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설치시에 정의된 앨리아스 확인 및 사용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1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시스템 설치시에 정의된 앨리아스 확인 및 사용하기
실제 리눅스 시스템관리자들이 실무에서 이런 alias를 어떻게 정의하고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현재 각자 자기계정에 설정되어있는 alias를 확인하려면 그냥 "alias"라고 하면 된다.
즉,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사용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alias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예는 필자가 사용하고있는 서버의 root계정의 alias를 확인한 예이다.
[root@sulinux ~]#alias alias cls='clear' alias cp='cp -i' alias df='df -h' alias grep='grep --colour=auto' alias l.='ls -d .* --color=tty' alias ll='ls -l --color=auto' alias ls='ls --color=auto' alias mc='. /usr/share/mc/bin/mc-wrapper.sh' alias mv='mv -i' alias rm='rm -i' alias which='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root@sulinux ~]# |
위의 앨리아스 설정 예를 보면
cls는 'clear'로
별칭이 설정되어 있고,
cp는 'cp -i'로
별칭이 설정되어 있으며,
ll은 'ls -l
--color=auto'로 별칭설정이 되어 있으며,
mv는 'mv -i'로 별칭설정 되어 있으며,
rm은 'rm -i'로
별칭설정 되어 있으며,
which는 ' 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으로 각각 별칭명령어 설정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설정은 리눅스시스템이 설치되면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alias ll='ls -al'
위의 앨리아스는 숨긴 파일과 디렉토리까지 모두 확인하는 앨리아스이다.
즉, "ll"이라고만 하면 "ls -al"이 실행되어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과 디렉토리들까지도 모두 보여주는 alias이다.
alias를 생성하는 방법과 확인하는 방법은 앞의 예와 동일하다.
먼저 "ll"이라는 이름의 alias를 "ls -al"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ll"이라는 "alias ll"이라고 하면 "ll"이라는 alias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alias rm='rm -f'
파일삭제시 확인과정 없이 간편히 삭제하는 앨리아스이다.
물론 설치시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용만 하면 된다.
흔히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rm이라는 명령어가 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다 보면 파일삭제 시에 항상 "정말 삭제하겠습니까?"라는 확인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rm명령어를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런 확인과정이 귀찮을 수도 있다.
따라서 rm명령어에 -f옵션을 사용하면 삭제확인과정 없이 파일을 바로 삭제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rm명령어가 실행될 때마다 항상 -f옵션을 사용하도록 하는 alias를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앞에서 확인한 바와같이 alias라는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시스템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앨리아스가 많음을 알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