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RedHat 6.1 리눅스 (서버 및 PC 설치) 1/3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con04.gif title01_1.gif
icon04.gif title01_2.gif

이미 많은 분들이 리눅스를 설치해 보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리눅스관련 서적들을 보시면 맨 앞장에 장식처럼 등장하는 것이 리눅스설치에 관한 설명입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리눅스설치에 대한 설명이 매우잘되어 있음을 부인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설명드리는 리눅스 설치설명서는 필자의 운용경험과 강의경험을 살려 어려운 용어들은 생략하고 알기쉽게 일반인들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음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여기에 나와있는 설치예는 저희 "케비아넷"에서 실제로 직접설치한 예를 실은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용도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 설명드리고자하는 궁금적인 용도에는 첫 번째의 경우가 해당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의 용도와 두 번째의 용도에는 설치되는 패키지에는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즉, 어떤용도의 서버로 사용할 것인가라는 것에따라서 설치되는 패키지가 달라진다는 말씀입니다. 해킹등의 사유로 인하여 불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위한 것이라고 간략히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서버용도로 사용하기위한 리눅스일 경우에 필자가 항상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절대 "X윈도우"는 설치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불필요한 메모리점유나 해킹등의 사유로 인하여 설치하지 말 것을 강력히 권해드립니다.

두 번째의 경우, 개인적으로 필자는 리눅스를 PC로 사용하기에는 이르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보다는 요즘 임베디스리눅스라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첫 번째의 경우와는 달리 PC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X윈도우"를 설치하셔야합니다.

방금 설명드린 바와같이 여기서 설명드리는 리눅스설치는 "X윈도우를 설치하지않는 경우"와 "X윈도우를 설치하는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서 설명드릴 것입니다 . 두 번째의 경우에서 첫 번째와 겹치는 부분은 제외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icon04.gif X Windows를 설치하지 않을시(서버용)

이제부터 설치할 리눅스는 레드햇리눅스로서 가장일반적인 설치방법으로 설치한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서버로 사용할 시스템에서는 X Windows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되는 설치설명은 크게 두가지 모드로서 첫 번째는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
X Windows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며, 두 번째는 X Windows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icon02.gif리눅스 부팅디스크를 넣은후에 시스템을 부팅

icon02.gif Language Selection

icon02.gifKeyboard Selection

icon02.gifRed Hat Linux 설치 환영화면

icon02.gifInstallation Type

icon02.gifDisk Partition

icon02.gifChoose Partitions to Format

icon02.gifLILO Configuration

icon02.gifHostname Configuration

icon02.gif Network Configuration

icon02.gif Mouse Selection

icon02.gif Time Zone Selection

icon02.gifRoot Password

icon02.gifAdd User

icon02.gifUser Account Setup

icon02.gifAuthentication Configuration

icon02.gifPackage Group Selection

icon02.gifFormatting  / (root) Partition

icon02.gif Formatting  /var Partition

icon02.gifFormatting swap Partition

icon02.gifPackage Installation

icon02.gifCompelete

icon02.gifSystem Rebooting

icon02.gif Login

icon02.gif루트파티션 확인

icon02.gif인터페이스 설치확인

icon02.gif네트웍설정 확인


이제부터 설치할 리눅스는 레드햇리눅스로서 가장일반적인 설치방법으로 설치한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서버로 사용할 시스템에서는 X Windows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되는 설치설명은 크게 두가지 모드로서 첫 번째는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 X Windows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며, 두 번째는 X Windows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리눅스 부팅디스크를 넣은후에 시스템을 부팅합니다.

만약, 부팅디스켓이 없다면 시스템의 ROM-BIOS(SETUP모드)에서 CD-ROM부팅을 선택한후에 시스템을 부팅하셔도 됩니다.

linux000.gif

 

부팅디스켓(또는 CD부팅)을 하게되면 아래화면과 같이 부팅면서 시스템의 각종정보들을 인식하면서 부팅이 됩니다.

linux000-1.gif

 

아래의 화면은 리눅스 설치초기화면입니다.

일반적인 설치모드로 설치하기위해서 아래화면과 같이 "text"라는 문자를 입력합니다.

linux001.gif

Language Selection

설치과정에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합니다.  불행히도 아직 레드헷리눅스의 설치프로그램에서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역시 가장일반적인 언어인 "English"를 선택합니다.

