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mke2fs실무2편: ext4타입으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mke2fs실무2: ext4타입으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현재까지 리눅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해왔던 파일시스템타입은 ext를 비롯하여 ext2 그리고 ext3, 이번에는 ext4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2001 10월에 ext3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수많은 리눅스시스템에서 흔하게 사용되고있는 파일시스템타입이다.

 

 

 

 

 

하지만 ext3에서 인식할 수 있는 최대 볼륨이 16TB까지이고, 삭제파일 복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기타 여러가지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었다.

 

 

 

이런 ext3를 개선하여 개발한 것이 ext4이며 ext3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ext4의 가장 큰 장점으로 파일시스템 점검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졌으며, 파일 복구가 용이하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16TB이상의 큰 볼륨을 가질 수 있다라는 것이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ext4는 페도라9(fedora 9)버전부터 지원되었으며 현재도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리눅스의 표준파일시스템이다.

 

 

 

 

 

우리는 이번 절에서 특정 파일시스템을 ext4타입으로 생성(포맷)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이번 장에서 배우고 있는 mke2fs라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Your mke2fs.conf file does not define the ext filesystem type.

Aborting...

[root@RockyLinux01 ~]#

[root@RockyLinux01 ~]#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4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4 file system

        last mounted on Fri Jun 23 11:42:51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69e69a45-b86a-41c1-8018-f3df516312c9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위의 예는 /dev/sdc1이라는 파일시스템을 ext4타입으로 포맷하기 위하여 “mke2fs -t ext4 /dev/sdc1”를 실행한 예이다.

 

 

 

블록크기(block size) 4096byte로 하였으며, 총 블록개수와 Inode개수, 그리고 각 그룹당 Inode, 그리고 백업수퍼블록이 몇번블록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번 블록에 각각 수퍼블록의 백업본인 백업수퍼블록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은 위와 동일한 작업이지만 사용법이 조금 다른 예를 보겠다.

 

 

 

 

 

[root@RockyLinux01 ~]# mkfs.ext4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4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10:06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1fe5d4f6-8eb1-4238-ae50-1288f70e557b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이번 예는 mke2fs가 아닌 mkfs.ext4라는 ext4타입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전용명령어이다.

 

 

 

따라서 “mke2fs -t ext4”라는 것과 “mkfs.ext4”라는 명령어가 같은 것이라는 점만 기억해 두기 바란다.

 

그리고 이렇게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고 나면 여러가지 정보들을 출력해 주는데 이런 정보들을 한번쯤 살펴보아야 한다.

 

 

 

즉 블록갯수와 INODE개수, 그리고 블록그룹에 대한 정보, 그리고 수퍼블록과 백업수퍼블록에 관한 정보들이러한 정보들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노파심에 한마디 더한다면 이번 예와같이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고 나면 기존에 존재했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된다는 점이다.

 

 

 

이점 기필코, 반드시, , 기억하기 바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44 명
  • 현재 강좌수 :  35,858 개
  • 현재 접속자 :  95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