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Term(넷텀)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80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네트웍, 특히 인터넷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telnet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많이 쓰이는 도구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거의 대부분 telnet으로 서버에 접속을 할 때는 이 NetTerm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용선사용자 뿐만아니라 모뎀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천리안, 하이텔등의 PC통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제작사와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작사 홈페이지 : Intersoft International. Inc,
홈페이지 : http://www.netterm.com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원하는 프로토콜 : zmodem, xmodem, kermit
2. 전용선(LAN)과 모뎀을 통한 전화접속 지원
3. FTP Server가 내장되어 있음.
4. text파일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음.
5. 접속된 메시지를 메모장등에서 바로 편집가능
6. finger, resolve 내장되어 있음.
7. 한글 입출력 완벽지원
2. 왼쪽메뉴의 "Downloads" 항목을 클릭합니다. 3. 세 개의 다운로드 버전중 두 번째 International 버전인 nt3242a.exe을 클릭하여 적당한 디렉토리로 다운받아 저장합니다.
|
2. 자동실행파일이므로 압축해제와 함께 설치가 시작됩니다. 다음은 설치과정을 간단히 설명한 것입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해제하고 있습니다. 사용할 언어는 "English"가 디폴트(Default)이므로 그대로 두시고 "Next"를 클릭하세요. Netterm을 설치할 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그런다음 "Next"를 클릭하세요. 설치완료가 되었습니다.
|
1. [시작 -> 프로그램 -> NetTerm]에서 NetTerm을 클릭하면 실행됩니다. 2. 아래 그림은 NetTerm 실행된후의 메인화면입니다.
자기가 가입한 웹호스팅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설정한 다음 아래에 있는 Connect 버튼 4. 아래와 같이 자기가 사용하는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서버에 접속된다.
|
1. 글자옵션 설정하기 넷텀의 메인윈도우에 사용하는 글꼴과 글자색 및 크기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Options -> Setup -> Font를 클릭하거나 툴바에서
- 글꼴 : Fixed01
자신의 취향에 맞게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배경색을 바꾸어 보자
Options -> Setup -> Font를 클릭하거나 툴바에서 이 창에서 원하는 색을 지정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원하는 색으로 배경색이 지정됩니다. 또한 원하는 색이 없다면 이 창의 아래에 있는 "사용자 정의색 만들기"버튼을 클릭하면 색을 만들어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배경색을 회색으로 지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입니다. 3. Desktop 환경설정하기
메뉴에서 Options -> Setup -> Desktop Settings를 선택하거나 툴바의 - 행(Screen Rows) : 35 행은 메인윈도우에서 몇라인까지를 현재창에 나타나게 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며, 열은 오른쪽으로 몇 개의 글자까지를 현재창에 나타나게 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설정은 프로그램작업이나 서버관리자 및 특히 웹호스팅 사용자들에게도 아주 유용하며, 자기가 작업했던 내용들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바로 작업했던 내용을 메모장등에서 바로 불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Scrollback의 설정을 사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에 나오는 "작업내용 텍스트로 저장 및 편집하기"편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4. 작업내용 텍스트로 저장 및 편집하기
우선 먼저 버퍼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메인윈도우 창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Pop-Up)메뉴가 여러개 뜹니다. 이중에서 아래와 같이 "Save Scroll Buffer As.."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버퍼의 내용을 텍스트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뜨면서 파일이름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메인윈도우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Pop-Up)메뉴가 뜨며 이 메뉴중에서 "Edit Scroll Buffer"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지금까지 작업했던 내용중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정확하게는 Desktop에서 Scrollback에서 지정했던 행의 수만큼)이 메모장에서 불러옵니다.
이외에도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습니다. 참고로 "Edit Scroll Buffer"를 클릭했을 때 뜨는 메모장은 다른 편집기 프로그램(예 한글, MS-WORD등)으로 이의 설정은 "Options -> Settings -> Global Settings"의 Applications에서 지정하게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뒤에 나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넷텀의 연결 설정하기"편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5. 업로드와 다운로드 디렉토리 지정하기
PC통신등을 사용하게 되면 보통 ZMODEM 프로토콜을 통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할 수가 있는데 넷텀을 사용하여 이런 작업을 할 수가 있습니다. 넷텀을 사용하여 PC통신을 사용하는 예를 들어보이는 것도 좋겠으나 여기서 우리가 넷텀을 사용하는 목적은 웹호스팅서버로 telnet 접속을 하여 원격(remote)작업을 하기위한 것이므로 PC통신 접속예는 생략하기로 하겠습니다. 그럼, 업로드와 다운로드 디렉토리를 설정하기 위해 "Options -> Setup -> Global Settings"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창이 뜬다. 이 창에서는 모두 6개의 탭이 있습니다. - General : 넷텀사용의 일?적인 설정사항
위의 그림에서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로 지정 했습니다.
