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홈 디렉토리를 다른 리눅스나 원도우에서 공유하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con01.giftitle59.gif

原著 JC Pollman and Bill Mote/리눅스가제트 50호
譯解 윤봉환 el@linuxlab.co.kr

 

여러분이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로, 그리고 운영체제들 사이에서 옮겨 다니더라도 항상 여러분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으려 할 것이다. 이 기사는 리눅스와 Microsoft 윈도우 사이에서 그런 일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여러분에게 보여준다.

 

Disclaimer:

이 기사는 단행본, 하우투 문서들, 맨 페이지, 유즈넷 뉴스그룹, 그리고 셀 수 없는 시간을 키보드와 씨름하며 수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모든 주제에 대해 통달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지만, 초급자가 중급 사용자가 되는 발판은 될 것이다. 모든 예제들은 우리 홈 네트워크로부터 그대로 가져왔으므로 우리가 아는 한 잘 동작한다.

 

이 가이드를 어떻게 사용할까:

[Enter]처럼 각 괄호에 담긴 단어들은 키보드에서 그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1번 버튼을 누르라는 뜻이다. {your name here}처럼 구불구불한 괄호 안에 담긴 단어들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진짜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 알려준다.

이탤릭체로(기울어진) 쓰여진 텍스트는 사용자 자신이 셸 프롬프트에 써넣어야 할 명령을 뜻한다.

 

필요한 것들:

여러분이 어디를 가든지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으려면, 여러분 자신의 서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 안에 자신의 계정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여러분 시스템에는 samba, nfs 클라이언트와 nfs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프로토콜:

우리는 이런 의문을 가진 적이 있다: 윈도우에서 리눅스 드라이브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 이상 물어볼 게 없을 만큼 많은 기사가 뉴스그룹에 포스팅되어 있는데, 어째서 여전히 질문이 그치지 않을까.  
윈도우는 드라이브를 공유하기 위해 smb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 tcp/ip가 아니다. 그러므로 윈도우 박스에서 리눅스 리소스를 공유하기 위해서 여러분의 리눅스 박스에서 smb 프로토콜을 실행해야 한다.  Samba가 이런 일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리눅스에서, 한편으로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nfs 프로그램이 리눅스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 프로토콜들은 전혀 다르지만, 때로 같은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프로토콜이 같은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려 한다면 파일 잠금에 대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만, 하나의 home을 통해 이런 것들을 사용한다면 아무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이 기사를 통해 소개되는 방법은 보안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여러분의 /home 서버를 방화벽 뒤에 두고, tcp wrapper도 이용할 것을 진심으로 권한다.

 

앞으로 이 글에서는 다음 주제를 다룬다.

·윈도우 박스에서 home 디렉토리 공유하기
·리눅스 박스에서 home 디렉토리 공유하기
·마지막으로 고려할 것들

 

Windows Home

Samba는 여러분이 Microsoft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때, 한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옮겨 다니며 여러분의 윈도우  홈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프로그램이다. samba는 리눅스 서버에서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samba는 매우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여러분의 배포판 시디롬에 samba 패키지가 들어 있을 것이다.  

2.05보다 최신의 버전 삼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마 온갖 종류의 문제들과 만나게 될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소스 코드를 구해서 스스로 컴파일하려 한다면, http://www.samba.org/에 찾아간다. samba가 설치된 다음에, 딱 세 가지 일만 하면 여러분 네트워크에서 자원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samba 환경을 설정하는 파일을 편집하고, 패스워드를 설정한 다음에 도메인 로긴을 사용하기 위해 윈도우를 설정한다.

