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e2fs실무3편: ext3 또는 ext2타입으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1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e2fs실무3편: ext3 또는 ext2타입으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앞의 예에서는 ext4파일시스템 타입으로 포맷하는 예를 보았다.
이번에는 ext3타입과 ext2 타입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예를 보도록 하자. 그래도 아직까지 ext3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의할 것은 mke2fs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 기존에 존재하던 데이터들은 모두 삭제된다는 점이다.
주의해야 할 점이다.
다음 예는 mke2fs명령어로 /dev/sdc1 장치를 ext3타입으로 포맷을 한 예이다.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3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4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13:22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049f9c7a-0a97-4a2d-8359-57ee7182e53e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
이번 예도 ext4타입으로 포맷했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파일시스템의 여러가지 정보들을 출력해 준다.
이들 유용한 정보들을 모두 한번씩 살펴보기 바란다.
그리고 위의 예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mkfs.ext3 /dev/sdc1
즉 이 명령어와 앞에서 사용했던 “mke2fs -t ext3 /dev/sdc1”과는 동일한 방법임을 인지하기 바란다.
그리고 만약 -t옵션으로 ext3나 ext4와 같은 파일시스템 타입을 지정하지 않으면 어떤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생성될까? 그렇다.
/etc/mke2fs.conf파일의 설정에 보면 [defaults]라는 항목이 있고 기본값으로 ext2타입으로 생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t옵션으로 특정 파일시스템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ext2로 생성된다.
이번에는 ext2타입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해보도록 하자.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만약 -t옵션을 사용하지 않고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한다면 ext2타입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그것은 /etc/mke2fs.conf파일에 기본값으로 ext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 예는 /dev/sdb1을 ext2타입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한 것이다.
즉 아무런 옵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mke2fs는 ext2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root@RockyLinux01 ~]# mke2fs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3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17:28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e90bd3cc-c1e7-4bea-9181-add5260b9826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
당연한 얘기지만 다음과 같이 실행해도 동일하게 ext2타입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다음을 잘 살펴보자.
mke2fs -t ext2 /dev/sdc1
또는
mkfs.ext2 /dev/sdc1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그것은 여러분들의 선택에 달렸겠지만, 가능하면 “mke2fs -t ext2 /dev/sdb1”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그것은 파일시스템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주는 것이 이 명령어를 수행할 커널에게도 사용자 본인에게도 명시적인 의사전달과 의사표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