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온라인 서비스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05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온라인 서비스는 CompuServe, Dow Jones, MCI Mail과 같은 서비스나 Symantec BBS와 같은 전자 게시판 서비스(BBS)를 말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다른 PC, 메인프레임, 미니컴퓨터에서 제공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는 다양한 주제에 관해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각의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약간씩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를 확인하고 로그인합니다. 온라인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PC에서는 온라인 서비스가 연결에 이용하는 터미널 유형을 에뮬레이트합니다. pcANYWHERE는 온라인 서비스가 주로 이용하는 다양한 터미널 에뮬레이션 유형과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이용할 터미널 에뮬레이션 유형과 프로토콜에 관해서는 서비스 회사에 문의하십시오.
온라인 서비스에 연결하려면 먼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을 만들어야 합니다. 각 연결 항목은 전화 걸기 정보와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타 설정이 들어있는 pcANYWHERE 파일입니다.
온라인 세션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거나 전화선을 통해 BBS에 연결하거나 연결 절차는 비슷합니다. pcANYWHERE는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에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 만들기
연결 항목을 직접 만들거나 [온라인 서비스 추가] 마법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그림 10-1). 이 마법사를 이용하여 연결 항목의 이름, 연결 장치, 및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마법사는 나머지 등록 정보의 기본 설정을 이용합니다. (pcANYWHERE의 마법사에 관해서는 “빨리 시작하기”를 참조하십시오.)
이 마법사가 이용하는 기본 설정을 변경하려면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면 됩니다.
그림 10-1
새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을 만들려면:
1 [온라인 서비스] 단추를 누르십시오.
2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 마법사를 실행하려면 [온라인 서비스 추가] 아이콘을 두 번 누르십시오.
■ [파일]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십시오.
■ 온라인 서비스 창 안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르고 단축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십시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려면: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 연결 항목을 누르고 [파일] 메뉴에서 [등록 정보]를 선택하십시오.
■ 연결 항목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르고 단축 메뉴에서 [등록 정보]를 선택하십시오.
그러면 선택한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가 나타나고 맨 위에 [연결 정보]가 표시됩니다.
그림 10-2
온라인 서비스 등록 정보에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등록 정보가 있습니다.
연결 정보: 이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이 모든 세션에 이용할 하드웨어 장치를 선택하십시오.
설정: 터미널 에뮬레이션과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온라인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세션: 세션 기록, 스크립트 실행, 변환표나 매크로 키 이용, 및 동작 기록 파일 만들기와 같은 세션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급: 자동 줄 바꿈, 화면 이어쓰기, 줄 바꿈 문자 변환 등, 에뮬레이트하는 터미널의 특수한 설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항목 보호: 암호를 이용하여 선택한 온라인 서비스 항목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연결 정보를 구성하려면:
1 온라인 서비스 항목의 등록 정보를 여십시오.
(134페이지의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려면”을 참조하십시오.)
2 [장치] 목록에서 이 온라인 서비스 항목이 연결에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선택하십시오.
(연결 장치 구성에 관해서는 27페이지의 “연결 장치”를 참조하십시오.)
온라인 서비스 설정을 구성하려면:
1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여십시오. (134페이지의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려면”을 참조하십시오.)
2 [설정] 탭을 누르십시오.
그림 10-3
3 [터미널 에뮬레이션] 드롭 다운 목록 상자에서 이용할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선택하십시오. 대부분의 전자 게시판과 온라인 서비스가 ANSI를 이용합니다. 화면이 선명하지 않거나 정확하지 않으면 다른 에뮬레이션을 이용해 보거나 게시판 관리자나 온라인 서비스 회사에 어떤 터미널 유형을 이용해야 할지 문의하십시오.
4 [파일 전송 프로토콜] 드롭 다운 목록 상자에서 이용할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십시오.
5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 [직접 입력한 접두 번호, 지역 번호, 전화 번호 이용] 입력란에 필요한 지역 번호, 전화 번호, 및 기타 필요한 번호를 입력하십시오.
■ [전화 걸기 등록 정보와 전화 번호 이용] 옵션을 선택하면 지역 번호와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위치] 등록 정보에서 구성한 전화 걸기 등록 정보를 이용하십시오.
지역 번호와 전화 번호 중 하나라도 입력하지 않으면 연결 항목을 실행했을 때 전화 번호를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6 [전화 걸기 등록 정보]를 누르면 현재 위치의 전화 걸기 등록 정보를 보거나 새 전화 걸기 등록 정보 위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7 다음의 옵션의 값을 입력하십시오.
■ 전화 걸기 재시도 횟수: 연결이 실패했을 때 pcANYWHERE가 호스트에 다시 전화를 거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 재시도 간격(초): 연결이 실패했을 때 pcANYWHERE가 호스트에 다시 전화를 걸기 전에 기다리는 시간을 지정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세션 옵션을 설정하려면:
1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여십시오.
(134페이지의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려면”을 참조하십시오.)
2 [세션] 탭을 누르십시오.
그림 10-4
3 다음과 같은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 나중에 재생할 수 있도록 세션을 파일에 기록: 나중에 재생할 수 있도록 세션 동작을 파일에 기록합니다. 입력란에 새 파일 이름을 입력하거나 [찾아보기] 단추를 이용하여 기존의 레코드 파일을 선택하십시오. 그러면 새 세션이 이 파일의 끝에 추가됩니다.
(세션 기록 및 재생에 관해서는 151페이지의 “유틸리티”를 참조하십시오.)