 

환경설정 파일:

samba 실행환경은 smb.conf 파일로 설정한다. 아마 여러분의 시스템에서 samba 설정파일은 /etc/smb.conf나 /usr/local/samba/lib/smb.conf 둘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 파일을 이용해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여러분의 서버에 있는 home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것만 다루려 한다.  
smb.conf 파일은 몇 개의 섹션을 가지고 있는데, 각 섹션이름은 [ ] 모양의 괄호로 싸여 있다. 편집할 첫 번째 섹션은 [global]이다.  아래 예문이 [global] 섹션에서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패러미터들이다:
 

[global]
        workgroup = KULAI
        encrypt passwords = Yes
        smb passwd file = /etc/smbpasswd
        password level = 8
        username level = 8
        socket options = TCP_NODELAY
        domain logons = Yes
        domain master  = yes
        os level = 65
        preferred master = Yes
        wins proxy =no
        wins support = yes
        hosts allow = 192.168.124.  127.
        logon script = logon.bat

 

다음은 이 항목들에 대한 부연설명이다:

workgroup
여러분의 윈도우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워크그룹 이름을 넣는다.

encrypted passwords
여러분이 win98을 사용한다면 이 항목을 설정해야 한다.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아래에 나온다.

smb passwd file
암호화된 패스워드 파일의 위치

password and username level
레블 8을 설정하면: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에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socket options:
이 값은 네트워크 연결 속도를 높인다.

domain logons
중요하다!  아래를 본다.

domain master
매스터를 딱 하나만 둔다!

os level
이 값은 높을수록 좋지만 65정도가 적당하다.

preferred master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데 필요하다.

wins proxy
우리는 프록싱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wins support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데 필요하다.

logon script
윈도우 컴퓨터들이 로긴 할 때 실행할 파일 이름이다.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꽤 유용할 때도 있다.

주의 : 이 값은 반드시 도스 - 유닉스가 아닌 - 포맷이어야 한다! 캐리지 리턴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global] 섹션은 어떤 일을 하는가:

이제 여러분의 삼바서버는 개인 파일들과 설정들을 저장하며, 로긴 매니저로 동작하는, 도메인 매스터가 될 것이다. 윈도우 사용자들은 그들이 사용 중인 컴퓨터 대신에 여러분의 삼바 도메인에 로그온 할 것이다. c:\windows\profiles\user 디렉토리는 윈도우 사용자가 로그 오프 할 때 samba 서버로 복사되고, 사용자가 로그 온 할 때에는 삼바 서버로부터 윈도우 컴퓨터로 복사될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어디서 로긴하건, 어느 컴퓨터에 있건 상관없이 여러분의 파일이 My Documents 디렉토리 아래 있으며, 여러분의 시작 메뉴, 그리고 즐겨 찾기 등 개인적인 설정 정보들이 항상 따라 다닐 것이다.  예를 들어, 리눅스 서버에서 /home/jpollman/profile 아래는 다음과 같은 목록을 가진다:
 

 Application Data/    Favorites/       NetHood/                            Start Menu/
 Cookies/                History/          Temporary Internet Files/       Desktop/
 Documents/           Recent/          USER.DAT

 

여러분의 홈디렉토리에 파일들이 있으므로, 여러분이 리눅스 박스에 있을 때에도 똑같은 파일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멋진 기능이다. 아래는 smb.conf 파일에서 여러분이 알아야 할 또 다른 섹션이다:
 

[homes]
         comment = Home Directories
         read only = No
         browseable = No

browseable=no

 

이 설정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에서 보게 될 home 디렉토리는 여러분 자신의 것뿐이라는 뜻이다.
 

[netlogon]
         comment = Network Logon Service   
         path = /usr/local/samba/netlogon
         public = no
         writeable = no
         browseable = no

 

path는 앞서 [global] 세션에서 설정한 logon.bat (로그온 스크립트) 파일의 위치를 가리킨다.
 