이렇게 설정된 후에 넷텀을 통해 업로드 될 파일들은 Upload Directory에서 지정된 디렉토리의 해당파일을 찾아서 올리게 되며, 다운받는 파일들은 Download Directory의 지정된 디렉토리에 모두 저장됩니다. 6.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넷텀의 연결 설정하기
예를 든다면 FTP 서버의 역할이 자체내장되어 있으며,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와 같은 웹브라우즈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사용가능합니다. 여기서 설명드릴 내용은 넷텀과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설정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설명드린대로 6개의 탭중에서 이번에는 "Applications"탭을 선택하십시요.
FTP Server
FTP Server의 자세한 사용법과 활용법은 뒤에 나오는 "NetTerm의 고급기능"편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단 여기서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내용은 FTP 서버로 사용할 프로그램을 netftpd.exe 라는 프로그램으로 설정해 뒀다는 것이며 설정된 FTP서버를 실행시키려면 "Options -> Tools -> FTP Server"를 클릭하면 이 프로그램이 기동된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netftpd.exe 라는 FTP서버 프로그램은 넷텀에 내장되어 있는 FTP서버입니다.
여기서 설정된 프로그램은 메모장(notepad)이며 용도는 앞에서 설명했던 "작업내용 텍스트로 저장 및 편집하기"편에서와 같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했을 때 나오는 "Edit Scroll Buffer"를 선택했을 때 사용하는 편집기를 지정한 것입니다.
먼저 "Options -> Setup -> Global Settings"의 Applications에서 Edit Program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십시요.
넷텀으로 telnet 접속을 하여 웹호스팅서버등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파일을 서버에서 가져와야할(다운로드) 경우나 반대로 파일을 서버로 올려야할(업로드)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됩니다. 이때 간단한 메뉴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서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해 줍니다.
FTP Program : D:Program FilesWS_FTPws_ftp95.exe
메뉴에서 "Options -> Tools -> Start FTP Client"를 클릭하든지 툴바의아이콘중
같은 연장으로 비석을 만드는 분들도 어떻게 사용(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가 천차만별 이듯 이런 소프트웨어들도 활용여하에 따라서 얼마든지 파워풀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1. FTP Server 기본설정
이 FTP Server에는 사용자별 ID와 패스워드를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접속디렉토리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넷텀을 이용하여 사용중인 PC를 파일서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인터넷망에 항상 연결이 되어있어야 하며 고유 IP Address를 가진 PC여야 합니다. 그럼 이 FTP Server의 사용법과 사용자별 홈디렉토리와 ID 및 패스워드설정방법에 대한 설명을 예를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보일 PC의 사양과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넷텀실행을 시킨후 "Options -> Setup -> Global Settings"의 Applications 항목중 그림 netterm26과 같이 "FTP Server : netftpd.exe"로 설정을 합니다. (넷텀을 설치하고 나면 디폴트값으로 "netftpd.exe"가 설정되어 있음)
툴바의 아이콘중
2. FTP 사용자 셋팅계획 세우기
생성할 사용자정보(2명)
|
생성할 사용자는 위와 같으며 "sspark"이란 사용자가 이 FTP Server로 접속을 하게되면 "C:sspark"이란 디렉토리로 접속되며, "mso9010"이란 사용자 또한 접속을 하면 "C:mso9010"이란 디렉토리로 접속이 됩니다.
따라서 이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순서대로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사용자 생성과 사용자 디렉토리 설정하기
사용자와 사용자 홈디렉토리의 설정은 "Options -> Setup User Directories"를 클릭합니다.
