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들어가며..
전 회에선 기본적인 설치와 X-WINDOW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무사히 설치를 마쳤기를 바라며 만약 설치를 못했다면, 국내 모델의 경우 http://ikarus.olo.co.kr/lol/을 방문하여 자신의 모델을 찾아보기 바란다. 또, 지난 호에서 PCMCIA 안내 페이지를 소개했었는데 그 주소가 바뀌었다. 바뀐 주소는, http://pcmcia.sourceforge.org이다. 착오 없기 바란다. 이번 호에서는 PCMCIA 패키지 컴파일 과정을 설명하고 관련 사이트를 소개하겠다.
2 . PCMCIA 패키지를 구할 수 있는 곳
최신버젼의PCMCIA 패키지는 ftp://sourceforgeorge.org/pcmcia/에서 구할 수 있으며 ftp://ftp.tux.org와 ftp://metalab.unc.edu와 선사이트에 미러되어있다.
이곳들에서 pcmcia-cs-3.x.x.tar.gz 형태로 구할 수 있으며 1999년 12월 20일 현재 최신 안정버젼은 3.0.14이다. 또한 이곳에 들어갈 경우 PCMCIA-HOWTO와 지원카드목록, 그밖에 문서들을 구할 수 있다.
3.PCMCIA 패키지 컴파일
일단 위의 주소에서 패키지를 받아온 뒤 컴파일을 해야 한다. 압축을 풀 디렉토리는 아무 디렉토리나 괜찮지만 /usr/src 에 푸는 것을 권장한다. /usr/src 디렉토리에서 압축을 풀면 버젼명에따라 다른 디렉토리가 생성될 것이다. 그러면 그 디렉토리로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타이핑한다.
------------------- ikarus-net# ./Configure --------------------------------- 또는 ------------------- ikarus-net#make config --------------------------------- 그러면, 몇 가지 설정을 해야 할 것이다. ------------------------------------------- 패키지 설치디렉토리를 변경하고 싶으면 절대 경로를 써줘야 한다.
Alternate target install directory? (설치할 디렉토리를 변경할 것인가?) -----------------------------
두 번째 질문은 'trusting' 버젼으로 할 것인지 묻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safe모드로 하므로 여기서는 No라고 대답하기 바란다.
Build 'trusting' versions of card utilities? (카드 유틸리티의 trusting버젼을 컴파일할 것인가?) ----
세 번째 질문은 32-bit (CardBus)카드 지원에 관한 것이다. 만약 자신의 PCMCIA가 32bit(CardBus)카드라면 Yes라고 답해야 할 것이고 아닐 경우 No라고 답해야 할 것이다.
Include 32-bit(CardBus) card support? (32-bit(CardBus)카드 지원을 포함할 것인가?) ---
네 번째 질문은 PnP 바이오스 자원 측정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PCMCIA안에다가 코드를 더 만들어서 PnP BIOS시스템이랑 커뮤니케이션을 더 좋아지게 하는 것인데 어떤 컴퓨터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자에 판단에 맡기겠다.
Include PnP BIOS resource checking? (PnP BIOS 자원 측정을 포함할 것인가?) ---
다섯 번째 질문은 커널 내부에 PCMCIA tool을 포함시키는 것에 관한 질문이다. 그것은 커널 소스 구조에서 읽거나 그밖에 서로 영향을 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How to set kernel-specific options? (특수한 커널옵션은 어떻게 할 것인가?)
이렇게 모든 설정을 마친 후 다음은 컴파일이다.
~ikarus$ make all
이렇게 타이핑하면 시스템에 따라 몇 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 뒤 컴파일이 완료된다. 이제부턴 루트로 작업해야 한다.
#make install
이제 새로운 버젼의 PCMCIA 패키지가 설치된 것이다. 리부팅하면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될 것이다. 만약 새 버젼을 설치했는데도 불구하고 인식이 되질 않는다면 다음버젼이 나올때까지 기다리거나 PCMCIA-developer-HOWTO 를 읽고 직접 드라이버를 제작하길 바란다. 하지만 인식은 되지만 드라이버를 띄울 수 없다는 짧은 비프음 한번과 긴 비프음이 들린다면 pcmcia-HOWTO를 읽어보기 바란다. 두 문서 모두 번역이 진행 중이며 현재 진행상황을 알고싶으면 http://ikarus.olo.co.kr 를 방문해 보길 바란다.
관련 홈페이지 소개
PCMCIA homepage http://pc-card.com PCMCIA에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Linux on laptop site http://www.cs.utexas.edu/users/kharker/linux-laptop/ 공식 Linux on laptop 사이트이다.
한글 랩탑에서의 리눅스 안내 홈페이지 http://ikarus.olo.co.kr/lol/ 필자가 제작한 홈페이지이다.
PCMCIA information page http://pcmcia.sourceforge.org PCMCIA 패키지 제작자 David Hinds의 공식 PCMCIA information page이다.
한글 공식 PCMCIA 안내 홈페이지 http://ikarus.olo.co.kr/pcmcia/ 필자가 제작한 PCMCIA 공식 안내 홈페이지이다.
Dr.Linux http://www.drlinux.co.kr 현재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랩탑 사용자에게 배려를 많이 한 패키지이다.
Linux network Driver http://cesdis1.gsfc.nasa.gov/linux/drivers/ 네트워크 드라이버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Wireless LAN resources for Linux http://www.hpl.hp.com/personal/Jean_Tourrilhes/Linux/
끝마치며
지금까지 Linux를 Laptop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워낙 분량이 적어서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낄 것이다. 그럴 경우에는 pcmcia-HOWTO,등 문서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당신의 랩탑과 함께 행복한 리눅싱을 하기를 바라며, 해피 밀레니엄을 맞기 바란다.
/- Be a happy Linuxing [may be happy] -/ /- Linux On Laptop and PCMCIA information page - http://ikarus.olo.co.kr -/ /- Kang Jieung [ikarus] <ikarus@kldp.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