[Profiles]
         path = /home/%U/profile
         guest ok = Yes
         browseable = No

 

path는 사용자 자신의 데이터가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U=user

smb.conf 파일을 저장한 다음에, testparm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여러분의 파일이 특별한 문제없이 잘 실행되는지 점검할 수도 있다. ok 메시지가 떨어지면 다음 명령으로 samba를 시작한다:

smbd -D [enter]
nmbd -D [enter]

samba 패키지는 다른 많은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다 - 맨 페이지를 읽거나, samba 웹 페이지를 방문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에서 우리 목표는 여러분이 어떤 컴퓨터에 로그온 하였는지에 상관없이 여러분의 윈도우  home 디렉토리를 가질 수 있도록 도메인을 설정하는 것이다.

 

Passwords:

조금 귀찮은 일이지만 samba는 unix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여러분 스스로가 smbpasswd 파일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 Win98을 시작하면 Microsoft는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데 - 뭐 이게 나쁜 일은 아니지만, 이 때문에 samba를 셋업하기 위해 다른 작업을 조금 해두어야 한다. 여러분은 암호화되지 않은 패스워드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편집해야 한다. 그러나 samba 최근 버전에서는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다룰 수 있으므로 암호화하는 것도 좋다. Samba에는 유닉스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삼바용으로 바꾸는 도구가 따라오지만, 패스워드 파일 속에는 우리가 smb를 허용하지 않을 사용자들도 많이 있다. smbpasswd 파일을 직접 만드는 방법은 home유저에게는 매우 쉬운 일이므로 이 방법을 권한다.  

주의 : 여러분이 공유하려고 하는 윈도우상의 다른 사용자들도 각자 자신의 “home” 디렉토리
         를 공유하려 한다면 필요한 사용자 모두 리눅스 서버에 먼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adduser). 예를 들어 bmote라는 윈도우 사용자를 새로 추가한다면 다음처럼 작업한다:

smbpasswd -a bmote [enter]

패스워드를 묻는 질문에 답한 다음에,

smbpasswd -e bmote [enter]

다른 사용자가 삼바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마다 이런 명령을 적용한다. smbd와 nmbd를 다시 시작하면 리눅스 쪽에서(여러분 집) 할 일은 모두 끝난다.

 

MS 윈도우 설정:

1. 제어판에서 -> 암호를 선택한다. 사용자 초기화 파일 탭을 클릭한다. 여러분이 사용자마다
                         다른 설정 및... 을 클릭한 다음, 아래 옵션을 둘 다 선택하거나 하나만 선택
                         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2. 제어판에서 ->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이 글에서는 여러분 시스템에 tcp/ip 설정이 이미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를 클릭해서 선택
                        막대를 두고, 등록정보 버튼을 클릭한다. Windows NT 도메인으로 로그온을
                        체크하고 도메인 이름에 smb.conf에서 설정한 작업그룹 이름을 넣는다.
                        여러분이 모든 기능을 설정하기 전까지는 빠른 로그온을 선택해 두는 것이
                        좋겠다. 그 다음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netbeui 프로토콜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 이 프로토콜은 정말 느려서 여러분의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킨다.
                        하지만, TCP/IP 등록정보에서 TCP/IP를 통해 Netbios를 사용이 체크되어야
                        한다.(만약 여러분이 netbeui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미 기본 값으로 체크
                        되어 있을 것이다.)

3. 제어판을 닫은 다음, 윈도우 인스톨 cdrom을 넣고, 리부트한다.(당연하다! 리부트가 없으면
    MS 윈도우가 아니다!)

4. 다시 윈도우가 시작되면 여러분의 로그인 스크린에는 세 개의 항목이 보일 것이다: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그리고 도메인.

 

리눅스에서

리눅스에서 여러분의 홈디렉토리를 통해 자신의 모든 설정파일들 -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 북마크들, 여러분의 전자우편을(여러분이 컴퓨터마다 모두 같은 전자우편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공유하는 것은, 여러분이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옮겨 다닐 때 윈도우 매니저가 사용자 환경에 적절하게 맞춰졌던 것처럼 여러분 네트워크에 강력함을 더해준다.

