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호스트로 사용하는 도메인의 DNS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가상호스트로 사용하는 도메인의 DNS설정
가상호스트 설정표 요약
가상호스트 설정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개의 가상호스트 사이트를 만들어 보도록하겠다.
구분
|
가상호스트 1번
|
가상호스트 2번
|
계정명 |
bible |
sspark |
홈디렉토리 |
/home/bible |
/home/sspark |
홈페이지 디렉토리 |
/home/bible/www |
/home/sspark/www |
웹로그저장 디렉토리 |
/home/bible/www_log |
/home/sspark/www_log |
웹로그분석결과 저장위치 |
/home/bible/www/weblog |
/home/sspark/www/weblog |
도메인명 |
bible.co.kr |
sspark.co.kr |
서브도메인명 |
||
관리자메일주소 |
webmaster@bible.co.kr |
webmaster@sspark.co.kr |
두개의 가상호스트 설정을 위와 같이 해보도록 할 것이다.
가상호스트로 사용하는 위의 두개의 도메인에 대해서는 반드시 DNS에 설정이 되어있어야 한다.
자, 그럼 두개의 가상호스트 도메인에 대한 DNS설정을 해보도록하겠다.
전제조건 : 다음
두개의 도메인에 대한 “도메인등록”은 이미 되어있는 것으로
간주함.
즉 도메인등록 대행업체에서 도메인등록이 되어있으며 도메인 등록시에 네임서버를 지금 설정하는 네임서버로 사용하겠다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의미이다.
먼저, 네임서버의 named.conf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두개의 사용도메인에 대한 설정을 해야한다.
(참고 : /etc/named.conf 또는 /var/named/chroot/etc/named.conf)
[root@sulinux named]#ls -l /etc/named.conf lrwxrwxrwx 1 root root 32 4월 19 2019 /etc/named.conf -> /var/named/chroot/etc/named.conf [root@sulinux named]# |
이 파일의 bible.co.kr과 sspark.co.kr에 설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zone "bible.co.kr" IN { type master; file "bible.co.kr.zone"; allow-update { none; } ; }; zone "sspark.co.kr" IN { type master; file "sspark.co.kr.zone"; allow-update { none; } ; }; |
즉 named.conf파일에는 bible.co.kr도메인과 sspark.co.kr도메인에 대한 두개의 도메인을 사용하겠다라는 설정과 함께 각각의 도메인에 대한 zone파일을 bible.co.kr.zone과 sspark.co.kr.zone으로 지정하였다.
이들 zone파일은 /var/named/chroot/etc/named.conf에 존재하고있다.
자, 그럼 이제 /var/named/chroot/var/named/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두개의 도메인에 대한 zone파일의 내용을 설정하도록 하겠다.
먼저,
bible.co.kr.zone파일의 설정이다.
[root@sulinux named]#cat bible.co.kr.zone $TTL 400 @ IN SOA ns.bible.co.kr. root.bible.co.kr. ( 2019091201 ; Serial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e 400) ; Minimum ; IN NS ns.bible.co.kr. ; IN MX 10 mail.bible.co.kr. ; IN A 192.168.0.250 ; www IN A 192.168.0.250 ; mail IN A 192.168.0.250 ; * IN A 192.168.0.250 ; [root@sulinux named]# |
* zone파일의 자세한 세부 설명은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네임서버(DNS)파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위의 zone파일 설정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bible.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www.bible.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mail.bible.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그리고 이번에는 sspark.co.kr.zone파일의 설정이다.
[root@sulinux named]#cat sspark.co.kr.zone $TTL 400 @ IN SOA ns.sspark.co.kr. root.sspark.co.kr. ( 2019091201 ; Serial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e 400) ; Minimum ; IN NS ns.sspark.co.kr. ; IN MX 10 mail.sspark.co.kr. ; IN A 192.168.0.250 ; www IN A 192.168.0.250 ; mail IN A 192.168.0.250 ; * IN A 192.168.0.250 ; [root@sulinux named]# |
위의 zone파일 설정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sspark.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www.sspark.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mail.sspark.co.kr의 IP주소는 192.168.0.250이다.
그리고 위와같이 설정하신 다음에는 named데몬을 재시작하여 적용하도록해야 한다.
즉 네임서버 데몬인 named를 재시작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하면 된다.
[root@sulinux named]#/etc/rc.d/init.d/named restart named를 정지 중: [ OK ] named를 시작 중: [ OK ] [root@sulinux named]# [root@sulinux named]#ps -ef | grep named named 3671 1 0 15:32 ? 00:00:00 /usr/sbin/named -u named root 3702 3528 0 15:36 pts/1 00:00:00 grep --colour=auto named [root@sulinux named]#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