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lookup으로 특정 도메인 정보 조회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2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nslookup으로 특정 도메인 정보 조회하기
이번에는 nslookup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목적인 특정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정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dig, whois, host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nslookup의 사용목적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 도메인에 대한 IP주소 확인입니다.
따라서 그 기본 사용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su250 ~]# nslookup > > linux.co.kr Server: 168.126.63.1 Address: 168.126.63.1#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linux.co.kr Address: 222.97.189.20 > > picasso.co.kr Server: 168.126.63.1 Address: 168.126.63.1#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picasso.co.kr Address: 222.97.189.14 >
|
위의 예는 linux.co.kr이라는 도메인이 사용하는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nslookup으로 조회한 것입니다.
nslooup을 실행시킨 다음 > 표시가 있는 곳에서 linux.co.kr이라고 입력하면 그 도메인이 사용하는 IP주소를 보여줍니다.
즉, "linux.co.kr이라는 도메인이 사용하는 IP주소는 222.97.189.20이다"라고 네임서버(위의 경우 168.126.63.1)가 응답을 한 것입니다.
한가지 "Non-authoritative answer:"라는 것은 응답한 네임서버의 zone파일에서 직접 확인하여 응답한 것이 아니라 그 서버의 캐시에 보관되고 있는 캐시정보를 가지고 응답한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도메인셋팅시에 설정한 TTL이라는 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한번 조회해서 가져간 도메인정보에 대해서는 TTL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 그 정보를 가져간 네임서버의 캐시라는 공간에 보관을 하게 됩니다.
TTL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은 새로운 질의가 있더라도 직접 질의하여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캐시에 보관되어 있는 값으로 응답을 하게 됩니다.
즉, 여기서 "Non-authoritative answer:" 라는 것은 캐시데이터의 값으로 응답을 한 것이기에 혹시 원본 값인 zone파일의 값이 변경이 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보증하지 못하는 응답”이라는 의미로서 이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