리눅스 그리고 유닉스는 일반적으로 파일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해 nfs(network file system)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nfs는 몇 가지 보안 구멍이 알려져 있으므로 방화벽 컴퓨터 뒤에 nfs를 숨기는 것이 좋다. NFS Howto는 이 기사를 읽은 다음에 꼼꼼하게 읽어보아야 할 중요한 리소스이다.

UDI:    

어떤 사용자가 접근했었는지 nfs가 기억하게 만드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UID - 사용자 식별 번호이다.  UID는 패스워드 파일의 세 번째 항목에 기록된다.  내 시스템에서 이 파일은 다음과 같다:
 

jpollman:IxmI/XXxxrg/Y:501:100:JC Pollma
n:/home/jpollman:/bin/bash

 

501이라는 숫자가 있는 자리가 UID이다. 어떤 한 사용자를 위한 UID는, nfs를 사용하는 다른 모든 머신에서 항상 같아야 한다. 여러분은 패스워드 파일을 이용하여 모든 머신에서 같은 UID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고, NIS - 이 글의 주제를 넘어서는 것인데 -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러분이 UID를 바꾼다면 사용자 소유의 파일들에 대해서, chown 명령으로 소유권을 모두 설정해 주어야 한다. 꽤 성가신 일이기는 하지만, 딱 한 번만 해주면 된다.

서버쪽에서 NFS:

여러분이 실행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몇 개 있다. 그리고, 커널도 필요한 옵션을 설정하여 컴파일해 두어야 한다.

여러분의 커널에서:

커널은 반드시 nfs 기능을 포함하여 컴파일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대부분의 배포판이 nfs를 지원하도록 컴파일된 커널을 가진다. 만약 여러분이 자신의 커널을 바꿀 계획이라면 Network File Systems 아래에서 다음 옵션들에 꼭 YES라고 답해야 한다.

NFS filesystem support
NFS server support

No라고 답해야 하는 것은:

Root filesystem on NFS

그 다음에 커널을 컴파일하고, 새로 만들어진 커널을 여느 때처럼 설치한다.

portmap:

여러분의 시스템에 portmap 프로그램이 반드시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portmap 프로그램은 배포판을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다음 명령으로 portmap이 실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ps ax|grep port [Enter]

이미 실행했다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다음 명령으로 점검할 수 있다:

rpcinfo -p [Enter]

portmap 프로그램은 /etc/host.allow와 /etc/host.
deny 파일을 이용하므로, rpcinfo -p 명령이 실패하더라도 여러분의 portmapper는 이들 파일이 있는지 점검해서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실행된다.

nfsd and mount:

nfsd와 mount 프로그램들이 반드시 여러분의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nfs 프로그램들은 커널 2.2에서는 knfsd라 불리고, 그 이전의 커널에서는 nfs-server2.2란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exports:

/etc/exports 파일에는 nfs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마운트 될 수 있는 디렉토리들을 설정한다. exports는 각각의 줄마다 마운트 될 수 있는 디렉토리와 허용된 사용자, 퍼미션 등으로 구성된 텍스트 파일이다. 내 시스템에 있는 exports 파일은 다음과 같다:

/home *.kulai.org(rw)

이 줄에서 첫 번째 항목은, 우리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서 마운트해서 홈디렉토리로 사용할 수 있는 디렉토리이다. 그 옆, 두 번째 아이템은 어떤 시스템에서 디렉토리를 마운트 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정한 리스트이다.  우리는 kulai.org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컴퓨터들이(*.kulai.org) 첫 번째 항목에서 설정한 디렉토리들을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설정했다. 세 번째는(괄호로 싸여 있는) 퍼미션을 설정한다. export 파일 설정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man 5 exports 명령을 실행한다. 여러분의 exports 파일을 바꾼 다음에는 설정 내용을 다시 읽어들이도록 nfsd와 mountd 데몬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마지막 점검:

exports 파일을 고치고 필요한 데몬을 모두 다시 시작한 다음에는,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rpcinfo -p [Enter]