참고로, 레드햇 설치프로그램에서는 각 항목들간의 이동은 "TAB"키로 이동하게됩니다.  "English"를 선택한 후에 "TAB"키를 누르면 "OK"로 이동하게됩니다.  이후부터의 항목들간의 이동은 "TAB"키를 이용하시면됩니다. 그리고 항목내에서의 이동은 화살표키를 이용하시면됩니다.

linux002.gif

Keyboard Selection

설치할 시스템에 설치된 키보드모드를 선택합니다. "us"를 선택한후에 "TAB"키로 "OK"로 이동한후에 엔터키를 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linux003.gif

Red Hat Linux 설치 환영화면

레드햇리눅스 설치를 시작한다는 환영화면입니다.

linux004.gif

Installation Type

설치할 모드를 선택합니다.  설치할 모드의 선택은 상황에 맞게 정확히 선택을 해주셔야합니다. 아래의 5가지 설치모드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단지 여기서는 가장 자세한 설치모드인 아래화면과 같이 "Custom System"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이 설치모드는 가장 detail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linux005.gif

GNOME Workstation :

KDE Workstation :

Server System :

Custom System :

Existing Installation :

Disk Partition

이 화면은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설치할 디스크는 2G짜리 하나가 장착된 것입니다.  

linux007.gif

 

Disk Partition

linux008.gif

이번에는 usr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이 파티션은 관리자나 일반사용자들의 명령어나 추가로 설치되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파티션입니다. 다음은

Mount Poing : /usr

Size (Megs) : 300

Grow to fill disk? :

Type : Linux Native

Allowable Drives :

 

선택을 모두 하셨다면 "OK"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화면과 같이 usr 파티션이 생성된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Disk Partition

linux009.gif

 

Disk Partition

linux010.gif

이번에는 var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이 파티션의 가장대표적인 용도는 시스템의 로그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예를 들어 /var/log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의 각종로그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물론 보안이나 파티션용량등의 사유로  이 위치를 다른곳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Disk Partition

linux011.gif

이번에는 Swap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이파티션의 용도는 가상메모리입니다.  PC를 포함하여 모든 컴퓨터에는 Swap파티션이 존재하게됩니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시켜보면 물리적인 메모리(RAM)가 모자라게 되며 이런 경우에 가상메모리를 사용하게됩니다. 일반적인 Swap파티션의 크기는 실제메모리의 2배크기로 잡아주시면됩니다. 여기서는 실제메모리가 64MB이므로 Swap파티션은 127MB로 설정해 준 것입니다. 그리고, Type은 반드시 Linux Swap으로 해주셔야합니다.

Disk Partition

linux012.gif

이번에 생성되는 파티션은 home파티션입니다. 이 파티션의 용도는 일반사용자나 가입자의 홈디렉토리입니다.  웹호스팅이나 가입자들이 사용하게될 파티션이라면 이 파티션의 크기를 심각히 고려하셔야합니다.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에는 일반데이터가 저장이 되는 곳이므로 가입자의 유치량에 따라서 그 크기를 고려하셔야합니다.

Disk Partition

linux013.gif

이번에는 /(root) 파티션입니다. 이 파티션의 용도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시스템관련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root파티션의 크기는 지금껏 지정한 용량외에 남은 모든 사이즈를 사용하게될 것입니다.

Mount Point : /
root파티션은 위의 화면과 같이 "/"과 같이 표시해주시면됩니다.

Size (Megs) : 1
여기서의 사이즈숫치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왜냐면 남은 용량을 모두 root파티션으로 지정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Grow to fill disk : *
"*" 표시를 하게되면 남은 용량을 모두 지정한 파티션으로 지정하게됩니다.
 

 

Disk Partition

linux014.gif

위의 화면을 보시는 바와같이 설정된 모든 파일시스템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 아래의 네 번째 탭인 "OK"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Disk Partition

linux015.gif

"OK"를 선택하시면 지금껏 지정한 파티션을 파티션테이블(Partition table)에 저장할 것인가를 묻습니다. 당연히 "Yes"를 하시면됩니다.

Choose Partitions to Format

linux016.gif

설정한 파티션을 포맷하기위해 포맷할 파티션을 선택합니다. 인터넷서비스등에 사용할 서버용도로 설치하시는 것이라면 모두 선택하시고 특히 "Check for bad blocks during format"을 선택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을 선택하게되면 파일시스템(파티션)을 포맷하면서 디스크의 bad block을 체크하여 이부분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합니다. bad block을 체크하면서 포맷작업을 하는 것은 상당히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지만 처음설치하면서 이 작업을 하게되면 물리적인 디스크에러로 인한 에러를 줄이게되므로 저희는 선택하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3 명
  • 현재 강좌수 :  35,853 개
  • 현재 접속자 :  9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