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기타 분류

웹호스팅업체 선택기준법 제공하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icon01.giftitle25.gif

다음의 명령어들은 저희 수퍼유저코리아의 연구원들이  웹호스팅고객을 위하여 제작한 것입니다. 저희 웹호스팅고객이 아닌분들의 사용을 금합니다.

icon04.gif pwd

웹호스팅서버로 접속하신후에 고객의 홈디렉토리나 작업하고 계신 디렉토리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를 표시해 줍니다

유닉스시스템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현재 자기가 위치해있는 곳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pwd라는 명령어로 자기의 위치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사용법 또한 매우 간단하여 그냥 pwd라고 하면 현재의 작업경로(디렉토리경로)를 표시해줍니다.

[yourid@nice ~]$

pwd

/home/yourid

이 예는 현재 자기가 위치한 작업경로가 /home/yourid이란 디렉토리임을 표시해 줍니다.

TOP.gif

icon04.gifpasswd

고객분의 로그인ID에 대한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저희 나이스코리아에서는 고객데이터의 보안을 위해서 최소한 일주일에 1회이상 고객의 패스워드를 변경해 주실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너무나 쉬운 명령어이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rid@nice yourid]$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yourid

(current) UNIX password: ********(실제로는 안보임)

New UNIX password: ********(실제로는 안보임)

Retype new UNIX password: ********(실제로는 안보임)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TOP.gif

icon04.gifdate

현재 시스템의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단순히 날짜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이 날짜를 변수로 입력받아서 CGI프로그램등에서 활용하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일반 고객, 즉 웹호스팅고객들은 아래와 같이 시스템의 날짜변경을 할 수 없지만 날짜확인은 할 수 있습니다.

[yourid@nice ~]$ date

Thu Jan 20 11:13:29 KST 2000

TOP.gif

icon04.gifls

ls명령어는 도스의 dir 명려어와 유사한 것입니다.

즉, 현재 디렉토리의 정보(파일 및 서브디렉토리)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도스의 dir 명령어에도 여러 가지 옵션( /w /p 등)이 있듯이 유닉스의 ls라는 명령어에도 수십가지(약 40가지)의 옵션들이 있습니다.

이런 옵션들을 모두다 기억하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유닉스관리자나 고객여러분들 같은 웹호스팅고객들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옵션은 몇 개에 지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ls의 옵션을 중심으로 간단한 예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웹호스팅서버에 접속을 하면 자기의 홈디렉토리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ls를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rid@nice ~]$ ls

Desktop Mail logs www

아무런 옵션없이 ls라고 하면 파일명과 디렉토리명만을 보여줍니다.

좀더 자세한 정보를 보고자한다면 다음과 같이 l옵션을 함께 사용하시면 됩니다.

l옵션은 long의 약자로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길게 보여달라는 의미의 옵션입니다.

[yourid@nice ~]$ ls -l

total 16
rwxr-xr-x 5 yourid yourid 4096 Sep 13 17:06 Desktop
drwx------ 2 yourid yourid 4096 Sep 14 14:39 Mail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Sep 14 17:34 logs
drwx--x--x 4 yourid yourid 4096 Jan 19 09:44 www

파일과 디렉토리의 여러 가지 정보들을 함께 보여줍니다.

즉, 파일및 디렉토리의 퍼미션(권한표시), 소유권, 그룹소유권, Size, 생성 및 최종변경날짜, 이름등의 순으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도스에서도 파일 및 디렉토리에 hidden이라는 속성이 있어서 그냥 dir했을때는 나타나지 않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런 파일들을 숨김파일(Hidden File)이라고 합니다.

유닉스에도 이런 숨겨진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런 숨겨진 파일들을 보려면 a라는 옵션을 사용하셔야합니다.

a 라는 옵션은 all의 약자로 숨겨진파일까지도 모두 표시하라는 의미의 옵션입니다.

다음은 이 디렉토리에서 숨겨진파일까지 보여주는 예를 보인것입니다.