명령을 실행하면 아래와 비슷한 메시지를 보게 될 것이다.(여러분이 다른 서비스들을 가동 중에 있고 mountd 포트가 다르다면 더 많은 메시지들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다):
 

program  vers  proto       port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05    1   udp 745   mountd
100005    1   tcp 747   mountd
100003    2   udp 2049    nfs
100003    2   tcp 2049     nfs

 

클라이언트 쪽에서 NFS:

여러분은 반드시 nfs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을 설치해야 한다: mountd와 portmap는 물론, 커널도 nfs를 지원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런 것들은 대부분의 배포판에서 처음 설치할 때 따라서 설치된다. 조건이 모두 갖추어진 다음, nfs 서버 - master.kulai.org - 를 루트로 마운트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머신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mount -t nfs master.kulai.org:/home /mnt [Enter]

만약 모든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프롬프트가 다시 나타날 것이다. 그 다음, /mnt 디렉토리로 cd 하고, 디렉토리에서 ls 해보아 리스트가 보이면 모든 작업이 잘 된 것이다. 만약,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대신, mount 프로그램이 ‘mount:master.kulai.org://home failed’와 비슷한 에러 메시지를 보여준다면, 서버 쪽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다: exports 파일 설정이 잘못되어 접근권한이 없거나, exports 파일을 편집한 다음에 nfsd와 mountd 데몬을 다시 시작하는 것을 잊은 것이다. 만약 mount clntudp_create :RPC:Program not registered 라는 메시지가 보인다면 nfsd나 mountd 데몬이 서버에서 구동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또는 앞서 말했던 문제가 hosts.{allow,deny} 파일에 있는 것이다.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umount /mnt [Enter]

마운트 작업들을 자동화하려면, 아래 항목을 여러분의 클라이언트 머신에 있는 /etc/fstab 파일에 추가한다 - 물론, master.kulai.org 대신 여러분 서버의 이름을 넣어야 한다.
 

master.kulai.org:/home   /home    nfs   rw  0  0

 

흥미롭게도, 여러분이 다른 컴퓨터로부터 /home 디렉토리를 nfs 마운트 할 때, 여러분 하드 드라이브에서 /home 디렉토리는  사라진다 : 여전히 그 곳에 있지만, umount /home 할 때까지 여러분의 /home 디렉토리는 보이지 않는다.

이제, 모든 것들이 잘 동작하면, 여러분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머신 둘 다 다시 부트 하는게 좋겠다. 리눅스 구루들이(Linux gurus) “reboot”를 보고 내게 포화를 쏘아 대겠지만, 여기서 시스템을 다시 부트하는 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다.

Final Thoughts

O’Reilly는 자신들의 samba 서적을 온라인 상에 올려두었다(http://www.oreilly.com/catalog/samba/chapter/book/). 여러분이 더 상세한 것까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이 정말 유용한 것이다. 이 책은 매우 잘 쓰여진데다 최신 정보를 담고 있다.

여러분이 samba로 할 수 있는 것들:

여러분은 logon.bat을 통해 패러미터를 몇 개 설정할 수 있다. logon.bat은 도스 포맷의 파일이어야 한다! - 꼭 기억한다 -

내 시스템에서 logon.bat 파일은 다음과 같다:
 

 net time \\master /set /yes
 net use H: /home
 net use N: \\master\Netscape /yes

 

첫 줄은 윈도우 컴퓨터 시계를 samba 서버의 시간에 맞추는 것이다. 여러분은 smb.conf 파일에서 [global] 섹션에도 아래 줄을 추가해서 이런 일을 해낼 수 있다:

time server = yes

logon.bat 에서 두 번째 줄은 여러분의 리눅스 서버에 있는 홈디렉토리를 윈도우 컴퓨터에서 H 드라이브로 인식하도록 설정한다. 자동으로 동기화되도록 profile 디렉토리에 추가한다. 여기에 더해서, 다음 한 줄을 smb.conf 파일의 [global] 섹션 아래 추가해야 한다:

logon home = \\master\%U

\\master에는 여러분의 삼바서버 이름을 넣는다.

