/w 설치.app 등 compiler 해야 할것에 대한 source 보유 등.. 세세한 단계까지) 를 단계적으로 문서화 한후 테스트 서버가 있다면 해보시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문서는 아주 세부적인 사항 하나 하나까지 명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예를 들어 s/w 설치시에 넣어야할 key 까지 적어 놓는다면 그 문서 만으로도 충분

이런 세부적 절차하나 하나씩 고려해 보시고 사전 연락이나 작업을 해야 당일 이전에 문제가 없도록 사전 처리업무도 절차에 넣어야 합니다.

이런절차를 거쳐도 발생되는 문제는 다른때와 달리 차분히 대처해 나갈수 있을겁니다. 

작은 사업장이라면 서버 이전은 약 15~20일 정도 계획하고 단계적인 업무를 진행하시는  정도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한가지 더 염려되는 사항은 일정만 만들어 놓고 하부 작업자는 열나 일하는데

관리자가 해결해야할 정책적인 사항에 대해 미루거나 해결해 주지 않는 부분도 감안하시길 바랍니다.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등등..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278 명
  • 현재 강좌수 :  36,955 개
  • 현재 접속자 :  354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