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분류
DNS의 TTL값을 0또는 1로 셋팅??
작성자 정보
- 김흥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셋팅법은 굉장히 간단하지만, 개념은 이해하기까지가 좀 어렵습니다.
알고 나면, 넘 간단한 것이지만..
그냥...TTL은 Time To Live의 약어입니다.
즉, 하나의 DNS에서 다른 DNS에서 가져온 도메인정보값이 가져온 DNS서버에서 죽지않고 살아있을 시간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즉, 죽지않고 살아있기 때문에 동일한 도메인에 대해서는 다시 묻지않고 살아있는 동안에는 동일한 결과를 return하게 되지요. 비록 원래의 DNS서버에서 그 도메인의 정보가 변경이 되었더라도 말이죠..
그래서 원래의 도메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DNS서버는 서버부하를 줄이기 위한 목적과 다른 DNS서버에서 자신이 보유한 도메인의 정보를 가져간 후에 얼마동안 그 값을 보관하게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 결정은 TTL이라는 설정값으로 하게 됩니다.
위의 말만 이해하시면 완벽히 이해하신 것입니다.
그럼...휘리릭~~~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