logon.bat 파일의 마지막 줄은 드라이브 문자를 설정하고 우리의 Netscape 프로파일 리소스를 자동으로 마운트한다. 여러분이 윈도우 머신에서 Netscape 프로파일을 처음 만들 때 - Netscape의 프로파일 매니저를 이용해서 - 여러분은 모든 사용자의 파일들을 어디에 둘 것인지 알려줄 수 있다. 여러분의 리눅스서버에서 공유를 통해, 윈도우에서 이 컴퓨터, 저 컴퓨터로 옮겨 다닐 때 자신의 넷스케이프 프로파일이 따라다니게 할 수 있다. 여러분은 smb.conf 파일에 다음 섹션을 추가해서 이런 일들을 할 수 있다. 아래는 내가 사용하는 방법이다:
 

[Netscape]  
    comment = Netscape Profiles
    path = /backup/netscape
    read only = no

 

그리고, 정말 마음에 꼭 들게 하고 싶다면, 여러분의 리눅스 홈디렉토리에 있는 bookmarks.html 파일을 링크하여 삼바 디렉토리를 통해 공유되도록 만든다.  내 경우에는 아래 명령 한 줄로 이렇게 설정한다:

ln -s/home/jpollman/.netscape/bookmarks.html  
/backup/netscape/jpollman/bookmark.htm

이제 내가 Linux에서 Netscape를 사용하든 윈도우에서 사용하든, 같은 북마크 파일을 사용할 것이다.

드라이브 문자에서 몇 가지 고려할 것:

우리는 “U:” 드라이브 문자를 USER에 사용하지만, “H:”가 더 일반적인 문자로 전형적으로  “HOME”을 가리킨다. “F:” family, “N:” Netscape, “T:” Team, “P:” public, 등 공유할 때 기억하기 쉬운 것들이 더 있다.  이런 드라이브 문자들은 기억하기 쉽고, 어떤 드라이브인지 그 목적을 나타내기도 쉽다.  이런 관례는 Novell 환경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주의 : 만약 여러분의 박스로 로깅하는 윈도9x 머신을 두려 한다면 “Z:” 드라이브 문자는
         피해야 한다. WinNT 머신에서는 이런 제한이 없다.

login.bat 파일에서 LPT 포트를 매핑할 수도 있다:

net use LPT2: \\master\{name of printer share}

힌트 : 사용자가 로컬 프린터를 가지고 있거나 LPT1:에 연결되는 다른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항상 LPT2: 포트에서 시작한다.

우리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PC에 프린터 아홉 대를 매핑해 두었다. 이 것은 여러분의 머신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프린터를 추가하도록 허용한다. 프린터가 리눅스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을 때(Lexmark 3200) 유용하며, 각 워크스테이션의 옵션을 통해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각자 다른 문서들을 가질 수 있다!

만약 logon.bat에 문제가 있는데, 메시지가 너무 빨리 지나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없다면, 다음 명령 줄을 logon.bat에 넣으면 된다:

pause

이 명령은 여러분이 엔터키를 누를 때까지 배치파일 실행을 멈출 것이다.

NFS : 리눅스 nfs는 진짜 버전이 2인데 버전 3이라고 방송한다. 만약 여러분이 솔라리스를
         구동한다면, vers=2를 사용해서 솔라리스 마운트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NIS는 로긴 검증을 제공하고 시스템에 사용자의 홈디렉토리가 무엇인지 알려주며,
         autofs는 누군가가 /home/user 디렉토리에 접근하려 하는지 살펴보고, nfs를 사용
         해서 그 디렉토리를 마운트 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1 명
  • 현재 강좌수 :  35,855 개
  • 현재 접속자 :  12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