■ 연결된 후 스크립트 파일 실행: 세션을 시작할 때 스크립트 파일이 실행됩니다. [찾아보기] 단추를 누르면 [스크립트]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여기서 실행할 스크립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것에 관해서는 온라인 도움말이나 pcANYWHERE 스크립트 작성법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 변환표 파일 이용: 이 옵션을 선택하면 이 세션에 변환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변환(.TRN) 파일에서 선택하려면 [찾아보기] 단추를 누르십시오.
■ 매크로 키 파일 이용: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특수 매크로 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매크로(.MK7) 파일에서 선택하려면 [찾아보기] 단추를 누르십시오.
(매크로 키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해서는 121페이지의 “매크로 키”를 참조하십시오.)
■ 활성 로그 파일에 세션 통계 저장: 세션 통계를 기록 파일에 저장합니다.
(기록 파일과 보고서에 관해서는 151페이지의 “유틸리티”를 참조하십시오.)
■ 연결된 후 스크립트 기록 시작: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스크립트 파일로 만듭니다. 스크립트 명령에 관해서는 온라인 도움말이나 pcANYWHERE 스크립트 작성법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온라인 서비스 고급 옵션을 설정하려면:
1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여십시오.
(134페이지의 “연결 항목의 등록 정보를 수정하려면”을 참조하십시오.)
2 [고급] 탭을 누르십시오.
그림 10-5
3 [기본 설정]을 누르면 현재 이용하는 터미널의 기본값을 볼 수 있습니다.
4 다음과 같은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 터미널 너비를 넘는 줄 자동 바꿈: 터미널 보기창의 폭을 초과하는 줄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터미널 너비를 넘는 줄 자동 바꿈] 옵션을 선택하면 화면 창의 오른쪽 끝을 벗어나는 줄이 다음 줄에 표시됩니다. 커서가 화면의 맨 오른쪽 칸에 도달하면 다음 문자가 다음 줄의 첫째 칸에 표시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개행 문자가 수신될 때까지 커서가 같은 줄에 남아있습니다.
■ 자동 화면 맞춤: 전체 화면이 찼을 때 어떻게 할지를 지정합니다.
[자동 화면 맞춤]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화면이 이동하면서, 화면의 맨 윗 줄이 사라지고, 화면 맨 아래에 새 줄이 표시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커서가 터미널 표시 창의 마지막 줄, 마지막 칸에 도달했을 때 다음 줄이 맨 윗 줄에 겹쳐쓰기 됩니다.
■ 백스페이스 키로 문자 지움: 백스페이스 키가 삭제식 백스페이스로 동작합니다.
그러므로 커서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문자가 지워집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백스페이스 키를 눌렀을 때 커서가 문자를 지우지 않고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 수신된 CR을 CR/LF로 변환: 줄바꿈 문자가 수신될 때마다 커서가 터미널 표시 창의 맨 왼쪽으로 이동하고 한 줄 아래로 이동합니다.
화면이 수직으로 올바르게 이동하지 않을 때만 이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 중단 길이: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데 이용되는 중단 신호의 길이를 지정합니다.
(이러한 중단을 Ctrl+Break 키 조합과 혼동하지 마십시오. Ctrl+Break 키 조합은 제어 문자를 전송합니다. 이 중단 신호는 온라인 통신에서 이용되는, 조용한 신호입니다.)
특정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기본 중단 길이의 기본 설정인 5를 변경하지 마십시오.
암호를 지정하면 다른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을 수정하거나, 보거나, 실행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 연결 항목을 만들면 온라인 서비스 세션을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모든 세션은 터미널 창에 표시됩니다. 온라인 서비스 세션을 수행하는 중이나 완료한 후 언제라도 창의 위에 있는 [pcANYWHERE 터미널] 메뉴 표시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에는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pcANYWHERE의 기능과 옵션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관련 명령이 있습니다. 스크립트는 온라인 서비스 연결을 자동화하는데 사용하는 실행 파일입니다. pcANYWHERE 스크립트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세션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세션을 시작하거나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언제라도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온라인 도움말이나 pcANYWHERE CD와 함께 제공된 pcANYWHERE 스크립트 작성법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pcANYWHERE는 세션의 동작을 기록하고 이것을 스크립트 파일에 저장하여 자동으로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온라인 서비스나 전자 게시판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메뉴로 이동하거나, 전자 우편을 업로드하거나, 전자 게시판에 메시지를 올릴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세션이나 화면을 인쇄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세션을 기록하여 화면이나 세션을 파일에 저장하는 대신 터미널 창에서 직접 인쇄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창에서 Windows의 클립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를 복사하는 Windows 프로그램에서 Windows 클립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면, 클립보드에서 pcANYWHERE 터미널 창으로 텍스트를 잘라내고 복사하고 붙여넣을 수 있고,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직접 온라인 서비스로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서비스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하드웨어, 터미널, 화면 표시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면 [응용 프로그램 옵션] 등록 정보의 [터미널 에뮬레이션] 등록 정보에서 구성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현재 세션에만 적용되며 [터미널 에뮬레이션] 등록 정보에서 구성한 설정은 변경하지 않습니다. 적절한 세션 설정에 관해서는 온라인 서비스 운영자나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온라인 서비스에서 파일을 수신(다운로드)하거나 온라인 서비스에 파일을 전송(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온라인 서비스와 pcANYWHERE의 파일 수신 또는 전송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파일을 다운로드(수신)하거나 업로드(전송)하는 것과 같이 파일을 전송하려면 송수신에 사용하는 두 대의 PC에서 작업의 수행을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연결한 후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면 하나 이상의 파일을 선택하고 온라인 서비스가 지정하는 명령을 이용하여 파일 전송을 시작하십시오. 이러한 동작을 완료하려면 사용자 측에서 파일 수신을 시작해야 합니다.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다만 데이터 흐름의 방향이 반대입니다.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