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의 구성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5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IP주소의 구성
자, 이번에는 우리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IP주소에 대하여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다음과 같이 IP주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Network주소부분과 Host주소부분이 그것이다.
IP주소 = Network Address 부분 + Host Address 부분
|
이들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부분(Network Address)과 호스트 주소부분(Host Address)으로 나뉘어지며 데이터전송을 위한 라우팅(Routing)은 IP 어드레스 부분 중 네트워크 주소부분을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어떤 데이터를 목적지로 보내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참조되는 것은 호스트 주소부분이 아닌 네트워크 주소부분이다.
일반적으로 IP주소를 통해 어떤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소인가를 확인하고 검색할 수 있는 이유는 Network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명을 등록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인터닉(INTERNIC)이나 한국인터넷정보센터등과 같은 IP주소 및 도메인관리기구등에서는 이들 IP주소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흔히 IP주소를 설명하면서 IP주소의 “네트워크주소+호스트주소”를 전화번호에 비유하여 설명하곤 한다.
전화번호에서도 “지역번호+해당번호”로 구성되어있으며 “지역번호”는 특정 지역을 쉽게 찾아가기 위하여 할당한 번호이며 “해당번호”는 그 지역내에서 유일한 번호로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즉, IP주소 또한 유일하게 구분되어야하기 때문에 전화번호의 지역번호에 해당하는 “네트워크주소”와 그 네트워크내에서 특정 호스트를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한 전화번호의 “해당번호”에 해당하는 “호스트주소”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