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stat으로 현재 서버에 열려있는 포트 점검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0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netstat으로 현재 서버에 열려있는 포트 점검하기
다음은 현재 서버에서 LISTEN상태(응답가능상태)에 있는 각 포트들을 확인하는 예입니다.
이 방법은 서버보안을 위하여 시스템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반드시 점검해보아야 하는 사항들입니다.
즉, 불필요한 포트들이 서버에서 열려있다면 그 포트사용을 중지 해야 합니다.
그리고 평소에 보이지 않은 포트가 열려있다면 해킹이 되지 않았나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이런 것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확인합니다.
[root@su250 ~]# netstat -an | grep LISTEN tcp 0 0 0.0.0.0:60750 0.0.0.0:* LISTEN tcp 0 0 0.0.0.0:111 0.0.0.0:* LISTEN tcp 0 0 0.0.0.0:22 0.0.0.0:* LISTEN tcp 0 0 127.0.0.1:631 0.0.0.0:* LISTEN tcp 0 0 127.0.0.1:25 0.0.0.0:* LISTEN tcp 0 0 :::111 :::* LISTEN tcp 0 0 :::22 :::* LISTEN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5994 /var/run/audispd_events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6071 /var/run/rpcbind.sock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6331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6404 /var/run/acpid.socke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7035 /var/run/pcscd.comm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7381 /var/run/sdp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7414 @/org/bluez/audio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8474 /tmp/ssh-ETqByw2000/agent.2000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9463 /tmp/ssh-vJtXia2194/agent.2194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8381 /var/run/setroubleshoot/setroubleshoot_server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6452 @/var/run/hald/dbus-OLu4EmkSYb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8062 /var/run/cups/cups.sock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7618 /dev/gpmctl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8018 /var/run/avahi-daemon/socke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6430 @/var/run/hald/dbus-X1kodnTiAp [root@su250 ~]# |
위의 결과에서 현재 서버에서 응답 가능한(LISTEN상태인, 열려있는) 포트들은 60750번포트,111번포트,22번포트,631번포트,25번포트등이 있습니다.
이 포트들이 무엇을 하기 위한 포트들인가는 여러분 스스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위의 결과 맨 오른쪽에 나타나는 "LISTEN"이라는 의미는 현재 이 포트가 대상IP와
연결상태(가능)임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LISTEN"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문자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드시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 LISTEN : 연결이 가능하도록 관련데몬이 떠있으며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냄.
- SYS-SENT : 연결을 요청한 상태.
- SYN_RECEIVED : 연결요구에 의한 응답을 한 후에 확인메시지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
- ESTABLISHED : 앞의 3단계 연결과정이 모두 종료된 후에 연결이 완료된
상태.
-
FIN-WAIT1, CLOSE-WAIT, FIN-WAIT2 :연결종료를 위해 종료요청을 받은 후의 종료과정임.
-
CLOSING :
전송된 메시지가 유실된 상태를 나타냄.
-
TIME-WAIT : 연결종료 후에 한동안 유지하고 있는 상태.
- CLOSED : 연결이 완전히 종료됨.
netstat의 결과로 출력되는 위의 정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netstat을 사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