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이란?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75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IB은 Management Information Base의 약어이다. 네트웍장비들 즉 서버, 라우터, 허브, 워크스테이션, 스위치등을 분석대상자원이라고 하고 이들 장비들의 특정한 값을 통해서 관리를 하게되는데 이런 특정한 정보나 자원을 객체라고 하며 이런 객체들의 집합체를 MIB이라고 한다. 즉, MIB이란 MRTG의 구체적인 작업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런 MIB값을 통해서 각 장비의 상태파악이나 모니터링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응용프로그램(예, MRTG)을 통해 네트웍자원을 관리한다라는 의미는 이들 MIB값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 자원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MIB값의 변경을 통해 이들자원의 상태를 변경시키거나 특정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라는 의미이다. MIB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MIB은 각 객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정의하고 있으며 트리(tree)구조로 되어있다. 현재 TCP/IP기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MIB의 정의문서는 RFC-1156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RFC-1156문서에 대한 원문은 아래의 URL에서 볼 수가 있다. ftp://ftp.isi.edu/in-notes/rfc1156.txt RFC-1156 문서의 제목은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Network Management of TCP/IP-based internets"라는 것으로 현재 TCP/IP기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MIB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MIB-2에 대한 문서는 RFC-1213에 정의되어 있으며 모두 9개의 그룹에 대한 정의가 되어있다. 이 책에서 다루게 되는 MIB그룹은 RFC-1213문서에 따른 것으로 모두 9개의 MIB그룹을 대상으로 설명이 될 것이다.
MRTG를 통해서 네트웍자원들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대상의 가장 구체적인 대상이 되는 MIB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들 그룹에 대해서 하나씩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하자.<?XML:NAMESPACE PREFIX = O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