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fstab에 설정된 모든 스왑파일시스템을 스왑영역으로 사용설정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0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etc/fstab에 설정된 모든 스왑파일시스템을 스왑영역으로 사용설정하기
현재 시스템에서 스왑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모든 스왑파일시스템을 스왑영역으로 지정하는 예를 보겠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할 스왑파일시스템은 /etc/fstab에 다른 파일시스템들과 함께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파일에 설정된 스왑파일시스템은 시스템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스왑영역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시스템에서 추가로 스왑영역을 지정하여 /etc/fstab파일에 설정하였거나 스왑파일시스템의 변경된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아도 /etc/fstab파일에 스왑영역의 변경된 사항을 수정한 후에 swapon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시점부터 적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즉 “swapon -a”라는 명령어는 /etc/fstab파일내의 “swap”이라는 스왑영역으로 사용하는 설정이 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을 스왑영역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래의 예는 현재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시스템의 /etc/fstab파일을 cat명령어로 확인한 것입니다.
[root@su252 ~]# cat /etc/fstab /dev/sda6 / ext3 defaults 1 1 /dev/sda2 /home ext3 defaults 1 2 /dev/sda1 /boot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sda5 swap swap defaults 0 0 [root@su252 ~]# |
그리고 이 시스템은 /dev/sda5 파일시스템이 현재 스왑파티션으로 설정되어 있고, 스왑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free를 이용하여 메모리 상황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습니다.
[root@su252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515512 396488 119024 0 38768 272092 -/+ buffers/cache: 85628 429884 Swap: 1052216 0 1052216 [root@su252 ~]# |
그리고 다음은 /dev/sda3파일시스템을 스왑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etc/fstab에 등록을 하였습니다.
(물론, /dev/sda3파일시스템에 대한 fdisk작업과 mkswap작업은 선행되었습니다.
이 웹사이트(www.linux.co.kr)의 fdisk편과 mkswap 강좌를 찾아서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52 ~]# cat /etc/fstab /dev/sda6 / ext3 defaults 1 1 /dev/sda2 /home ext3 defaults 1 2 /dev/sda1 /boot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sda5 swap swap defaults 0 0 /dev/sda3 swap swap defaults 0 0 [root@su252 ~]# |
위의 마지막행에 보면 /dev/sda3을 스왑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swapon -a”를 실행하였습니다.
이 명령의 실행으로 /etc/fstab파일에 설정된 모든 스왑파일시스템을 활성화 하는 것입니다.
[root@su252 ~]# [root@su252 ~]# swapon -a [root@su252 ~]# |
그런 다음 다시 free를 실행하여 메모리 상황을 체크하였습니다.
[root@su252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515512 396976 118536 0 39108 272108 -/+ buffers/cache: 85760 429752 Swap: 2104464 0 2104464 [root@su252 ~]# |
스왑영역의 용량이 증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위의 /etc/fstab파일에 보면 /dev/sda5와 /dev/sda3파일시스템이 각각 스왑영역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참고로 /etc/fstab파일에 설정된 모든 스왑파일시스템을 비활성화하여 스왑영역사용을 모두 해제하려면 “swapoff -a”를 실행하면 됩니다.
[root@su252 ~]# swapoff -a [root@su252 ~]# [root@su252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515512 396232 119280 0 39088 272132 -/+ buffers/cache: 85012 430500 Swap: 0 0 0 [root@su252 ~]# |
지금까지 예로든 swapon명령어의 사용은 시스템의 스왑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므로 사용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현재 시스템이 서비스를 하고 있는 중이라면 스왑영역설정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swapon과 mkswap, swapoff명령어 등으로 스왑영역 작업을 할 경우에는 싱글모드(single user mode)로 부팅하여 작업하시는 것이 보다 안전합니다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