[yourid@nice ~]$ ls -al

total 72

drwxr-xr-x 9 yourid yourid 4096 Jan 20 12:20 .
drwxr-xr-x 15 yourid yourid 4096 Jan 19 09:37 ..
-rw-r--r-- 1 yourid yourid 1422 Sep 13 17:06 .Xdefaults
-rw------- 1 yourid yourid 4119 Oct 12 15:14 .bash_history
-rw-r--r-- 1 yourid yourid 24 Sep 13 17:06 .bash_logout
-rw-r--r-- 1 yourid yourid 230 Sep 13 17:06 .bash_profile
-rw-r--r-- 1 yourid yourid 124 Sep 13 17:06 .bashrc
drwx------ 2 yourid yourid 4096 Sep 14 14:39 .elm
drwxr-xr-x 3 yourid yourid 4096 Sep 13 17:06 .kde
-rw-r--r-- 1 yourid yourid 966 Sep 13 17:06 .kderc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Jan 19 16:55 .ncftp
-rw------- 1 yourid yourid 27 Dec 6 18:35 .rhosts
-rw-rw-r-- 1 yourid yourid 3505 Sep 13 17:06 .screenrc
drwxr-xr-x 5 yourid yourid 4096 Sep 13 17:06 Desktop
drwx------ 2 yourid yourid 4096 Sep 14 14:39 Mail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Sep 14 17:34 logs
drwx--x--x 4 yourid yourid 4096 Jan 19 09:44 www

이 예에서 보시면 a라는 옵션과 l이라는 옵션을 함께 사용하였습니다.

즉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정보를 길게 나열하면서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보여달라는 의미의 옵션입니다.

참고로 유닉스에서는 숨겨진 파일의 표시를 파일명 앞에 .(점)을 붙여서 표시합니다.

위의 예에서도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모두 숨겨진 파일이므로 a라는 옵션을 사용하였을 때에만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OP.gif

icon04.gifcd

change directory의 약자이며 현재의 작업디렉토리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기초적인 명령어이므로 유닉스서버로 접속을 해보신분이라면 한번쯤은 사용을 해보았을 것입니다.

도스의 cd명령어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yourid@nice ~]$ pwd

/home/yourid ← 현재디렉토리는 /home/yourid

[yourid@nice ~]$

[yourid@nice ~]$ cd www ← www 디렉토리로 이동

[yourid@nice ~/www]$

[yourid@nice ~/www]$ pwd

/home/yourid/www ← 이동확인 /home/yourid/www

[yourid@nice ~/www]$ cd .. ← 한단계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yourid@nice ~]$

[yourid@nice ~]$ cd ← 현재위치가 어디든 cd라고만 하면 자기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yourid@nice ~]$

[yourid@nice ~]$ pwd ← 홈디렉토리로의 이동확인 /home/yourid

/home/yourid

TOP.gif


icon04.gifcp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도스의 copy와 같은 것으로 파일을 복사하면서 다른이름으로복사를 할 수도 있으며 다른디렉토리로의 복사도 가능합니다.

이 명령어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p <복사할 파일명> <복사되어 생성될 파일명>

간단한 사용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rid@nice www]# cp index.html index2.html

[yourid@nice www]# ls -l

total 84

drwx--Sr-x 5 yourid yourid 4096 Apr 28 23:34 aw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Sep 16 16:09 index.html

-rw-r--r-- 1 yourid yourid 1983 Sep 14 11:48 index.html.org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Oct 12 22:50 index2.html ← (복사된 파일)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Oct 12 22:50 pds

위의 명령어는 index.html 이란 파일을 index2.html이란 또다른 파일을 복사한 것입니다.

그리고나서 "ls -l"로 복사된 파일을 확인한 것입니다.

이번에는 파일을 다른디렉토리로 복사하는 예를 들어보게 보겠습니다.

[yourid@nice www]# cp  index2.html   pds

[yourid@nice www]# cd  pds

[yourid@nice pds]# ls -l

total 8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Oct 12 22:51 index2.html

위의 예는 index2.html을 pds라는 하위디렉토리로 복사한 것입니다.

그리고나서 pds라는 디렉토리로 이동을 하여 복사가 되었는가를 확인한 것입니다.

TOP.gif

icon04.gifmv

move라는 도스명령어와 같은 것으로 파일을 다른곳으로 옮겨주는 명령어입니다.

cp명령어는 복사를 하기 때문에 원본파일은 그대로 존재하면서 또다른 파일을 생성해 주지만 mv는 원본파일이 다른곳으로 대체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mv라는 명령어의 용도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꾸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mv의 사용형식과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mv 옵션 원본파일(디렉토리) 목적파일(디렉토리)

옵션

  • -b : 삭제하기전에 백업본을 만들 수 있습니다.(backup)
  • -f  : 목적디렉토리에 동일한 파일이 있더라도 overwrite합니다.(force)
          즉, overwrite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덮어쓰게 됩니다.
  • -i  : 목적디렉토리에 동일한 파일이있을 경우에는 overwrite여부를 확인합니다.(interactive)

