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설문] 어느 교육과정을 들을까요???????ㅠㅠ
작성자 정보
- kimjihye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39 조회
- 1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녕하세요. 리눅스 교육 관련해서 궁금증이 있어 자유게시판에 문의드려요!
리눅스를 이용해 개발을 하다보면, 프로젝트 상에서 여러 문제점에 봉착하게되고,
그럴때마다 카페나 여러 지인들(?) 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 초보자 입니다.
약간 비슷한 과정이긴 한데,
아래 2개 과정 중, 어느 과정이 시스템 관리자 및 개발자에게 더 적절할지.. 고민이 되서요.
내가 만약 과정 수강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어떠한 것을 다들 선택하실꺼같으세요?
답글 좀 부탁드려요 ㅜ_ㅜ
1. 오픈소스 도구의 활용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디버깅 방법, 성능 튜닝방법
성능 개선을 위한 프로파일링, 커널 디버거, 포로파일러, 크래시 덤프분석
2. 리눅스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 해결, 자원의 효과적 활용
문제분석 도구, /proc 파일 시스템의 이해 및 활용, 응용프로그램 문제 해결을 위한 컴파일 및 디버깅 이해 등
어떠한 과정이 다들 더 땡기세요? ㅅ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
러브해커님의 댓글
- 러브해커
- 작성일
둘다 비슷할꺼 같은데요.
1. 리눅스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 해결 =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디버깅 방법 = gdb
2. 자원의 효과적 활용 문제분석 도구 = 성능 튜닝방법 성능 개선을 위한 프로파일링 = sysstat and sar vmstat mrtg 등등.
3. /proc
4. 커널 디버거, 포로파일러, 크래시 덤프분석 = 응용프로그램 문제 해결을 위한 컴파일 및 디버깅 이해
시스템 관리자라면 자격증 과정 추천 드려요. 리눅스마스터, LPIC , RHCT/RHCE 과정.
5. 개발자라면 위2개 중에 가격 저렴한 걸로요. GDB 하고 크래시 덤프분석 하는거 공부하신다 생각하고 하세요.
1. 리눅스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 해결 =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디버깅 방법 = gdb
2. 자원의 효과적 활용 문제분석 도구 = 성능 튜닝방법 성능 개선을 위한 프로파일링 = sysstat and sar vmstat mrtg 등등.
3. /proc
4. 커널 디버거, 포로파일러, 크래시 덤프분석 = 응용프로그램 문제 해결을 위한 컴파일 및 디버깅 이해
시스템 관리자라면 자격증 과정 추천 드려요. 리눅스마스터, LPIC , RHCT/RHCE 과정.
5. 개발자라면 위2개 중에 가격 저렴한 걸로요. GDB 하고 크래시 덤프분석 하는거 공부하신다 생각하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