- Read-Home Directory : 사용자가 Read 할 수 있는 디렉토리(홈디렉토리)
- Write-Home Directory : 사용자가 Write 할 수 있는 디렉토리(홈디렉토리)
- User : FTP접속권한을 줄 사용자 ID
사용자를 생성할때는 위와같이 입력한 다음 OK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생성이 됩니다. 또한 기존사용자의 정보를 변경하려면 왼쪽에 있는 User창에서 사용자를 클릭한다음 오른쪽창에서 변경할 정보를 입력한 다음 "Update"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정보가 변경이 됩니다. "Delete User"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선택된 사용자를 삭제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생성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② 사용자 패스워드 입력하기
이번에는 앞에서 생성했던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Options -> Setup FTP Server Passwords"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이 그림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오른쪽의 "Add"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이 됩니다.
Userid : sspark, Password : 123456 한 다음 OK
Userid : mso9010, Password : 234567 한 다음 OK
사용자를 삭제하려면 Delete 버튼을 클릭하시고, 정보를 변경하려면 Change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제 남은 것은 사용자의 실제 물리적인 홈디렉토리를 생성해줘야 합니다.
③ 사용자별 FTP 홈디렉토리 생성하기
사용자의 물리적인 홈디렉토리는 윈도우탐색기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를 그냥 만드는 것이므로 이 작업은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충분히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sspark과 mso9010 디렉토리를 만들었다.
참고로 윈도우탐색기에서 디렉토리를 만드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생성할 디렉토리를 만들 디렉토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② "새로만들기" 메뉴를 클릭한다.
③ 맨위의 "폴더" 메뉴를 선택한다.
④ 폴더의 이름을 입력한다.
이상으로 가입자의 홈디렉토리까지 만들었으므로 이제 생성한 가입자의 ID와 패스워드로 FTP Server로 접속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④ 접속테스트하기
먼저 sspark이란 가입자가 원격(remote)지에서 Netftpd의 FTP Server가 있는 곳으로 접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실행]에서 서버로 접속시도

[접속한 후의 창모습]
sspark이란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위치와 저장된 파일을 확인하기 바란다.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시도나 접속 및 접속후의 명령어들이 FTP서버의 로고창에 이에 대한 정보들이 나타납니다.
이번에는 mso9010이란 ID를 사용하여 접속한 후 홈디렉토리의 위치등이 맞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TP서버로 접속시도
FTP 서버의 창
3. Netftpd의 기타 사용정보
메인로고창 글꼴 속성바꾸기
이외에도 Netftpd에는 몇가지 기능들이 있습니다.
먼저 메인로고창의 텍스트의 속성(글자크기, 글자체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Options -> Font" 메뉴를 클릭하면 텍스트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글꼴"창이 뜹니다.
로고파일 지정하기
Netftpd의 접속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로그파일은 디폴트로 ftpd.txt입니다.
이파일이름을 변경하고 싶거나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Options -> Define Log File"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그림과 같이 로그파일을 바꾸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로그파일(ftpd.txt)를 메모장으로 열어보면 지금까지 접속한 정보들이 모두 저장되어 있다.
접속환경설정
FTP 서버의 접속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익명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패스워드파일 확인등을 할 수 있습니다.
"Options -> FTP Server Access"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인 창이 뜹니다.
No Access : 접속허용을 하지 않는다. 누구도 접속을 할 수 없게 된다.
Accept anyone who calls : 패스워드를 묻지않고 개설된 ID는 모두 받아 들인다. 보안이 중요한 서버라면 이 설정은 해두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패스워드를 확인하지 않는다는 것은 극히 위험한 것이므로....
Require userid and password : ID와 패스워드를 맞게 입력해야만 접속이 허용된다.
Allow anonymous access : 체크가 되어있지 않다면 익명접속이 허용되지 않는다.
Buffer Size : 메인로그창의 버퍼사이즈 크기를 설정한다.
Location of password file : 패스워드 파일의 위치를 설정한다.
참고로 패스워드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위의 설정사항과 같이 위치는 "d:Program FilesNettermpassword"로 되어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password파일을 메모장으로 불러본 것입니다.
ID와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예를 든 "sspark"과 "mso9010"이란 사용자의 ID가 생성되어있으며 패스워드는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되어 있습니다.
넷텀에는 앞에서 설명한 기능외에도 몇가지 유용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네트웍명령어들을 쉽게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과 유닉스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것등이 그것인데 그렇게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가끔씩 유용할 때가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서버)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입 력 예 : hanlim@hanlimmedia.co.kr 참고로 UNIX 쉘상태에서 사용하는 finger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