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합니다.
작성자 정보
- 이성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6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가능합니다...
저희도 현재 nfs서버를 한대 두고 6대의 다른 서버가 같은 디렉토리를 공유해서 사용하고 있죠...
우선 nfs 서버쪽에서는 nfs 데몬을 띄워주셔야 되구요...
그 다음으로 해야할 일이
/etc/exports 라는 파일 안에 접근허용 아이피를 적어주셔야 합니다.
만약 /homt/share 라는 디렉토리를 공유하겠다고 하면...
exports 파일안에 다음과 같이 적어주시면 되죠..
/home/share xxx.xxx.xxx.xxx(rw, no_root_squash)
여기서 xxx.xxx.xxx.xxx 는 접근 허용할 아이피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뒤에 rw는 읽기 쓰기 전부 허용한다는 얘기구요...
마지막에 no_root_squash는 루트권한을 할당하겠다는 얘기죠...
이렇게 설정한 후에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etc/exportfs -r
여기에서 여러개의 IP를 설정할려면 아이피대역을 줘도 되구요...
xxx.xxx.xxx.xxx~xxx.xxx.xxx.xxx(rw, no_root-squash)
또는 뒤에다가 접근허용할 아이피를 쭉~~나열해도 됩니다.
xxx.xxx.xxx.xxx(rw, no_root-squash) xxx.xxx.xxx.xxx(rw, no_root-squash) xxx.xxx.xxx.xxx(rw, no_root-squash) 이런 식으로요...
여기까지가 서버쪽 설정이구요...
클라이언트 설정은 다음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그냥 마운트하면 되져...
mount -t nfs [server IP]:/home/share [로컬에 공유할 디렉토리 전체 패스]
이렇게 해주면 간단히 끝납니다.
물론 클라이언트에는 nfslock이라는 데몬이 떠 있어야 겠죠...
이때 마운트가 잘 안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을겁니다...
그럴때는 protmap을 띄워주면 바로 연결 됩니다.
하지만 nfs 같은 경우는 해킹의 타겟이 되기 때문에 내부IP로 묶는게 안전하죠...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