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파일내용을 mail명령어를 이용하여 메일로 보고받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2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특정 파일내용을 mail명령어를 이용하여 메일로 보고받는 방법
바로 앞의 예에서는 echo문으로 출력되는 내용을 지정된 메일주소로 받아보았다.
이번에는 특정파일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의 내용을 지정된 메일주소로 받아보는 예를 보겠다.
이 방법은 시스템관리자가 서버점검이나 특정 체크사항의 결과로 저장된 파일내용을 관리자의 메일주소로 보내어 시스템점검결과를 메일로 받아보는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예에서 설명드리는 내용을 시스템관리자의 cron파일에 설정하여 적용하면 특정파일의 내용이 자동발송되어 관리자의 메일주소에서 받아볼 수 있다.
특정파일의 내용을 지정된 메일주소로 보낼 때 사용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cat 보낼파일명 | mail -s “메일제목” 받을메일주소
위의 사용 예를 실제 사용한 예가 아래에 있다.
먼저, 보낼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즉 result_system_check 라는 파일의 내용을 지정된 메일주소로 발송하고자 하는 것이다.
[sspark@su250 ~]$ cat result_system_check ====== list of result ===== 1. apache web server status
2. bind service status
3. mail services status
4. Database process status
[sspark@su250 ~]$ |
즉 위의 파일내용을 bible@su250.com에게 보내려고 한다.
아래의 예는 result_system_check 라는 파일의 내용을 “result_system_check”라는 메일제목으로 bible@su250.com에게 발송한 것이다.
[sspark@su250 ~]$ [sspark@su250 ~]$ cat result_system_check | mail -s "result_system_check" bible@su250.com [sspark@su250 ~]$ |
이와같이 sspark이라는 사용자가 bible@su250.com사용자에게 result_system_check파일의 내용을 메일로 발송하였다.
따라서 su250.com시스템에 있는 bible이라는 사용자는 도착한 메일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bible@su250 ~]$ id
uid=505(bible) gid=505(bible) groups=3(sys),10(wheel),505(bible) You have new mail in /var/spool/mail/bible [bible@su250 ~]$ [bible@su250 ~]$ mail Heirloom Mail version 12.4 7/29/08. Type ? for help. "/var/spool/mail/bible": 4 messages 1 new 3 unread U 1 sspark@su250.com Wed Oct 21 03:07 23/703 "Thanks for yours" U 2 sspark@su250.com Wed Oct 21 03:28 35/1141 "Re: 잘있나 성수야" 3 sspark@su250.com Wed Oct 21 03:40 21/697 "SystemCheck" >N 4 sspark@su250.com Wed Oct 21 03:47 28/818 "result_system_check" & 4 Message 4: From sspark@su250.com Wed Oct 21 03:47:32 2015 Return-Path: <sspark@su250.com> From: sspark@su250.com Date: Wed, 21 Oct 2015 03:47:31 +0900 To: bible@su250.com Subject: result_system_check User-Agent: Heirloom mailx 12.4 7/29/08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s-ascii Status: R
====== list of result ===== 1. apache web server status
2. bind service status
3. mail services status
4. Database process status
& |
이상과 같이 mail사용법에 대해서 실제예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무에서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바란다.
이상으로 리눅스 메일시스템의 구축과 활용, 그리고 사용법에 대해 모두 설명하였다.
그리고 스팸메일에 대처하기 위한 3가지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즉 /etc/mail/access메일을 활용하는 방법과 drac을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SMTP인증을 이용하는 방법등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