[yourid@nice testpass]# ls -l

total 8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Sep 16 10:15 index.html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mv index.html index.html.old ← 파일이름 변경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ls -l

total 8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Sep 16 10:15 index.html.old ← 이름변경확인

TOP.gif


icon04.gifrm

불필요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는 명령어로서 remove의 약자이며 파일을 삭제할 때에는 도스의 del명령어와 같고 디렉토리를 삭제할 경우에는 도스의 redir과 같은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v명령어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m 옵션 파일(디렉토리)

옵션

  • -f 삭제여부를 묻지않고 바로 삭제해 버립니다.(force)
  • -i 삭제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interactive)
  • -r, -R 서브디렉토리가 있을 경우에도 모두 삭제해 버립니다.(recursive)

간단한 예

rm 삭제할파일명 파일명 . . . : 지정한 파일만을 지운다.

rm *.html : html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지운다.

[yourid@nice pds]# ls -l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Oct 12 23:13 test.html

[yourid@nice pds]#

[yourid@nice pds]# rm  test.html

rm: remove `test.html'? y

[yourid@nice pds]#ls -l

[yourid@nice pds]#

total 0

위의 예는 test.html을 삭제한 것으로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하시면 삭제여부를 묻게됩니다.

[yourid@nice pds]# ls -l

total 24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Oct 12 22:51 index2.html

-rwxr-xr-x 1 yourid yourid 7774 Oct 12 23:07 sample.html

[yourid@nice pds]#

[yourid@nice pds]# rm  *.html

rm: remove `index2.html'? y

rm: remove `sample.html'? y

[yourid@nice pds]# ls -l

total 0

위의 예는 한꺼번에 여러개의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입니다.

이번에는 디렉토리를 왕창(?) 지워버리는 것을 예로들어 보겠습니다.

[yourid@nice www]# ls  -l

-rw-r--r-- 1 yourid yourid 1174 Oct 9 12:59 sample.shtml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Oct 12 23:19 testdir

[yourid@nice www]#

[yourid@nice www]# rm  -rf  testdir

[yourid@nice www]#ls -l

-rw-r--r-- 1 yourid yourid 1174 Oct 9 12:59 sample.shtml

보시는 바와 같이 testdir이라는 디렉토리를 아무런 확인없이 왕창(?) 날려 버렸습니다.

TOP.gif

icon04.gifmkdir, rmdir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서 현재디렉토리의 서브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며, rmdir은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서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즉, 이 두 명령어는 상반되는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이 매우 간단합니다.

mkdir 옵션 디렉토리

rmdir 옵션 디렉토리

이 두가지 명령어의 예를 같이 들어보겠습니다.

[yourid@nice testpass]# mkdir newdir

[yourid@nice testpass]# ls  -l

total 4

drwxr-xr-x 2 yourid yourid 4096 Oct 12 23:36 newdir

[yourid@nice testpass]# rmdir  newdir

[yourid@nice testpass]# ls  -l

total 0

먼저 mkdir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newdir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rmdir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 디렉토리를 삭제한 것입니다.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면서 지정한 경로의 모든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yourid@nice testpass]# mkdir -p  aaa/bbb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ls -l

total 4

drwxr-xr-x 3 yourid yourid 4096 Oct 12 23:42 aaa

위의 예는 현재 디렉토리에 aaa라는 디렉토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aaa디렉토리를 먼저 생성한 후에 bbb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TOP.gif


icon04.gifchown, chgrp

파일과 그룹의 소유권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change owner, change group의 약자로서 각각 파일의 소유권과 그룹의 소유권을 변경할때에 사용합니다.

특히 웹호스팅서버관리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명령어 중의 하나로서 CGI 파일의 실행권한을 지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chown 새로운소유자 변경할파일(디렉토리)
  • chgrp 새로운소유그룹 변경할파일(디렉토리)

사용예를 들어보겠습니다.

[yourid@nice testpass]# ls  -l

-rw-r--r-- 1 yourid yourid 1174 Oct 12 23:51 sample.shtml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chown minoz sample.shtml ← sample.shtml이라는파일의 소유권을 minos라는 고객의 소유로 변경.

[yourid@nice testpass]# ls -l

-rw-r--r-- 1 minoz yourid 1174 Oct 12 23:51 sample.shtml ← 변경확인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chgrp minoz  sample.shtml ← sample.shtml이라는파일의 그룹소유권을 minoz라는 그룹으로 변경

[yourid@nice testpass]#

[yourid@nice testpass]# ls -l

-rw-r--r-- 1 minoz minoz 1174 Oct 12 23:51 sample.shtml ← 변경확인

단일고객 운영체제인 도스에는 없는 명령어이며, 멀티유저(다중고객)환경을 위해 개발된 유닉스시스템의 특징적인 명령입니다.

