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웹서버를 DSO(Dynamic Shared Object)방식으로 설치 및 운영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2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아파치웹서버를 DSO(Dynamic Shared Object)방식으로 설치 및 운영하기
① “Dynamic Shared Object”의 약어이다. 즉 동적으로 모듈을 적재(load)하고 unload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의미이다.
② 아파치 1.3.X부터 사용가능한 방식이다.
③ 아파치 설치시에 동적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특정모듈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설치후에 모듈을 따로 설치하여 아파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httpd.conf파일에서 설정만 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이 방식에서는 아파치를 처음 한번만 설치하여 사용한다.
④ 아파치 운영중에 모듈이 필요할 때에만 그 모듈이 시스템에 로드되어 사용되다가 사용이 다하면 다시 unload되어 해제된다.
이런 동적인 방식으로 모듈이 사용된다.
⑤ 이 방식에서는 Static방식에 비해 응답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다.
하지만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의 속도차이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⑥ 필요할 때에 시스템에 load되었다가 필요가 다했을 때에 다시 unload되므로 시스템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⑦ DSO방식으로 설치하려면 아파치 configure시에 “--enable-so”옵션을 사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때 다른 모듈을 추가하기 위한 별도의 모듈추가 옵션은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설치후에 별도로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⑧ DSO방식으로 설치되었는가를 확인하려면 “httpd -l”을
실행하여 그 결과 중 “mod_so.c”라는 것이 있으면 DSO방식으로
설치된 것이다.
⑨ 설치후에 추가로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httpd.conf파일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지정만 하면 된다. (물론 해당 추가모듈은 별도로 설치하여 모듈파일을 /usr/local/apache/modules디렉토리내에 복사해두어야 한다.)
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s/mod_rewrite.so LoadModule php5_module modules/libphp5.so |
즉 위의 예는 httpd.conf파일에서 rewrite모듈과 php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예로서 LoadModule지시자를 사용하여 mod_rewrite.so라는 모듈파일과 libphp5.so라는 모듈파일의 위치를 지정하여 필요할 때 자동로딩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정의한 모듈파일들은 /usr/local/apache/modules/디렉토리에 존재한다.
다음을 보라.
[root@sulinux www]#ls -l /usr/local/apache/modules/ 합계 12660 -rw-r--r-- 1 root root 9046 4월 15 01:18 httpd.exp -rwxr-xr-x 1 root root 12794153 4월 15 01:54 libphp5.so -rwxr-xr-x 1 root root 129493 4월 15 01:24 mod_rewrite.so [root@sulinux www]# |
그리고 만약 php의 경우라면 httpd.conf파일에 다음과 같이 AddType지시자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즉 .php 또는 .phtml 또는 .phps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이 php인터프리터가 파싱할 수 있도록 정의해 둔 것이다.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tml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