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quota설정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5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사용자의 quota설정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
root권한으로 일반사용자의 quota설정내역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quota -v 사용자ID”라고 하면 됩니다.
아래의 예는 bible이라는 사용자의 쿼타(quota)설정내역을 확인한 것입니다.
[root@su252 ~]# quota -v bible Disk quotas for user bible (uid 500): Filesystem blocks quota limit grace files quota limit grace /dev/sda2 40 102400 112640 10 0 0 [root@su252 ~]# |
위의 예에서 bible이라는 사용자는 /dev/sda2파일시스템내에서 100MB의 사용제한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참고로 알아두어야 할 용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쿼타(quota)에서 “Soft Limit”이란 일반적인 용량제한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설정된 용량을 넘기게 되면 일단은 유예기간(grace period)내에서는 허용은 하지만 경고를 받게 됩니다.
즉 Soft Limit이란 일반적인 허용용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해당 사용자에게 100MB의 용량제한이 되어있다고 말할 때 그 용량을 Soft Limit에 설정하시면 됩니다.
쿼타(quota)에서 “Hard Limit”이란 절대적으로 넘을 수 없는 용량제한을 의미합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100MB사용자의 경우에는 110MB정도로 Hard Limit을 설정해 둡니다.
즉 사용자에게 허용된 용량의 10%정도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쿼타(quota)에서 “Grace Period”란 유예기간으로서 해당 사용자의 용량이 “Soft Limit”을 넘기는 시점부터 적용되어 용량초과를 허용할 시간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각 계정사용자의 쿼타(quota)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edquota명령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