즉,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파일과 디렉토리가 어떤고객의 소유인지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TOP.gif


icon04.gifcat

concatenate의 약자로서 텍스트형식으로 된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도스의 type명령어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at에는 아래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옵션이 있습니다.

  • -b : 행번호를 앞에 붙여서 출력한다.(빈행은 번호를 붙이지 않는다.)
  • -n : 행번호를 앞에 붙여서 출력한다.(빈행도 번호를 붙인다.)

파일의 내용이 많을 경우에는 화면스크롤이 빨라 한화면을 넘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Ctrl+S로 잠시 화면스크롤을 정지시켰다가

다시 스크롤시킬때에는 Ctrl+Q로 재개할 수 있습니다.

사실 한화면 이상의 내용이라면 이런 기능키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다음과 같이 more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yourid@nice testpass]#cat hdek.txt  | more

TOP.gif


icon04.gifhead

이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처음부터 몇행까지만 보고자 할 때에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 head 파일명 :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하시면 처음부터 10행까지만을 보여줍니다.
  • head -n 파일명 : 파일의 첫행부터 n행까지만을 보여줍니다.

이에 대한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rid@nice ~/logs]$ head  access_log

168.126.62.78 - - [14/Sep/1999:17:34:07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15
168.126.62.78 - - [14/Sep/1999:17:34:09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0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1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2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3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4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5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6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7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6

[yourid@nice ~/logs]$ head  -5 access_log

168.126.62.78 - - [14/Sep/1999:17:34:07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15
168.126.62.78 - - [14/Sep/1999:17:34:09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0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1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168.126.62.78 - - [14/Sep/1999:17:34:12 +0900] "GET /server-status?refresh=1 HTTP/1.1" 200 1525


TOP.gif

icon04.giftail

이 명령어는 바로앞의 head라는 명령어와는 상반되는 것이며 파일의 내용을 맨 마지막부터 몇행까지 보고자 할 때에 사용합니다.

이런 tail이라는 명령어의 주용도는 계속 추가되는 파일의 내용을 모니터링하면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tail 파일명 : 아무런 옵션없이 사용하시면 마지막부터 10행까지만을 보여줍니다.
  • tail -n 파일명 : 파일의 마지막행부터 n행까지만을 보여줍니다.

[yourid@nice ~/logs]$ tail  access_log

210.219.170.93 - - [06/Dec/1999:19:02:41 +0900] "GET /cgi-bin/home.cgi HTTP/1.1" 404 - "http://www.m
210.219.170.93 - - [06/Dec/1999:19:02:48 +0900] "GET /logo.html HTTP/1.1" 404 - "http://www.manualan
210.117.112.49 - - [07/Dec/1999:02:04:34 +0900] "GET / HTTP/1.0" 200 513 "http://dir1.naver.com/sear
210.117.112.49 - - [07/Dec/1999:02:04:34 +0900] "GET /logo.html HTTP/1.0" 404 - "http://dir1.naver.c
210.117.112.49 - - [07/Dec/1999:02:04:34 +0900] "GET /cgi-bin/menu.cgi HTTP/1.0" 404 - "http://dir1.
210.117.112.49 - - [07/Dec/1999:02:04:37 +0900] "GET /cgi-bin/home.cgi HTTP/1.0" 404 - "http://dir1.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 HTTP/1.0" 200 513 "http://search.simmani.com/c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cgi-bin/menu.cgi HTTP/1.0" 404 - "http://www.ma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logo.html HTTP/1.0" 404 - "http://www.manualand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cgi-bin/home.cgi HTTP/1.0" 404 - "http://www.ma

[yourid@nice ~/logs]$ tail -5  access_log

210.117.112.49 - - [07/Dec/1999:02:04:37 +0900] "GET /cgi-bin/home.cgi HTTP/1.0" 404 - "http://dir1.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 HTTP/1.0" 200 513 "http://search.simmani.com/c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cgi-bin/menu.cgi HTTP/1.0" 404 - "http://www.ma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logo.html HTTP/1.0" 404 - "http://www.manualand
210.221.2.125 - - [07/Dec/1999:02:29:20 +0900] "GET /cgi-bin/home.cgi HTTP/1.0" 404 - "http://www.ma

tail 이라는 명령어는 위의 두 경우 보다도 다음과 같은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yourid@nice ~/logs]$ tail -f  error_log

[Tue Dec 7 02:04:34 1999] [error] [client 210.117.112.49]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
[Tue Dec 7 02:04:34 1999] [error] [client 210.117.112.49]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
[Tue Dec 7 02:04:37 1999] [error] [client 210.117.112.49]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
[Tue Dec 7 02:04:37 1999] [error] [client 210.117.112.49]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Tue Dec 7 02:29:20 1999] [error] [client 210.221.2.125] File does not exist: /home/yourid/public_h

f라는 옵션을 사용하면 계속적으로 추가되는 파일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파일의 내용, 특히 에러파일의 내용이나 로그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TOP.gif


icon04.giffind

원하는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의 사용법과 옵션을 모두 익히려면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정도로 사용법이 다소 어려운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옵션과 사용법 몇가지만을 익혀두면 정말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find명령어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find [찾을 디렉토리경로] [찾기옵션] [찾은후행할 작업]

[찾을 디렉토리경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 현재 디렉토리이하
  • / : 루트디렉토리이하(파일시스템전체)
  • ~ID : 특정ID의 홈디렉토리이하

[찾기옵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empty : 비어있는 파일
  • -gid n : 특정 gid를 갖는 파일(n : 특정 gid)
  • -group gname : 특정 group에 속한 파일(gname : group명)
  • -name : 지정한 형식을 갖는 파일이름
  • -newer : 특정 파일 이후에 생성된 파일
  • -perm : 특정 허가모드를 가지고 있는 파일
  • -uid n : 특정 uid를 갖는 파일(n : 특정 uid)
  • -used n : 최근에 n일 이후에 변경된 파일(n : 일수)
  • -user : 특정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의 파일

[찾은후 행할 작업]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print : 가장많이 쓰는 옵션으로 찾은 파일을 보여준다.
  • -exec : 찾은 파일들에 대해 특정명령을 수행한다.

그럼, 사용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yourid@nice /]# find  . -uid 504 -print

./home/yourid
./home/yourid/.Xdefaults
./home/yourid/.bash_logout
./home/yourid/.bash_profile
./home/yourid/.bashrc

위의 예는 현재디렉토리(.)에서부터 uid가 504인 고객의 파일을 찾아서 보여달라는 것입니다.(-print)

[yourid@nice /]# find ~yourid  -name  *.shtml  -print

./home/yourid/www/sample.shtml
./home/yourid/www/testpass/sample.shtml
./home/yourid/www/testdir/sample.shtml

위의 예는 yourid이라는 고객의 소유로된 파일중 shtml로 끝나는 파일을 찾아서 보여달라는 것입니다.

[yourid@nice /yourid]# find ~yourid  -name  *.doc  -exec  rm  -f  {}  ;

위의 예는 yourid이라는 고객의 홈디렉토리(~yourid)이하에 존재하는 doc로 끝나는(*.doc) 파일을 찾아서 묻지말고(-f) 지워(rm)버리라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웹호스팅고객에게 보다도 서버관리자에게 더욱 유용한 명령어로서 서버관리를 하다보면 어떤 파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찾아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TOP.gif

icon04.gifwhich

특정파일의 경로가 어디인가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웹호스팅고객들은 게시판이나 방명록등의 perl로 작성된 cgi를 설치할 때 웹호스팅서버의 perl경로를 확인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매우 유용합니다.

[yourid@nice yourid]# which perl

/usr/bin/perl

TOP.gif


icon04.gifdu

웹호스팅고객은 자기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의 용량을 항상 체크해야합니다.

이 명령어는 disk usage의 약자로서 현재디렉토리 이하의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에는 유용한 옵션이 두 개가 있습니다.

s라는 옵션은 사용량만을 간단히 요약 (summary)하여 보여달라는 것이며 h라는 옵션은 사용량을 우리인간이 알기쉽게 (human-readable)용량단위를 붙여서 보여달라는 것입니다.

그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yourid@nice ~]$ du -s

5848 .

이 예는 현재디렉토리 이하의 용량을 요약(summary)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yourid@nice ~]$

[yourid@nice ~]$ du -sh

5.7M .

이 예는 현재디렉토리 이하의 용량을 요략하여 보여주면서 단위를 사용하여 보여달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서버관리자가 사용하는 것을 간단히 예들어 보겠습니다. 서버관리자들은 전체고객의 용량을 모두 체크해야하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활용하게됩니다.

[yourid@nice /]# du -sh ~yourid

5.7M /home/yourid

[yourid@nice /]#

[yourid@nice /]# du -sh ~sspark

172k /home/sspark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34 명
  • 현재 강좌수 :  35,789 개
  • 현재 접속자 :  26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